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

논문 검색의 회고 (2): MEDLINE

by 신동훈 識 2025. 4. 27.
반응형

논문 검색 변천사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터라

세세한 부분에서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 양해 바란다. 

아무튼 발행된 논문이 완전히 온라인 상에 숨어버려 사실 의미가 별로 없을 수 있는데 

필자가 대학원 학생이던 당시에는 논문 index란 가상의 개념이 아니라 

도서관에 있는 index medicus라는 전화번호부 닮은 책, 

혹은 도서관에 CD로 비치되어 터미널로 검색가능한 (온라인이 아닌) MEDLINE

이 안에 들어 있는 저널들 목록이 index였다. 

지금 SCI니 SSCI니 AHCI니 하는 논문 목록 리스트는 (심지어는 우리나라 학진등재지까지도)

이제는 수준 있는 학술지 리스트처럼 되어 버렸지만 

당초에는 그런 것이 아니라 CD나 단행본 책에 저널 논문이 실리니 만큼

매우 제한적인 논문과 학술지만 그 리스트에 올라갈 수 밖에 없는 상태였다. 

따라서 Index Medicus나 MEDLINE에 올라간 학술지는 

연구자로서는 검색가능한 학술지에 논문이고, 

이 개념이 지금까지 살아 남았다 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지금은 검색이 온라인에서 구글링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논문도 검색이 간단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Indexing system은  수준 있는 학술지를 선별해 놓는 기능 외에 목적이 매우 퇴색되었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저 당시까지만 해도 인터넷도 없고 뭐도 없는 시대라 

CD로 배포한 MEDILINE이나 단행본으로 매년 찍어내는 Index Medicus 말고는 논문 검색이 불가능한 시대였다는 뜻이다. 

 

1879년에 초판이 나온 Index Medicus. 요즘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는 SCI, SSCI, SCOPUS등 소위 논문 indexing system의 시초라 할 수 있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