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추정해 보는 밥짓기의 변화

by 초야잠필 2023. 11. 11.
반응형

어차피 필자는 이것으로 밥먹고 사는 사람이 아닌지라, 이쯤 하면서 지금까지 쓴 내용을 요약한다. 

 

 

청동기시대, 생산된 곡물은 시루로 쪄내 밥을 해서 먹었다고 본다. 

시루가 나오니까 원래 한국인들은 떡을 먹다가 나중에 밥을 먹기 시작했다고 하는 주장도 있던데, 

그게 아니고 시루를 쓰던 때도 밥을 쪄서 먹었다. 

잡곡이건 쌀이건 전부 다 잘 익는다. 몇 시간만 불려주면 딱 10분만 쪄내면 곡식은 다 익는다. 

시루를 밥 짓기로 쓰려면 전제조건은 딱 하나다. 뚜껑이 있어야 한다. 

뚜껑없는 시루로는 밥을 못 짓는다. 한 번만 해 보면 안다. 

먹을 때의 식감 문제는 역시 찐밥의 문제점 중 하나다. 

다 익어도 소화는 확실히 잘 안 된다. 덜익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밥의 함수율이 확실히 뜸들이는 취사 때와는 차이가 있다는 생각이다. 

이런 부분도 결국 후대에 뜸 들여 밥을 익히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일본에서 찐밥을 "강반", 뜸들인 밥을 "약반"이라 한 것은 이를 반영한 이름일 것이다. 

다음 단계. 무쇠솥이 나오면서 비로소 솥안에 물을 붓고 곡식을 넣어 끓이다가 마지막에 뜸을 들여 밥을 완성하는, 

우리가 아는 밥 짓기가 나온다. 

밥이 함수률이 더 높아져 소화도 잘되고, 소위 말하는 "기름기가 쫙 흐르는" 밥이 이때 비로소 나오기 시작한다. 

무쇠솥이 쓰이면서 누룽지가 나오고, 숭늉도 탄생했을 것이다. 

시루로 밥지을때는 누룽지도 없고 숭늉도 없다. 

이것 역시 한번만 해보면 알수 있다. 

이상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