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닭과 꿩 
사슴과 돼지 
어느 한 쪽이 올라가면 다른 쪽 소비가 줄어든다.
조선시대 일기를 보면 한번 꿩 사냥 나갔다 하면 100마리씩 잡아왔고 
이런 사냥을 한 달에도 여러 번 나갔다. 
닭을 키울 이유가 없었던 셈이다. 
조선시대 아마 닭은 달걀 때문에 키웠을 것이다. 
일기를 보면 닭잡아 먹은 기록보다 꿩 고기 먹은 기록이 더 많고 
구한말까지도 닭값보다 꿩값이 더 쌌다. 
우리가 지금 보는 대규모 양계장은 일제시대에 처음 모습을 보였고 
지금처럼 국민 육류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은 80년대 이후이다. 
70년대까지도 닭은 "영양센터"에서 팔았다. 
사슴과 돼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어차피 둘 다 평민들에게는 맛보기 어려웠겠지만, 
사슴고기를 쉽게 구할수록 돼지사육은 줄어들고, 
사슴이 드물어질수록 돼지 사육은 늘게 되어 있다. 
아마도 17세기 이후 우리나라 산림이 황폐해지면서 사슴도 줄어들고, 
그 와중에 돼지 사육도 자리를 잡아가지 않았을까 한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돼지 사육이 우리나라에 흔하지 않다는 언급이 여러 번 나온다. 
삼겹살로 죽고 사는 요즘 풍토로는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사실은 사실이다. 

***
이걸 보면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무엇을 말하고자 함인지 짐작 가능하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학력 뻥튀기에 가려진 일제시대의 실상 (0) | 2023.08.08 | 
|---|---|
| 전 국민이 일주일에 한 번은 닭고기 먹게 해주고 싶다던 앙리4세 (0) | 2023.08.06 | 
| 돼지 사육이 늘면 사슴 고기 소비가 줄어든다 (0) | 2023.08.06 | 
| 중국에서 동물 사육의 순서 (0) | 2023.08.06 | 
| 노인과 바다 The Old Man and the Sea by Ernest Hemingway (0) | 2023.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