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eh6NNv/btsMeMmC7V5/JEPNZhLy4MvpDftb2oOwC0/img.png)
중국식 존호, 이는 앞으로 내가 다룰 기회가 있을런지 모르지만 도교 신학에서 유래하는 이 새로운 존명법은 또 다른 특징이 한 글자씩 선대를 물려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신라 중고기 왕들, 법흥法興과 진흥眞興은 興자를 공유했고, 다시 그 아래 아들과 손자인 진지眞智와 진평眞平은 도교 신학 최고 경지에 오른 진인眞人에서 유래하는 眞을 공유했으며
그 다음 선덕善德과 진덕眞德은 德을 돌림했다.
저 중고기에는 조선시대 관념으로는 형제간 돌림, 곧 항렬로 볼 만한 여지가 있는 공유 글자도 등장하는데,
진흥왕 자제들의 경우 불교적 색채가짙은 륜輪이라는 글자를 집중으로 해서 공유하거니와
현재 확인되는 그의 아들딸로 저 글자를 공유한 이들은
동륜銅輪, 금륜金輪, 은륜銀輪, 구륜仇輪이 있다.
이 중에 은륜은 딸이며 나머지는 아들들이다.
법흥 이래 진덕에 이르는 저 시대 존호들이 왜 일종의 부자 돌림인가 하면, 그것이 단순한 존호를 넘어 왕이 되면서 새로 얻은 이름들인 까닭이다.
안타깝게도 신라가 왜 저런 방식으로 존호를 확정했는지는 증언이 없다.
나아가 일종의 부자간 한 글자씩을 돌림하는 이 전통은 신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하겠다.
*** previous article ***
신라 이름(2) 중국식 이름 일색인 존호
https://historylibrary.net/m/entry/%E3%85%87-543
신라 이름(2) 중국식 이름 일색인 존호
조선시대를 보면 한 사람인데 이름이 심지어 여러 수십 가지인 사람이 있다. 일반 백성이나 노비야 한 가지 이름만 거개 사용했지만 사대부는 그렇지 아니해서 수시로 다른 이름들을 장착해 세
historylibrary.net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지도가 섬이던 1966년의 서울 (0) | 2025.02.12 |
---|---|
장경각, 신주神主로서의 목판 신전 (1) | 2025.02.11 |
언지매구言之浼口, 중국에 빡친 어느 대감님 (0) | 2025.02.10 |
[안압지 신라 동궁론을 심판한다](6) 핵심은 건딜지도 못한 엉성 발굴 (0) | 2025.02.10 |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는 중국, 그것이 이상했던 조선 지식인 (1) | 2025.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