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추사秋史와 일본도日本刀

by 버블티짱 2022. 3. 7.
반응형
섬이라는 지형상, 제주에는 바다에 나갔다가 표류하여 외국에까지 흘러가는 이가 적지 않았다.
 
아예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겠지만, 19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동아시아 각국은 표류민에 상당히 관대해, 먹을 것을 내어주고 잘 대접한 뒤 고이 돌려보내주곤 했다. 
 
우리의 추사 김정희(1786-1856) 선생이 제주에 머무를 때도 그런 과정을 거쳐 일본에서 돌아온 이가 있었던 모양이다.
추사의 제자 박혜백朴蕙百이 어쩌다 그런 사람을 만났는데, 어떻게 가능했는지는 몰라도 그가 사무라이들이나 갖고 다니는 일본도를 갖고 있는 게 아닌가. 무슨 수를 썼는지 그가 그 칼을 얻어와서 스승 추사에게 보여드렸다.
 
 
 
붓의 대가 추사와 '니뽄도'라니 이렇게 안 어울릴 수가 있나 싶지만, 사실 추사는 일본 칼이 낯선 사람이 아니었다. 젊어서 청나라 문인들과 편지로 교류할 때 어떤 이가 그에게 "일본도 세 자루만 구해주시오"라는 글을 보내왔다.
 
필시 동래왜관을 통해서 일본도를 구해 베이징으로 보냈으리라. 그로부터 수십년이 지나 이 절해고도에서 늙은 추사 본인이 다시 일본도를 만날 줄이야!
 
시퍼런 날을 호롱불에 비추어보자니, 추사 선생은 일본에 그렇게 많다는 일서逸書(없어진 줄 알았던 책)들이 문득 떠올랐던가보다. 이에 시를 지어 제자 박혜백에게 주었다. 계첨은 그의 자이다.
 
 
'도랍'을 살펴 보니 진나라 때 유물이라 / 情知刀臘是秦餘
아라비아와 유럽도 같지 못할 뿐이겠나 / 大食紅毛不啻如
후지산 산 빛깔이 푸르러 눈에 드니 / 富士山光靑入眼
불에 타기 전 글을 자네 다시 찾아보라 / 煩君更覓火前書

- 계첨이 배가 표류되어 돌아온 사람에게서 일본도를 구득하여 보여 주기에 부질없이 이 시를 빨리 불러서 주다[癸詹從漂船歸人 得日本刀而見示 漫此走呼贈之]
 
 
'도랍'이란 양면에 날이 있는 칼을 말한다고 한다.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 주註에 “도씨桃氏가 칼을 만드는데 납臘의 넓이가 2촌 반이다.” 하였고, 소疏에 “양면에 다 날이 있음.”이라고 하였다. 그때 추사가 본 일본도는 외날 刀가 아니라 뒷면에도 날이 있는 것이었던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