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90만년전 몰살할 뻔한 인류 조상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5. 3.
반응형



인류 조상, 90만 년 전에 거의 몰사할 뻔했다...이런 연구는 2023년 8월로 기억하는데, 중국 유전학자들이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했다. 

현대 유전학 데이터를 분석하는 새로운 기술에 따르면, 원시 인류는 단 1,280명만 생존했다.

아프리카의 인류 조상은 약 90만 년 전 거의 멸종할 뻔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Science에 발표된 이 연구는 우리 종인 Homo sapiens가 출현하기 훨씬 전에 조상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음을 시사한다.

번식 가능한 개체 수는 1,280명으로 줄어들었고, 그 후 11만 7천 년 동안 다시 증가하지 않았다.

이 연구 공동 책임자인 베이징 중국과학원 인구 유전학자 하이펑 리(Haipeng Li)는 "인류 조상 약 98.7%가 사라졌다"고 말한다. 그는 95만 년에서 65만 년 전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의 화석 기록이 불분명하며, "이 병목 현상의 발견이 연대기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런던 영국박물관 고고학자 닉 애쉬튼은 관련 관점을 제시하며, 이 집단의 작은 규모에 흥미를 느꼈다고 말한다.

"이는 이들이 생존하기에 사회적 결속력이 좋은 매우 국지적인 지역에 살았음을 시사한다"고 말한다.

"더 놀라운 것은 이 작은 집단의 추정 생존 기간이다. 만약 이것이 맞다면, 충분한 자원과 시스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은 안정적인 환경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DNA에서 찾은 단서
연구진은 이러한 발견을 위해 새로운 도구를 개발해야 했다.

유전체 시퀀싱genome sequencing의 발전으로 과학자들은 현대인 출현 이후의 인구 규모에 대한 이해를 높였지만, 연구진은 초기 인류 조상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했다.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있는 예일대학교 인류학자 세레나 투치Serena Tucci는 이러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한다.

"방법론적 한계와 오래된 호모 표본에서 고대 DNA 데이터를 얻는 데 따르는 어려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초기 인류 조상의 인구 역학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고 그녀는 말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을 통해 현대 인류의 유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대 인구 역학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복잡한 유전자 가계도를 구축함으로써 가계도의 미세한 가지까지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여 중요한 진화적 사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인류학자 스탠리 앰브로스Stanley Ambrose는 "이 기술은 이전에 시도된 적이 없는 방식으로 80만 년에서 100만 년 전의 시대에 주목을 끌었다"고 말했다.

이 시기는 초기-중기 플라이스토세 전환기Early-Middle Pleistocene transition 일부였다.

이 시기는 급격한 기후 변화로 빙하기가 더 길고 강렬해진 시기였다.

아프리카에서는 이로 인해 장기간의 가뭄이 발생했다.

리 박사는 기후 변화가 인류 조상을 멸종시키고 새로운 인류 종을 출현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결국 이들은 현생 인류와 멸종된 우리의 친척인 데니소바인Denisovans과 네안데르탈인의 마지막 공통 조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약 81만 3천 년 전, 원시 인류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산둥 제일의과대학과 지난에 있는 산둥 의학 아카데미 Shandong First Medical University and Shandong Academy of Medical Sciences in Jinan 인구 유전학자이자 이 논문의 공동 저자인 지첸 하오Ziqian Hao는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생존했고, 무엇이 그들을 다시 번성하게 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병목 현상이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뇌 크기와 같은 현생 인류의 여러 중요한 특징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그는 유전적 다양성의 최대 3분의 2가 손실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시기는 인류 진화의 핵심 시기다. 따라서 답해야 할 중요한 질문들이 많다."라고 그는 말한다.

애쉬튼은 이런 연구 결과가 더 많은 고고학적 증거와 화석 증거로 뒷받침되기를 바란다.

그는 저자들이 "병목 현상이 전 세계적인 인구 감소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하지만, 아프리카 이외 지역의 고고학 유적의 수는 그렇지 않음을 시사한다. 지역적인 병목 현상일 가능성이 더 높다"라고 말한다.
 
중국학계가 이런 성과를 제출한다는 자체를 주시해야 한다고 본다.

이런 데가 한둘이 아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