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漢籍 긁적이기 시작한지 30년 만에 나는 다음과 같은 정의 하나를 도출한다.
"注疏란 시간과 공간의 간극의 메우고자 하는 간섭이다."
"An annotation is the interference to bridge the gap between two times or two spaces."
(2014. 3. 21)
***
주소注疏는 그 기점이 언제나 here and now다. 다시 말해 주석은 지금을 준거로, 이곳을 준거로 그때를, 저곳을 해석하려는 간섭이요 다리놓기다.
번역 역시 실은 주소注疏다.
주소 annotation 와 번역 translation 은 흔히 같은 문화권 혹은 같은 언어권에서 일어나는가 아닌가를 여부로 판별하나, 근간은 번역이라는 점에서 그랜드디자인이 같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新羅 국모묘國母廟로서의 신궁神宮 (0) | 2023.03.29 |
---|---|
논어論語, 공자의 말씀? 시대가 원한 공자의 말씀? (0) | 2023.03.21 |
비봉에서 조망하면, 진흥왕시대 신주新州 혹은 북한산주北漢山州 주치州治는 구기동 일대! (0) | 2023.03.20 |
장영실, 과학에 주린 국민국가 대한민국의 호명 (0) | 2023.03.16 |
쿠푸王 大피라미드와 홍해문서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