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사와 일본사는 왜 달라졌는가

by 초야잠필 2024. 11. 25.
반응형



필자 같은 아마추어의 이야기가 

역사의 거대시각에는 유용할 때가 있을 것이다. 

숲에 들어간 사람들은 산을 못보는 법이다. 

여산진면목이라 했지 않나. 

한국사와 일본사는 

처음부터 같은 농경사회를 포맷하고 시작했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고분시대-아스카 시대까지는

한국사회를 복붙한 것이 일본사회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달라졌을까? 

우리는 이를 심상하게 봐서는 안된다. 




신채호가 조선역사상 이천년래 대사건이라 하고 

묘청의 난을 들었지만 

사실 이와는 다른 의미에서 중요한 사건이 한국사에는 있었는데 

우리는 전시과체제와 과전법 체제를 신왕조가 수립한 후

문란해진 토지제도를 정비한 사건으로 간단히 처리하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

이건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닌 듯 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사전이 광범하게 퍼진 것을 

일거에 공전으로 돌려버린다는 것인데 

이는 북한에서 장마당 경제를 취소하고 배급으로 돌아간다는 것과 같은 것이니

그 충격파가 적을 수도, 

역사적 의미가 미미할 수도 없는 사건이라는 뜻이다. 

전시과 체제와 과전법 체제의 수립이

원인일지 아니면 또 다른 원인의 결과일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 사회가 토지의 공적 소유가 붕괴하고 

사적 소유가 발전하기 시작할 때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혀 다른 선택을 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한국은 왜 끝끝내 공적 소유의 복구에 집착했을까? 

물론 이러한 집착은 일본도 헤이안 시대 말, 

장원정리령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지만 

실제로 이 주장이 그 사회에 구현하는 것은 결국 실패했다. 

공전을 복구하는 것이 이론만으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사회에 구현되었다는 것은

이를 요구하는 니즈가 있었다는 이야기니, 

그것이 무엇인가. 

필자는 결국 그 이유를 외침이라고 본다. 

한반도에 몰려드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외침. 

이것이 한국사와 일본사의 전개를 갈랐다고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