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언젠가 쓴 것 같지만 우리나라는 문장이 詩보다는 書가 나은 것 같다는 생각이다.
필자가 좋아하는 서문 중에 연려실기술 서문이 있다.
명문이라고 생각한다.
예전에도 올렸었는지 기억이 없는데 다시 올려본다.
내가 열세 살 때에 선군先君을 모시고 자면서 꿈을 꾸었다.
꿈에 임금이 거둥하시는 것을 여러 아이와 길가에서 바라보고 있었는데, 임금께서 갑자기 연輦을 머물게 하시고, 특별히 나를 불러 앞에 오라 하시더니, “시를 지을 줄 아는냐.” 하고 물으셨다.
“지을 줄 압니다.” 하고 대답하였더니 임금께서, “지어 올리라.”고 하셨다.
내가 “운韻을 내어 주소서.” 하였더니, 임금께서 친히, “사斜ㆍ과過ㆍ화花 석 자를 넣어 지으라.” 하셨다.
잠깐동안 시를 생각하는데, 임금께서 “시가 되었느냐.” 물으셨다. 대답하기를, “시를 겨우 얽기는 하였습니다마는 그 중에 두 자가 미정이어서 감히 아뢰지 못하겠습니다.” 하였더니, 임금께서 “말하여 보라.” 하셨다.
곧 아뢰기를, “‘비가 맑은 티끌에 뿌리는데 연輦 길이 비꼈으니, 도성 사람들이 육룡六龍이 지나간다고 말하네. 초야에 있는 미천한 신하가 오히려 붓을 잡았으니, □□학사의 꽃을 부러워하지 아니하네.’ [雨泊淸塵輦路斜 都人傳說六龍過 微臣草野猶簪筆 不羨□□學士花] 이렇게 시를 지었는데, 끝 구의 학사 위에 두 자를 놓지 못하였습니다.” 하였더니,
임금께서, “네가 놓지 못한 두 자는 ‘배란陪鑾’이란 두 자를 넣었으면 좋을 듯하니, 의당 ‘임금 모시는 학사의 꽃이 부럽지 않네.’가 될 것 같다.” 하셨다.
내가 놀라 깨어 선군에게 고하였더니, 선군께서, “이것은 길몽이다.” 하셨고 내 생각에도 역시 훗날 어전에서 붓을 가질 징조인가 하였는데, 그 후 내가 궁하게 숨어 살게 된 뒤로는 전연 잊어 버렸다.
요즘에 와서 문득 생각하니, 초야잠필草野簪筆이란 글귀가 늙어서 궁하게 살면서 야사를 편집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이 어릴 적에 꿈으로 나타난 것인 듯하니, 실로 우연이 아니라 모든 일이 다 운명으로 미리 정해져서 그런 것일 것이다.
훗날 어전에서 붓을 가질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학사는 하루 하루 살아가는데
늙어서 궁하게 살며 야사를 편집할 것이라는 예언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이미 너무 늙어 어찌 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서문은 정말 가슴을 치는 바가 있다.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0) | 2023.10.21 |
---|---|
이미자 선생의 금관문화훈장 (1) | 2023.10.20 |
20년전 일본학회의 회고와 변화한 세상 (1) | 2023.10.18 |
현장은 현장을 지키는 사람에게 (0) | 2023.10.15 |
왜 이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가 (1) | 2023.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