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로 전근하고 3개월 남짓 지난 1999년 2월 9일, 당시로는 아마 약칭으로 문광부라 했을 문화관광부가 어문정책 불을 싸지른 발표를 들고 나왔으니 이른바 한자병용이라
이 문제가 워낙 폭발성 있는 까닭에 최현배 세례를 듬뿍 받은 연세대 국어학 계열 한글순수운동주의자들과 서울대와 이희승에 뿌리를 두는 혼용 계열이 박터지게 싸웠으니 지금은 국립국어원이라 일컫는 국립국어연구원이 그 진원지였고 그 수장은 서울대 교수 심재기였다.
지금 보면 아무렇지 않게 보일 수도 있지만, 물론 한글단체들은 반발한다, 이 사안이 기름을 부었으니 언론사도 갈려서 조선 동아가 당연 찬성 쪽이었고 한겨레야 노동신문과 마찬가지로 한글전용론이었으니 이 사태는 날이 가면서 계속 불이 붙었다.
당시 문화부 인력현황은 앞서 말한대로 처참한 지경이라 누군가는 이 사안을 전담해야 했으니 결국 내가 징발되었다.
열라 썼다. 그야말로 물 만난 고기마냥 졸라 썼다. 나 아니면 쓸 수 없는 기사들을 썼다.
이것이 화근이었다. 이 사태가 발발한지 이틀째인가 박찬교 부장이 부르더니 왈..
태식씨, 미안하지만 문광부까지 맡아줘야겠어.
문화재 학술 전담이라 기관만 해도 한꾸러미라 문화재청 박물관 말고도 교육부 산하 기관 중 학술성 짙은 기관, 예컨대 국사편찬위원회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한민국학술원, 당시는 문광부 산하였다가 지금은 국가보훈처로 넘어간 독립기념관 등등 오만잡탕이 내 담당이고 출판도 학술은 내 담당이었으니 가랭이 찢어지는 형편이라
그 형편에 문광부까지 떠넘기니 환장할 노릇이었다. 그렇다고 이미 편집국장한테도 보고한 사안이라며 거부할 수도 없었으니 돌이켜 보면 내 인생 가장 바쁜 시대가 서서히 팡파르를 울리기 시작했다.
그 진원지는 서울 풍납토성이었다.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문화재 ODA 사업의 시작(1)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1) | 2022.02.09 |
---|---|
아버지 박헌영 전집을 준비 중이던 20년 전의 원경 스님 (0) | 2021.12.06 |
"문화재를 맡아주었으면 싶다"는 문화부장의 연락 (0) | 2021.10.11 |
《경주 꺽다리 이채경 회고록》(1) 문화재 발굴조사비, 특히 소규모 개발사업의 경우 (0) | 2021.07.20 |
황당한 그날의 복직판결 (0) | 2021.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