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정재숙 청장의 결단, "영문보도자료도 병행하라"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8. 5.
반응형

문화재청이 5일 배포한 〈『한국고고학전문사전-생산유적편』 발간〉 제하 보도자료에는 '(국영문 동시 배포)'라는 단서가 달렸다. 실제 이 보도자료를 보면 국학문 병용이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가마·제철·공방 등 생산 관련 유적 용어 해설 1,855건 집대성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한반도 내 가마, 제철, 공방 등 생산유적 관련 조사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한국고고학전문사전-생산유적편?을 발간하였다. 

이 사전은 가마나 제철 공방 등 생산과 관련된 유적의 현황과 개념‧관련 개념들의 용어를 총 정리한 것으로, 2016년부터 표제어 선정과 원고 집필, 감수, 교정, 편집의 과정을 거쳐 최근 작업이 마무리됐다.

개념표제어 342건, 유적표제어 1,513건으로 총 1,855건을 수록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생산유적을 비롯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신석기시대에서 근대까지의 전 시기를 다루었다. 본 책자에 수록된 유적표제어는 유구 성격에 따라 토기·기와·자기·도기·제철·목탄 등으로 구분하여 용어해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연구 성과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면, 사진뿐만 아니라 생산유적의 성격별(한글, 한자어, 분야별) 색인 등을 실어 일반인과 연구자들의 이해와 편의를 도왔다.

아울러, 지정문화재 147건에 대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에 게시된 QR코드를 삽입해 문화재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해당 유적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그동안 우리나라 고고학계의 연구 성과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용어를 해설하고 자료를 정리한 주제별·시대별 고고학사전을 지속해서 발간해 왔다. 고고학 분야별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지금까지 『한국고고학사전(2001)』을 비롯하여 주제별(고분편, 성곽봉수편, 고분유물편), 시대별(구석기시대편, 신석기시대편, 청동기시대편)로 총 7권의 책을 국문판으로 발간한 바 있다.

이번 생산유적 편은 고분편(2009년), 성곽·봉수편(2011년), 고분유물편(2015년)에 이은 네 번째 주제별 사전으로, 우리나라 생산과 관련한 고고학 연구에 더 넓은 이해와 연구 활성화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국문판 외에도『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한국고고학전문사전)』와『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The Paleolithic(한국고고학전문사전-구석기시대편)』영문판 두 권을 발간하여 ‘한국고고학의 세계화’와 학술교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문화재 조사연구의 성과와 역량을 해외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고고학전문사전-생산유적편』은 국내·외 국공립 도서관과 국외 연구기관 등 관련 기관에 배포되며,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http://www.nrich.go.kr,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을 통해서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문화유산을 연구·발굴·보존·복원하는 국가기관으로서 앞으로도 활발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우리 문화재 조사연구 성과를 다양한 자료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 Production Sites』Published

- Compil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of production-related sites such as kilns, steel mills, workshops, etc.,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oi Jongdeok, Director General) published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 Production Sites』, compil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production sites like kilns, steel mills, workshops, etc.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dictionary, consisting of research outcomes about the current states, conceptions and terminology of production-related sites, has been completed after a selection of entries, manuscript writing, supervision, proofreading, and editing processes from 2016 to 2019. 

1,855 entries including 342 concepts and 1,513 sites are contained, while a broad time span from the Neolithic to the modern era, where sites and features related to production are to be discovered, was applied. The entries in this book provide a glossary that is classified into potteries, roof tiles, porcelains, metal, charcoal, etc.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lso to help the public and the researchers clearly apprehend the associated research achievements, not only figures and images but also indexes by various attributes (in Korean, Sino-Korean, by field) are included.

Additional information is available through embeded QR codes from the cultural heritage portal site, http://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 147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sites.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ing various dictionaries interpreting the terms and organizing information from the research outcomes in Korean archaeology, divided into categories like sites, artefacts, notions, etc.. Experts of various fields have participated to publish seven books consisting of ones divided by topics (Ancient Tombs, Castles and Signal Fires, Burial Goods in the Ancient Korean Graves) and by era (the Paleolithic, the Neolithic, the Bronze Age) alongside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2001)』 in Korean. 


고고학사전


 The Production Sites-issue, the fourth topic dictionary after the Ancient Tombs-issue (2009), the Castles and Signal Fires-issue (2011), and the Burial Goods in the Ancient Korean Graves-issue, is expected to provide a broader understanding and a solid foundation for an active research on Korean archaeology related to production.

Also, the『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and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The Paleolithic』 published in English will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rchaeology and active promotion of the achievements and the competenc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research.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 Production Sites』 will be distributed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brar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also will be available to the public through the NRICH website (www.nrich.go.kr, Cultural Heritage Research Knowledge Portal).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the Cultural Administration, as the only state institution that researches, excavates, conserves, and restores cultural heritage, will keep on providing research outcomes through various materials by actively engaging in studies and research on our cultural heritage.


그에 앞서 지난달 25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배포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송제리 고분 발굴성과 역시 먼저 국문 보도자료를 배포했다가 나중에 영문보도자료를 첨부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송제리 고분 현장설명회 개최 / 7.26. 오후 2시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훼손고분 기록화」 사업의 하나로 시행 중인 ‘나주 송제리 고분(전라남도 기념물 제156호)’ 발굴조사에서 백제 성왕대의 은제 관식과 허리띠 장식, 청동 잔, 말갖춤, 호박 옥 등이 확인되어 오는 26일 오후 2시에 출토 유물을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 발굴현장: 전남 나주시 세지면 송제리 산14-1번지

* 성왕(523~554): 무녕왕의 아들로 538년 부여로 천도를 단행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 중국 양나라와 교류, 일본에 불교 전파, 중앙 관제와 지방 통치 조직을 정비하는 등 왕권 중심의 국가 운영체제를 확립

나주 송제리 고분은 1987년에 도굴된 상태로 세상에 처음 알려진 고분으로, 이후 2000년에 돌방(석실, 石室)에 대한 간단한 실측조사가 한차례 이루어지면서 돌방의 평면은 사각형에 가깝고, 천장은 활이나 무지개처럼 높고 길게 굽은 ‘궁륭형(穹隆形)’이며, 벽면은 석회가 칠해진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이 고분은 옹관 핵심 분포권에 자리해 그 축조 시기와 성격을 둘러싸고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나주 송제리고분 발굴


이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송제리 고분의 구조와 축조방법을 밝히고, 보존‧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오는 9월까지 정밀발굴조사를 추진 중이다. 이번 조사로 ▲ 고분의 규모와 구조, 축조 방법 및 새로운 고분 확인, ▲ 은제 관식 등 백제 성왕대 왕실 지배층의 복식과 말갖춤 등 영산강유역 고대 정치조직의 실체와 변화상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먼저, 고분 규모는 지름 20m 내외, 높이 4.5m로 원형의 평면 형태이며, 외곽에 원형의 도랑을 갖추고 있는데 이 내부에서 200여 점의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돌방은 기초를 1m 가량 다진 후에 분구(墳丘, 봉분)와 함께 쌓아 만들었다. 돌방은 길이 3m, 너비 2.7m, 높이 2.5m인 사각의 평면인 널방(현실, 玄室)의 가운데에 길이 4.2m인 널길(연도, 羨道)이 달린 구조를 하고 있다. 아울러 인접 지점에서는 기존에는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고분 1기가 매장시설이 모두 훼손된 상태로 확인되었다.

  * 현실(玄室): 무덤 속의 주검이 안치되어 있는 방

  * 연도(羨道): 무덤의 입구에서 널방에 이르는 통로

돌방 내부에서는 관모장식인 ‘은제 관식’이 나왔는데, 장식 모양이 기존에 발견되었던 ‘은화관식(銀花冠飾)’과는 다른 형태이다. ‘관식’은 관모에 부착하는 장식으로 백제 지배층 고분에서 주로 나오는 유물이다. 기존 은화관식은 꽃봉오리 모양이 주를 이뤘던 반면, 이번에 나온 관식은 풀잎 모양으로 차이가 있다. 재질(은제품)과 제작기법(좌우 대칭, 은판을 오린 다음 접어 만들기)은 은화관식과 동일하지만, 함께 출토된 유물들을 볼 때 은화관식으로 정형화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웅진기 말에서 사비기 초의 공백을 메워주는 첫 사례로 평가된다.


나주 송제리고분 출토 금속기물


* 은화관식(銀化冠飾): 백제 고위관료인 나솔(6품) 이상이 이마에 착용했던 장식품으로 은판을 접어서 상단은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이 1쌍이나 2쌍으로 대칭되고, 하단은 특수하게 제작된 틀에 꽂아 고정함

은제 허리띠 장식은 허리띠 끝장식, 교구(鉸具, 버클), 과판(銙板)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교구는 버섯 모양으로 교침(鉸針)이 없는 형태인데, 백제 웅진~사비기의 과도기적인 모습이다. 과판은 심장 모양으로 연결고리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졌다. 이 밖에 청동 잔, 호박 옥, 장식칼 부속품은 공주 무령왕릉 출토품과 동일하며, 관못은 못 머리가 둥글고 은으로 감싼 원두정(圓頭釘)으로 주로 백제 고위층의 무덤에서 확인된다.

 * 허리띠 끝장식(鉈尾): 허리띠 끝에 부착하여 허리띠를 아래로 늘어뜨리는 기능을 함

 * 교구(鉸具, buckle): 허리띠의 양 끝을 마주 걸어 고정하는 기능을 함

 * 과판(銙板): 허리띠 중간에 부착하여 칼이나 화살통 등을 거는 기능을 함

 * 교침(鉸針): 버클 가운데 위치한 상하로 움직이는 침


말갖춤은 발걸이(등자, 鐙子)와 말 다래 고정금구가 출토되었다. 발걸이는 바닥은 평면이고 윗면은 둥근 모양으로 발을 딛는 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그 윗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들이 있다.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유물은 의령 경산리와 진주 옥봉 출토품이 있다. 말 다래 고정금구는 원형 철판 중앙에 교구(鉸具)가 부착되어 있다. 서울 홍련봉 2보루를 비롯하여 합천 옥전과 경주 미추왕릉에서 출토된 바 있다.

  * 말 다래 고정금구(장니교구, 障泥鉸具): 말을 탈 때 진흙이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말 옆구리 양쪽으로 늘어뜨리는 방형 부속품을 말 등에 걸 때 가죽 끝을 걸어주는 금구 

나주 송제리 고분의 유물은 이 무덤의 주인공이 가장 높은 위계의 인물이고 주로 활동한 시점은 백제 성왕대였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무덤이 영산강유역의 중심지인 나주 복암리나 반남지역과 떨어져 위치하게 된 배경과 당시 이 지역의 정세에 대해서는 앞으로 풀어 나가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나주 송제리 고분군 발굴조사가 마무리되면 구조 안전성 점검과 정비·복원을 거쳐 지역민들이 관람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지만 훼손의 우려가 있는 지역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Archaeologists from the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ve uncovered a silver ornament of government official’s hat, a bronze cup, parts of horse’s harness, an amber accessory believed to be made during King Seong (r 523-554) 1 of Baekje Dynasty (18 B.C.-A.D. 660) from Ancient Tomb in Songje-ri, Naju2 in Korea’s South Jeolla Province.

The silver ornament of government official’s hat suggests that the tomb belonged to ruling class of Baekje. The silver ornament which depicts blades of grass is rare, as silver ornaments of government official’s hats from this era usually portray flower buds.

1. Son of King Muryeong, King Seong declared the city of Buyeo as the new capital in 538 and renamed the dynasty as ‘Nam Buyeo.’ He sought active exchanges with China’s Liang dynasty (502-557) and propagated Buddhism to Japan. He streamline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2. Located in Seji-myeon, Naju-si, Jeolla Namdo, Ancient Tomb in Songje-ri, Naju is Korea’s provinc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Monument No. 156 of Jeolla Namdo.’


나주 송제리고분 출토유물


Archaeologists first found out about the tomb when it was robbed in 1987. In 2000, they conducted an on-site study of its stone chamber, through which they learned that the chamber has a dome-style ceiling and lime-covered walls.

The tomb garnered much interest from historians due to its proximity to a group of tombs that feature onggwan, a unique form of clay coffins that local settlements created. Onggwan, which is large enough to fit in an adult male, can only be found in this region.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conducting archaeological exploration of the Ancient Tomb in Songje-ri, Naju from November of last year. It is also part of the institute’s efforts to document findings from damaged tombs in the region. The exploration of this tomb will conclude in September.

Archaeologists were able to identify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omb and how and when it was constructed. They also discovered a new tomb nearby in the process. The silver ornament of a hat, parts of horse’s harness and other artifacts provide new clues to a political entity in the Yeongsangang River area.

Historians believe there was an independent polity in the Yeongsangang River area and archaeological findings also show local settlements had a distinct culture. Historians, however, are divided as to when that political entity collapsed and Baekje took control of the Yeongsangang River area.


나주 송정리고분군 출토 호박대롱옥


TOMB AND ITS STRUCTURES

The tomb measures 20 meters in diameter and 4.5 meters in height. There is a ditch around the tomb where archaeologists unearthed about 200 pieces of earthenware.

The stone chamber was built above a one-meter-high foundation. It is at a ground level, which archaeologists say is rare for tombs of this era.

There is a 4.2-meter-long hallway to hyeonsil, the room where the deceased is laid. This room is in a rectangular form, measuring 3 meters in length, 2.7 meters in width and 2.5 meters in height.

Archaeologists have also discovered a new tomb that had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ts stone chamber, however, is significantly damaged.

HAT ORNAMENT

Silver ornaments of government official’s hats3 are generally unearthed from the tombs of ruling class of Baekje Dynasty. But the ornament found from this tomb depicts blades of grass, unlike ornaments uncovered in the past which usually portray flower buds.

1. Silver ornaments of government official’s hats from this era usually feature symmetry of one or two pairs of flower buds on the upper part. Government officials above the rank of nasol (sixth-highest rank) wore this on their forehead.

They are all made of silver, and the techniques used are the same. Craftsman made thin silver boards and cut out certain forms. Then they would fold to make symmetrical patterns. Historians believe the ornament from this tomb is the earlier form of such standardized hat ornaments.

나주 송제리고분 출토 허리띠드림장식


OTHER ARTIFACTS

Archaeologists also found parts of a belt. They include elongated ends; buckles shaped like a mushroom; parts where a person can hang a sword or quiver, which is shaped like a heart.

The buckles, in particular, do not have a needle, from which historians believe the artifact is produced in a transitional period when Baekje’s capital was changed to Buyeo (then called Sabi) from Gongju (then called Ungjin).

A bronze cup, an amber accessory and a part of an ornamental knife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The nail used to seal the coffin has round head and is covered with silver, like those from the tombs of the Baekje ruling class. 

Archaeologists also uncovered parts of horse’s harness. They include stirrups whose surfaces are bi-forked and uneven, to be skid-proof. These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san-ri, Uiryeong and Okbong, Jinju. They also unearthed a buckle for dirt guards. They are similar to those from Fortress No. 2 of Hongryeonbong, Seoul; Okjeon, Hapcheon and Michu Royal Tombs in Gyeongju. 


WHAT FUTURE HOLDS

These relics suggest that the tomb in Songje-ri, Naju belonged to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 The ornaments were clearly part of the wardrobe worn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during Baekje Dynasty.

Historians, however, will have to examine further to understand better why such a tomb is situated far away from Bokam-ri and the Bannam region in Naju, the center stage of the Yeongsangang River history.

Once the exploration of the Ancient Tomb in Songje-ri, Naju is concluded,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lans to conduct safety check and maintenance procedure. It will then restore the tomb so that locals can visit. 

The institute will continue to play the pivotal role in the study of ancient cultures in the Yeongsangang River region and work on various ways to preserve and manage cultural heritage sites in the region that are of high academic value.


나주 송제리고분 출토유물



한글로 백날 보도자료 내고 논문 써봐야 뭐하나?
누가 알아는 준다든가?
한글로만 보도자료 배포하니 매양 그걸 자체 해독하거나 구글 번역기로 돌려서 보는 일본고고학계용 아니었던가?

일본이 아니라 당당히 세계무대로 나가라!
영어로 쓰라!

송고시간 | 2019-08-05 15:22
문화재청, 보도자료·보고서 영문 서비스 강화 추진

이런 결정은 정재숙 문화재청장의 강력한 의지의 소산이다. 
취임 일성으로 국제화를 내세운 그는 근자에는 그 일환으로 주요한 발굴성과라든가 주요한 문화재 보수현장 소식 등에 대해 우선적으로 영문자료 병행 발행을 지시했다. 

물론 영어로 쓴다 해서, 배포한다 해서 그것이 곧 세계에 통용되거나 읽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구상 어디에서는가는 그것을 보는 독자가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의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 

조만간 전국 도하 문화재조사단에도 같은 지시가 내려갈지도 모른다. 

지시 내려가기 전에 알아서들 영문보도자료 배포하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