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관람객을 붙잡는 1481년 한양 채색작화

by taeshik.kim 2023. 8. 20.
반응형



서울역사박물관 상설전시실 코너는 조선시대로 시작한다.

고려시대 남경 코너가 없는 점이 몹시도 아쉽지만 조선 건국 과정에서 간단히 언급하고 지나간다.

그 이전 시대, 그러니깐 통일신라 삼국시대와 그 이전은 같은 서울시 공립박물관인 올림픽공원 안 한성백제박물관 몫이라 혹 이런 대목이 궁금하다면 그쪽으로 가야 한다.




그 조선실 코너 맨앞에서 관람객을 맞이하는 이 채색판화는 관람객 반응이 재미있어 이쪽에 머물며 그 반응을 지켜 보는 일도 쏠쏠한 재미를 주는데 간단히 말해 다들 탄성을 지른다.

따라서 서울역사박물관 최고 걸작 전시품은 바로 이거다 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생각해 보면 강렬한 색채로, 어쩌면 청록산수 기법을 원용해서 조선전기 한양을 판화 방식으로, 그것도 제법 큰 규모로 구상화하려 했으며 그것이 관람객들을 붙잡는데 성공하지 않았을까 한다.




저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481년 한양漢陽 Hanyang in 1481

작화 최종현 I 판각 및 채색 김준권(총괄), 류연복, 정찬민, 이용훈


이 작품은 현재 서울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조선전기 한양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서울은 역사적 총위가 두터운 도시다. 백제 한성으로부터 시작한 수도 서울의역사는 고려 남경휴, 조선의 한양을 거쳐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조선의 수도가 완성되기까지의 모습을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하면서 미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당시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조선전기 기록을 바탕으로 궁궐과 주요 관청, 사찰 및 역원, 도로와 출길을 재현하였고, 도성 안은 짙은 녹색의 산경과 대비되도록 채색을 최소화함으로써 도시의 구조와 주요 시설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길과 건물들을 작품 속에서 찾아보면, 남경에서 한양으로 그리고 현재의 서울로 연결되는 시간의 흔적을 되새겨 볼 수 있을 것이다.

 

 

*** 

 

간평한다. 

 

내가 박물관 가서 민감하게 보는 대목 중 하나가 그에서의 관람객 반응이다. 

나는 항용 내가 좋아하는 전시가 아니라 그들이 좋아하는 전시를 해야 한다는 말을 역설하곤 하는데, 혹 그와 연동한 시선인지도 모르겠다. 

이 업계 전시에는 내 믿음을 저버리지 않는 공식이 있는데, 이쪽에서 내가, 우리가 좋다 스스로 찬탄하는 전시는 필패하고 만다는 그 믿음이다. 

내가, 우리가 좋다는 전시와 그들이 좋은 전시는 반딧불과 번갯불의 차이만큼 크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