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신라 이름(3) 한 글자씩 선대서 물려받는 신라의 존호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2. 11.
반응형
조선시대 이래 돌림자는 음양오행에 기초한다. 신라는 달랐다.

 
중국식 존호, 이는 앞으로 내가 다룰 기회가 있을런지 모르지만 도교 신학에서 유래하는 이 새로운 존명법은 또 다른 특징이 한 글자씩 선대를 물려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신라 중고기 왕들, 법흥法興과 진흥眞興은 興자를 공유했고, 다시 그 아래 아들과 손자인 진지眞智와 진평眞平은 도교 신학 최고 경지에 오른 진인眞人에서 유래하는 眞을 공유했으며

그 다음 선덕善德과 진덕眞德은 德을 돌림했다. 

저 중고기에는 조선시대 관념으로는 형제간 돌림, 곧 항렬로 볼 만한 여지가 있는 공유 글자도 등장하는데,

진흥왕 자제들의 경우 불교적 색채가짙은 륜輪이라는 글자를 집중으로 해서 공유하거니와

현재 확인되는 그의 아들딸로 저 글자를 공유한 이들은 
동륜銅輪, 금륜金輪, 은륜銀輪, 구륜仇輪이 있다.

이 중에 은륜은 딸이며 나머지는 아들들이다. 

법흥 이래 진덕에 이르는 저 시대 존호들이 왜 일종의 부자 돌림인가 하면, 그것이 단순한 존호를 넘어 왕이 되면서 새로 얻은 이름들인 까닭이다. 

안타깝게도 신라가 왜 저런 방식으로 존호를 확정했는지는 증언이 없다. 

나아가 일종의 부자간 한 글자씩을 돌림하는 이 전통은 신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하겠다. 


*** previous article ***


신라 이름(2) 중국식 이름 일색인 존호
https://historylibrary.net/m/entry/%E3%85%87-543

신라 이름(2) 중국식 이름 일색인 존호

조선시대를 보면 한 사람인데 이름이 심지어 여러 수십 가지인 사람이 있다. 일반 백성이나 노비야 한 가지 이름만 거개 사용했지만 사대부는 그렇지 아니해서 수시로 다른 이름들을 장착해 세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