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비화가야가 1,500년만에 심장을 연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11. 28.
반응형

도굴 안된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 오늘 뚜껑돌 연다

송고시간 | 2019-11-28 09:00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3호분…2m 돌 7매 얹고 밀봉


점토 켜켜이 쌓은 비화가야 고분 축조기법 드러났다

송고시간 | 2019-11-28 09:00

1.5m 돌로 매장주체부 만들어…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39호분

62호분서는 등잔형 토기·주전자형 토기 발견


위쪽 중앙이 39호분, 아래가 63호분. 63호분 옆은 각각 38호분과 62호분. 2019.11.28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일대에 소재하는 거대한 적석목곽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옛날 무덤은 도굴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가야 무덤이라 해서 예외는 아니어서, 도굴 피해가 극심하다. 그런 까닭에 실제 발굴조사를 해봐도, 그에서 얻는 정보가 많지는 않다. 


지금의 경남 창녕 일대에 근거지를 둔 가야 제국諸國 중 하나인 비화가야非火伽倻가 오늘 심장을 열어젖힌다. 이곳 교동과 송현동 일대에는 비화가야 시대 왕릉을 포함한 최고 지배층들이 묻힌 공동묘지다. 이 일대를 장기 발굴조사 중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올들어 63호분이라고 명명한 무덤과 주변 일대를 조사한 결과 당연히 도굴된 줄 알았던 63호분이 기적적으로 도굴 피해를 한 번도 보지 않은 무덤으로 밝혀졌다. 


종래 이런 미도굴 무덤을 '처녀분'이라 했지만, 요즘은 사석에서 말고는 지극히 성차별적인 용어라 해서 쓰지 아니한다. 


교동 송현동 고분군에서 조사한 무덤 중에 미도굴분으로서는 최초다. 미도굴분이니만큼 우리가 내부 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을 정보는 그만큼 많다. 도굴 피해를 본 무덤은 이미 내부 주요 유물이 거의 다 몽땅 도굴된 상태라 얻을 정보가 그만큼 한정되며, 나아가 그나마 남은 유물이라 해도, 원래 위치에서 이탈한 것이 대부분인 까닭에 가야인들이 남긴 정보를 얻어내기란 무척이나 어려웠다. 


63호분 덮개돌 노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그런 가운데서 도굴꾼 손때를 타지 않은 무덤이 나왔다는데 어찌 흥분할 만한 일이 아니겠는가?


이 무덤이 미도굴분이라는 사실은 이미 사전 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내시경 조사 등을 통해 덮개돌 틈새로 넣어 조사해서 내린 결론이다. 


오늘은 연구소가 저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고, 나아가 뎦개들을 열어제끼기까지 한다. 


물론 문화재청 내부에서는 위험성이 상당히 따른 이른 행사를 해야 하는가 하는 논란이 없지는 않았다. 언론을 불러다 놓고 덮개돌 열다가 만약 사고라도 나면 누가 책임질 것이냐 하는 그런 반대가 없을 수가 없으며, 이런 반대가 없는 조직은 썩은 조직이다. 


나? 나는 당연히 이런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왜 하지 말아야 하는가? 


이제 향후 눈길은 그 내부 조사 성과로 향한다. 부디 유익한 정보 많이 많이 수거했으면 싶다. 


62호분. 2019.11.28.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


도굴된 적 없는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 처음으로 공개

-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공개 11.28. 오전 10:30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종익)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Ⅱ군 39호분과 주변 고분(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 일원)’의 2019년도 발굴조사 성과와 도굴 흔적이 전혀 없이 온전히 발견된 63호분 매장주체부의 뚜껑돌을 들어 올리는 개방 모습을 오는 28일 오전 발굴조사 현장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 

*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는 2014년부터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의 묘역인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사적 제514호) 내 미정비지역(목마산성의 남서편 구릉부분)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2014~2015년의 조사에서는 5세기 중반경의 봉토분(封土墳) 9기, 돌덧널무덤(석곽묘) 15기 등 총 24기의 고분을 조사하였는데, 벽에 나무기둥을 세워 축조하는 방식, 봉토가 서로 가까이 축조되는 연접방식 등을 확인한 바 있다.


2016년부터는 5세기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고분군의 동쪽 제일 상단부분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있다. 대형 봉토분인 39호분(지름 27.5m)을 중심으로, 63호분(봉토 지름 21m)과 소형분(봉토 지름 약 8m)인 38호분, 62호분의 봉토분 4기를 확인했다. 




이 중 63호분은 과거에 한번도 도굴되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는 약 25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는데 이렇게 도굴된 흔적 없이 깨끗한 상태로 발견된 것은 63호분이 최초다. 63호분 바로 위에 위치해 있으면서 나중에 축조된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있어서 도굴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무덤 위에는 길이 2m의 편평한 뚜껑돌 7매가 얹혀져있고, 점질토로 밀봉된 상태였으며, 매장주체부의 내부에는 시신과 부장품을 매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간이 당시 모습대로 남아 있었다.


카메라를 투입해 내부를 살펴본 결과, 현재 다수의 토기들이 보이는 상태로 추가적인 유물도 기대되는 상황이며, 28일 오전 뚜껑돌을 들어 올리는 장비를 동원해 처음으로 내부를 살펴볼 예정이다. 봉토의 표면 등에는 점토덩어리를 바른 흔적이 온전히 남아 있고, 호석이 노출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비화가야인의 장송의례와 고분 축조기술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 호석(護石): 무덤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돌을 이용하여 만든 시설물


한편,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에서 세 번째로 큰 고분인 39호분은 고분군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빗물 등으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중심부는 점토로, 가장자리는 흙으로 쌓았고, 봉분을 쌓는 단계마다 점토를 깔았다. 이런 기법은 울산 약사리유적 등 고대 제방유적에서도 잘 나타난다. 남동쪽 호석 가까이로 약 2m 간격마다 큰 항아리를 놓았는데, 이처럼 한쪽에만 집중적으로 의례용 토기를 놓는 사례는 최근 경주 쪽샘 44호분에서도 확인되어 주목받고 있다.


39호분 호석과 대옹



또한, 39호분은 약 1.5m 길이의 큰 돌을 세우거나(양 장벽과 남단벽), 눕혀서(북단벽) 매장주체부의 네 벽을 만들었는데, 이와 유사한 구조가 성주 성산동고분군 등 대구·경북지역과 일본 나가노의 키타혼죠(北本城) 고분 등 나가노, 후쿠오카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비화가야와 주변국과의 관계를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인근에 있는 소형분인 62호분에는 400여 점의 유물이 이미 출토되었는데, 양쪽에 잔이 달린 토기와 6개의 잔이 달린 등잔형토기, 주전자형 토기와 같이 특이한 모양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상형토기는 주로 가야와 신라지역에서 출토되고 있지만, 창녕에서는 처음 출토된 형태다. 큰 토기 안에 작은 토기를 넣고, 같은 종류의 토기를 위아래로 포개거나 열을 지어 놓는 등 다양한 매납 방식도 확인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비화가야 지배자 무덤의 축조기법과 장송의례, 출토유물 등은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은 국정과제인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사업>을 추진하면서 가야문화의 실체 규명을 위하여 기초연구, 발굴조사, 유적 정비, 문화재 지정과 세계유산 등재 등 기반 조성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앞으로도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28일 오후 3시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굴현장을 공개하므로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하여 관람할 수 있다.


62호분 출토 토기류.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Unveiling of a fully preserved tomb of the ruling class of Bihwa Gaya 

- Excavation survey of group of tombs in Gyeo-dong/Songhyeon-dong, Changnyeong

Unveiling of the site at 10:30 AM on Nov. 28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PARK Jongik)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will announce the results of this year’s excavation survey of Tomb No. 39 of Group II of the ancient tombs in Gyodong/Songhyeon-dong, Changnyeong (Historic Site No. 514) and the nearby ancient tombs at San 5 Gyo-ri, Changnyeong-eup, Gyeongnam. The institute will also present the lifting of the capstone of the burial chamber of Tomb No. 63, which was never looted by tomb raiders, on the site on November 28.


*The capstone of the burial chamber : The burial chamber


In 2014,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began an academic excavation survey of an unexcavated sloping area - situated to the southwest of Mongma Mountain Fortress - which contains a group of ancient tombs in Gyodong/Songhyeon-dong, Changnyeong (Historic Site No. 514), now known to be a graveyard of the ruling class of the kingdom of Bihwa Gaya. The survey conducted in 2014 and 2015 covered nine earthen mound tombs and fifteen stone-chamber tombs dating from the mid-fifth century. The techniques used to build the tombs, such as the erection of wooden poles on the wall and the construction of one earthen mound right next to another, were ascertained during the survey. 




Since 2016,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f the highest, eastern part of a group of ancient tombs, which appear to have been built in the mid to late fifth century. Those examined include Tomb No. 39 (an earthen mound with a diameter 27.5 m), Tomb No. 63 (an earthen mound with a diameter 21 m), and Tombs Nos. 38 and 62 (earthen mounds with a diameter of about 8 m). 


Among the group of tombs, No. 63 has been confirmed as the first tomb never to have been looted. Although there are more than 250 ancient tombs in the group located in Gyodong/Songhyeon-dong in Changnyeong, Tomb No.63 is the first one ever to be found intact, showing no traces of desecration or looting by tomb raiders. It is thought to have avoided such a fate as it lies unexposed, being covered by the tomb situated immediately above it, i.e. Tomb No. 39, which was built a little later than No. 63. The burial chamber was sealed with clay, with seven-meter-long flat stones serving as its capstones. The interior of the burial chamber vividly displays how the deceased and their burial accessories were buried. 


As a result of using a survey camera to view the inside of the tomb, it is expected that many additional items of pottery will be excavated. The inside will be checked for the first time by raising the capstones with lifting equipment on the morning of November 28. The surface of the earthen mound retains traces of clay lumps in good condition, along with exposed decorative stone strips surrounding the tomb. These relics are precious materials that show how a burial was carried out and how tombs were built during the Bihwa Gaya Period.


*Protective stone: protective stone strip surrounding a tomb.


63호분 봉분 노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Tomb No. 39, which is the third largest of the tombs in Gyodong/Songhyeon-dong, Changnyeon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group. Its center part was built with clay, presumably to prevent collapse due to rain water or such like, and edges with soil. Clay was laid on each layer of the burial mound. Such a technique can also be seen in ancient embankments like the Historic Site in Yaksari, Ulsan. Large jars were placed at intervals of about two meters in a section close to the protective stone strip to the southwest. An example of placing ceremonial earthenware on one side of a tomb in this way can be seen at Tomb No. 44 in Jjoksaem, Gyeongju, which has become the focus of considerable interest.


The four walls of the burial chamber were built with 1.5 m-long stones erected (for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walls) or laid horizontally (for the northern wall). Similar structures have been found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n Korea, including a group of ancient tombs in Seongsan-dong, Seongju; as well as those at Kitahonjo Castle, Nagano, Kyushu, Japan. They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point to the existence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ihwa Gaya and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From the nearby Tomb No. 62, a relatively small burial, more than 400 earthenware objects were unearthed, including uniquely shaped objects like an object with a glass hung on both sides, a lamp-shaped relic with six glasses hanging from its sides, and a kettle-shaped object. Other items similar to these everyday objects have been unearthed from areas which used to form part of the territory of Gaya or Silla, and for the first time in Changnyeong. The survey also ascertained diverse methods of burying grave goods, such as putting smaller objects inside a large pottery, or stacking similar types of pottery or arranging them in a line.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iques used to build the tombs of the ruling class of Bihwa Gaya, their burial rituals, and the unearthed relics identified in the survey will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Bihwa Gaya, which appears to have been a diverse and complex culture that shared a border with Gaya and Silla.


We at the CHA have carried out diverse foundation construction works, including basic studies, excavation surveys, the maintenance of historic sites, the designation of new cultural heritage assets, and the listing of certain heritages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substance of the Gaya culture, while promoting the National Project to Survey, Research and Preserve the Gaya Cultural Sphere. We expect to produce tangibl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carried out so far.


The site will be unveiled to the public at 3:00 PM on November 28. It will be a precious opportunity for anyone who is interested in Korea’s ancient culture. 


盜掘されたことのない非火伽倻支配者の墓、初めて公開

 - 昌寧校洞及び松峴洞古墳群發掘調査現場公開11.28。 10:30  - 


文化財廳國立伽耶文化財硏究所は、「昌寧校洞と松峴洞古墳群(史蹟第514號)Ⅱ群39號墳と周邊古墳(慶南昌寧郡昌寧邑校里山5一圓)」の2019年度の発掘調査の成果と盜掘痕跡が全くなく、完全に発見された63號墳埋葬主體部の蓋石を持ち上げる開放姿を来る28日午前発掘調査現場で初めて公開する。

*埋葬主體部:屍身を安置する空間


國立伽耶文化財硏究所では、2014年から非火伽倻最高支配層の墓域である昌寧校洞と松峴洞古墳群(史蹟第514號)內未整備地域(牧馬山城の南西偏丘陵部分)の學術發掘調査を推進している。 2014〜2015年の調査では、5世紀中半頃の封土墳9基、石槨墓15基等總24基の古墳を調査したが、壁に木の柱を立て築造する方式、封土が互いに近く築造される連接方式等を確認している。


2016年からは5世紀中半から後半にかけて造成されたと思われる古墳群の東の方第一上段部分に對し調査をしている。大形封土墳である39號墳(直径27.5m)を中心に、63號墳(封土径21m)と小形墳(封土直径約8m)の38號墳、62號墳の封土墳4基を確認した。


この中63號墳は過去に一度も盜掘されていない完全な狀態で確認された。昌寧校洞と松峴洞古墳群には、約250餘基の古墳が分布するように盜掘された痕跡なくきれいな状態で発見されたのは、63號墳が最初だ。 63號墳のすぐ上に位置していて、後で築造された39號墳封土に包まれていて盗掘被害を受けていないものと見ている。墓の上に長さ2mの扁平な蓋石7枚が加わっており、粘質土で密封された状態であり、埋葬主體部の內部に屍身と副葬品を埋葬したと推定される空間が当時の姿のとおりであった。


カメラを投入して、内部を調べた結果、現在多數の土器が見える状態で追加的な遺物も期待されている状況であり、28日午前の蓋石を持ち上げる裝備を動員して、初めて內部を調べる予定である。封土の表面等には粘土の塊を塗った跡がそのまま残っていて、護石が露出された姿をよく示しており、非火伽倻人の葬送儀禮と古墳築造技術をそのまま大事にしている。

*護石:墓の外部を保護するために石を利用して作成された施設


一方、校洞と松峴洞古墳群で三番目に大きい古墳である39號墳は古墳群の中で最も高いところに位置している。雨水などで因した崩壞を防止するために、中心部には粘土で、エッジは土に積み、封墳を積む段階ごとに粘土を敷いた。このような技法は、蔚山藥泗里遺蹟等古代堤防遺蹟でもよく現れる。南東の方護石の近くで約2m間隔ごとに大きな瓶を置いたが、このように片側のみ集中的に儀禮用土器を置く事例は最近慶州チョクセム44號墳でも確認されて注目されている。


また、39號墳は約1​​.5mの長さの大きな石を立てたり(兩障壁と南端壁)、寝かせ(北端壁)埋葬主體部の四壁を作ったが、これに類似した構造が星州星山洞古墳群等大邱・慶北地域と日本長野の北本城古墳等長野、福岡地域で確認されており、当時非火伽倻と周邊國との関係を示す重要な資料として活用されるものと思われる。


鄰近の小形墳である62號墳には400餘點の遺物がすでに出土された、両側に盞が付い土器と6個の盞が付い燈盞形土器、酒煎子形土器のように特異な形の土器が発見された。これらの象形土器は主に伽耶と新羅地域で出土されているが、昌寧では初めて出土された形だ。大きな土器の小さい土器を入れて、同じ種類の土器を上下に重ねたり、列を作っておくなど多樣た埋納方式も確認された。


今回の調査で確認された非火伽倻支配者の墓の築造技法と葬送儀禮、出土遺物等は伽耶と新羅の接境地域に位置し、複雑で多様な文化が表示される非火伽倻の性格を理解する重要な端緖を提供するものと期待される。


文化財廳は國定課題である「伽耶文化圈調査・硏究と整備事業>を推進しながら、伽耶文化の實體糾明を爲して基礎硏究、發掘調査、遺蹟整備、文化財指定と世界遺産登載等基盤造成事業を段階的に推進してきた。今後も、これまでの調査結果を基盤に可視的な成果を出す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


28日午後3時には、一般人を對象に發掘現場を公開するので、興味のある国民誰でも参加して観覧することができる。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