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고구려 고분벽화를 우키요에 판화로 재해석한 일본화가 마쓰다 레이코松田黎光(1898~1941)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11. 2.
반응형

 

[마쓰다 상, 고구려 벽화를 그리다]

<푸른 산호초>의 마쓰다 세이코나

"오사카에 사는 사람들" 유튜브로 유명해진 마쓰다 아키히로 같은 이들이 있어서,

소나무 송松자에 밭 전田자를 쓰는 '마쓰다松田'가 일본 성인 건 요즘 잘 알려졌지 싶다.

일제강점기, 한반도에 들어와 살던 일본인 중에도 '마쓰다' 아무개는 적잖이 있었다.

개중 마쓰다 레이코松田黎光(1898~1941)라는 이가 있었는데, 이 사람은 화가였다.

레이코는 호號고 이름은 마사오라고 하는데, 호를 이름처럼 썼던 모양이다.

교토에서 태어나 자란 그는 경성에 한 20년 넘게 살면서 주로 조선 풍속이나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시리즈 작품을 많이 남겼다.

앞 그림도 그런 시리즈 중 하나다.

평안남도 용강에 있는 고구려 고분 쌍영총(쌍기둥무덤) 벽화 한 부분을 그렸는데, '모사'라고는 했지만 그대로 본떴다기보단 자기 스타일을 가미해 재해석했다.

땡땡이 무늬 긴 저고리에 통 넓은 바지를 입고 두 손을 곱게 모은 고구려 젊은이 둘을 스케치하듯 빠르게 묘사해냈다.
 
바탕은 어두운 회색인데, 단색조가 아니라 얼룩덜룩하게 처리해 실제 벽화를 보는 느낌마저 살짝 자아낸다.
 
유의할 점은 이 게 그린 게 아니라 찍은 것, 곧 판화라는 사실이다.
 
그냥 슥 보면 판화인지 모를 정도로 퍽 생생한데, 실제 마쓰츠다 레이코의 장기가 우키요에 같은 판화였다 한다.

일본인이 고구려벽화를 따라 그렸다는 게 이상하게 여겨질 지 모르겠다.
 
하지만 1910~30년대 이른바 낙랑 붐, 고구려 붐이 일본 문화계에 일었던 걸 알면 별로 놀랍지도 않다. 
 
이는 새롭게 나타나는 유물로 축적되던 정보, 그네들의 이국취향,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등으로 고조되던 옛 고구려에 대한 관심(고구려야말로 "선만일여"를 실천한 나라라고 평가했다나) 등이 뒤섞인 결과로, 
 
연구용 벽화 모사도는 젖혀두고라도 창작 회화나 공예 등에 고구려'풍'이 들어가는 사례는 셀 수가 없다. 
 
이것도 마쓰다 상이 그런 시대 분위기 아래 만들어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 editor's note ***

 
松田는 일본어 발음을 존중하면 마츠다가 더 가깝지만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마쓰다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