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퇴계는 부자였다. 그것도 열라리 부자다. 
장개 두번 잘가서 더 부자됐다. 장인한테 물려받은 논밭떼기가 천지였다. 
한데도 틈만 나면 "나는 묵을 게 없어 가난하다"는 타령을 늘어놨다. 
 

 
서애 류성룡.
하회마을 건너편 옥연정사.
간판 보면 영의정인가 퇴임하고 난 서애가 짓다가 돈이 없어 중단했다가 어느 중의 도움을 빌려 완공했다고 한다. 
서애가 가난했다니?
그래서 건물채 하나 짓다가 중단했다니?
새빨간 거짓말이다. 
 

 
한데 왜 이들은 틈만 나면 나는 가난하다고 들먹였는가?
나는 그 이유가 현금 유동성이라고 본다. 
퇴계 서애 시대만 조선시대는 화폐경제가 아니었다. 금융경제가 아니었다. 
물물교환시대다. 문집 봐라. 
물건 사고 팔 때 화폐 이용한 일 없다. 
전부가 쌀 콩 몇 되 주고 생선 사오고 하는 일이다. 
그 시절 금융이 없거나 거의 없으므로, 이 현금 유동성 문제는 여러 곤란을 낳을 수밖에 없었다. 
퇴계나 서애가 요즘 태어났다면 부동산재벌, 금융재벌이었을 것이며, 주식 투자 비트코인 투자로 한쪽에서는 날리고 한쪽에서는 떼돈 벌고 했을 것이며, 
혹 모르겠다. 검찰정권에 불려갔을지도. 
반응형
    
    
    
  'READING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방술方術로 漢천자 유철劉徹을 농락한 소옹少翁 (0) | 2023.10.29 | 
|---|---|
| 《화랑세기》를 베껴먹는 자들 (0) | 2023.09.30 | 
| 지방관 부임과 가족 대동 금지, 반란 방지를 위한 고육 (0) | 2023.08.23 | 
| [수서隋書 독파일기] (1) 제기帝紀 : 죽어가는 모든 것은 애잔하다, 수 양제 또한 그렇다 (0) | 2023.08.18 | 
| 화랑 관련 창설을 둘러싼 착란, 봄눈 녹듯 사라지는 모든 착간錯簡 (1)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