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유이긴 하겠지만 공자는 원색파라 그 계열인 붉음의 주색朱色에 견주어 자색紫色은 간색間色이라 해서 증오했다.
같은 맥락에서 음악도 아정한 아악을 선호하면서 정鄭나라 음악은 질펀하다 해서 음악으로 치지도 않았다.
하지만 공자의 바람과는 달리 자색이 버림받은 적은 없고 대중음악 역시 무게감은 애국가를 언제나 압도했다,
애국가는 끓어오르는 정념을 짓누르고자 김세정이 화장실로 달려가 찬물 끼얹고는 잠시간 불러보는 진정제였을 뿐 결국은 정념에 져서는 선자리 나간 강태무를 질투하는 정열의 음악에 지고 말았다.
자색은 대중이 열광한 색깔이다.
그건 정열이고 정념이며 신이이며 신비였다.
자목련이 핀다.
봄은 정념이다.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치와 장엄, 그 한 컷 차이 (1) | 2022.04.05 |
---|---|
괘릉이 상념하는 아구창 날리던 체육선생 (1) | 2022.04.04 |
임란 귀무덤 코무덤을 옮겨온다고? 왜??? (1) | 2022.04.01 |
색복色服을 상징에 응용하는 21세기 독재자 김정은 (1) | 2022.03.27 |
섬진강 변 구례로 미리 마중 나간 봄 (1) | 2022.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