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윤기가 흐르는 쌀밥

by 초야잠필 2023. 11. 8.
반응형

요즘은 윤기가 흐르는 쌀밥 만들기가 쉽다. 

물조절만 적당히 해서 전기밥통에 넣어버리면 알아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밥은 좀 짓는다. 

옛날 학생 때 코펠 하나 들고 안 돌아다닌 때가 없던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코펠로 쌀밥을 제법 잘 지었었다. 

그때 느낀 것이 

쌀밥이라는 게 의외로 짓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코펠은 바닥이 얇아 당시 석유버너로 밥을 하면 

첫째는 뚜껑으로 김이 빠져나가면 밥이 설고, 

아래의 불조절이 잘 안되면 이 역시 밥이 설거나 다 태워먹기 때문이다. 

밥이라는 게 의외로 상당히 짓기가 쉽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필자가 박물관에서 청동기시대 이래의 토기를 보면 항상 든 생각의 하나가. 

과연 저걸로 밥을 쉽게 지었을까 하는 것이었다. 

일단 불조절이야 어떻게 한다고 해도, 

김이 빠져나가는 것을 어떻게 막았을까. 

결국 저 토기 위에는 나무 뚜껑을 덮고 그 위를 무거운 돌로 누를 수 밖에 없을 텐데, 

과연 저 토기가 그 무게를 견딜수 있을까. 

그래서 필자는 토기로 밥을 지어 뜸까지 들였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 
 
그 이후에 언제부터인가 그 시절에는 밥을 쪘다는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했다. 

그 소리를 듣고 무릎을 쳤다. 

그러면 그렇지. 

처음에는 밥을 다 쪄서 먹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밥을 뜸들이기 시작했을까. 

우리는 이제는 전기밥통의 시대라 뜸들이기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데, 

이거야말로 쌀밥의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은 사건이라 본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아마 무쇠솥이 쓰이면서 비로소 밥 뜸들이기가 퍼져나갔으리라 보는데, 

무쇠의 위대함은 일반인들은 농기구나 무기보다는 쌀밥의 맛에서 먼저 느끼지 않았을까. 
 

청동기시대 토기로 밥 뜸들이기가 가능했을까. 필자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이 시대 밥은 모두 쪄서 먹기였을 것이다. 그 흔적이 남은것이 일본의 강반, 찐밥으로 본다. 한반도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밥은 상당기간 쪄서 먹었을 것이다. 일본농경의 원류는 한반도이기 때문이다.



*** editor's note ***


이 문제가 그토록 중요한 문화사 국면임에도 간과된 까닭은 그 짐을 짊어져야 할 고고학이 양식 제조기술 타령에 빠졌기 때문이다.

왜 저 그릇을 만들었고 그것을 어떻게 썼는지 라는 가장 중대한 의문은 팽개친 체 모양 타령만 일삼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고고학은 그 뻘짓거리에 여념이 없다.

심지어 토기에다가 없는 정치색깔까지 붙이는 꼴을 보면 한심해서 돌부처도 돌아눕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