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제주원숭이

by taeshik.kim 2023. 2. 23.
반응형

<조선왕조실록을 읽다가>

 

Japanese macaque 위키피디아 영어판 설명은 다음과 같다. The famous Japanese warrior Kato Kiyomasa was depicted with his macaque who holds a writing brush, by Tsukioka Yoshitoshi (1883)

 

 


세종대왕이 나라를 다스린지 16년째 되던 1434년 4월 11일, 왕은 전라도 관찰사에게 다음과 같은 명을 내린다.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김인金裀이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있을 때 원숭이[獿子] 여섯 마리를 잡아 길들이게 하여, 지금의 목사 이붕李鵬에게 전해 주고 왔는데, 특별히 사람을 보내어 육지에 가져오게 할 것은 없으니, 만일 어떤 사람이든지 와서 주의하여 먹여 기르겠다면 육지로 가지고 나와서 풀이 무성한 섬[島]이나 갯가에 놓아 기르게 하되, 혹시라도 사람들로 하여금 잡아 가지 못하게 하고 힘써 번식하도록 하라." 

 

이를 보면 제주목사가 제주에서 야생원숭이를 잡아 길들여서 후임자에게 인수인계까지 했음을 알 수 있다. 제주에 원숭이가 진짜 살았을까? 

 

한국 야생 원숭이가 멸종한 까닭은 이런 온천이 적어서일까? 일본 원숭이.

 


기실 부여의 특산물 중 '원숭이가죽'이 보이고, <삼국유사> 같은 데도 원숭이 얘기가 가끔 나오며, 고려시대에는 고관들이 자기 집에서 원숭이를 기르기도 했다. 우리네 조상한테 원숭이가 영 낯선 동물은 아니었던 것이다. 또 동북아시아 삼국 중 중국과 일본엔 원숭이가 많은데 우리나라만 없다는 것도 좀 희한한 일이기는 하다.


과연 제주에 야생원숭이가 살았을까. 이로부터 2년 뒤, 제주 안무사 최해산(최무선 아들)이 원숭이와 노루 한 쌍씩을 바쳤다는 기록이 <세종실록>에 전한다. 노루야 지금도 제주에 더러 있지만 원숭이는? 일본이나 유구국과 교역하며 얻은 게 아니라면 야생원숭이를 잡은 것이라는 말밖에 안된다. 

 

참고로 이때 최해산이 바친 원숭이와 노루는 궁중에서 잠깐 기르다가 인천 용유도로 보내 놓아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용유도에 그 친구들 후손이 남아있지는 않은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