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읽을만한책] GDP가 만들어낸 경제성장의 신화

by taeshik.kim 2019. 12. 29.
반응형

"성장신화는 이제 그만"…GDP의 정체를 밝히다

송고시간 | 2019-12-26 11:28

데이비드 필링의 저서 '만들어진 성장', 기존 믿음에 도발적 제언



GDP, Gross Domestic Product, 흔히 국내총생산이라고 옮기는 대표적 경제지표 중 하나다. 이를 해당 국가 인구로 나누면, 그것이 곧 1인당 국민소득, Per capita income, PCI가 아닌가 하는데, 내가 하도 이쪽에서는 멀어진지 오래라 자신은 없으니 근거있는 얘기로 받아들이지는 말기 바란다. 이것 말고도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GNI)라는 것도 있어, 내가 배울 적에는 gross national product (GNP)라 했던 듯하다. 1인당 국민소득은 후자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닌가 하는데, 이젠 이런 것도 일일이 찾아보기도 귀찮다.  


특정 국가 경제 총생산을 양적으로 수치화한 것임은 분명하다. 


한데 저런 수치를 접할 적마다, 의문이 든다. 대체 무엇을 근거로, 어떻게 수치화하는지 말이다. 물론 나같은 월급쟁이를 기준으로 한다면, 연봉 총액이 있을 테고, 그것을 기반으로 삼아, 그 연봉에다가, 그에 따른 금융소득이나, 기타 소득을 합쳐 블라블라할 테지만, 이에서도 총생산에 따르는 손실 혹은 지출은 또 어찌 해야하는지 등등...나같은 월급쟁이라 그렇다 치고, 그렇지 않은 다른 사람들은? 예컨대 농부나 어부들은?? 


이런 의문을 품으면서도 "뭐 그쪽 전문가들이니 어련히 알아서 잘 하겠는가?" 하고 대부분 돌아서고 만다. 




데이비드 필링 David Pilling 은 GDP가 대표하는 경제정책을 비판한다. 정책 추진자들이 저 수치를 근거로 우리 경제가 나아졌니, 선진국에 들었니, 세계 몇대 경제대국이니 설레발 치지만, GDP는 "사물을 상당히 왜곡시켜 보여주는 놀이동산의 거울과 비슷하며, 이는 현실과의 괴리를 점점 키운다고 비판한다. 이를테면 '깨진 겨울'이라는 것이다"고 말한다. 


경제성장률 척도라는 GDP 자체가 근본에서 결합 투성이요 오류로 점철하니, 그것을 기반으로 경제가 성장했니 하는 설레발은 '만들어진 성장'이라고 한다. 


필링은 저자 약력을 찾아보니 파이낸셜타임즈에서 약 30년간 근무한 기자라 한다. 1990년에 이 신문에 합류한 그는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비즈니스, 투자, 정치 및 경제에 관한 칼럼들을 썼다고 한다. 파이낸셜타임즈 도쿄 사무국장, 아시아 에디터를 역임했고 현재는 아프리카 에디터라는데 한마디로 좀 잘 나가는 신문기자다. 


GDP가 언제 누구에 의해 탄생했으며, 그것이 현실을 어떻게 왜곡하는지 등등을 신문기자 특유의 문체로 파헤친 듯한데, 일독을 권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