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율령국가라는 개념

by 초야잠필 2023. 12. 21.
반응형

일본사에서나 쓸 수 있는 개념이지 

이걸 들어다가 아무대나 잣대를 들이대는 안되는 개념이라고 본다. 

이전에도 썼지만 율령국가란 

일본사에서 중국식 왕조가 존속했던 기간을 말한다. 

한반도 백제 멸망이후 견당사 파견, 헤이안 시대가 대략 율령국가와 얼추 일치하는 기간인데 

이 기간 동안 정확히는 한반도 시스템과 결별하여 

당나라의 제도를 직수입해 그대로 복붙한 시스템이 일본에서 작동한 기간이며

일본에서 중국식 왕조가 기능했던 거의 유일한 기간이기도 하다. 
율령국가, 육국사, 화폐의 발행 등등 잡다하게 이 시기를 서술하지만 

당시이 일본은 당나라의 제도를 그대로 복붙한 것이라 보면 가장 이해가 쉽다. 

육국사? 당의 실록이다. 

화폐의 발행? 당나라에서 하던 대로 주조한 것. 

와카? 당나라 이백 두보 백거이로 상징되는 당시의 이식이다. 

심지어 조방제에서 관제까지 전부 중국식으로 다 뜯어고쳤고
육조 귀족들 흉내내다 망한 것이 헤이안 귀족이지 딴 것 없다. 

국풍문화라고 이야기 하지만 이것이 과연 국풍일까 곰곰히 들여다 보면 오히려 당대 문화의 카피 아닐까 의심스러운것들이 많다.  
 

 
그런 면에서 일본사에서는 율령국가라는것이 의미가 있는 개념인데 

이를 들어 한국사에 대입하는 시도는 별로 의미 없다고 본다. 

율령국가의 시각으로 한국사를 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면
무가정권도 무신정권과 비교하여 검토도 해야 하는데 
이건 또 안 한다. 

안 하는 이유를 들어 보면 한국의 무신정권은 왕권을 끼고 성립하여 왕권의 권위 없이는 성립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예로 드는 경우를 보는데

일본도 그건 그렇다. 

왕권을 끼지 않고 무가정권이 어떻게 성립을 하겠나? 

왕권이 필요 없다면 전국무장들이 왜 조라쿠를 하려고 그 난리를 쳤겠나. 

비교를 하려면 전부 다 놓고 비교를 하던가 

비교를 안하려면 전부 하지 말던가 해야지 않을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