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창기 선생이 요절하지 않았다면

by 신동훈 識 2025. 7. 1.
반응형

필자 세대라면 뿌리깊은 나무라던가 

샘이 깊은 물 같은 잡지를 안다. 

이 잡지는 그 편제에서는 

필자가 보기에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영향을 정말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각 호의 참여자를 인쇄담당자까지 몽땅 다 실무진 이름을 한페이지 한쪽 컬럼을 할애하여 쓰는 방식

이건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항상 쓰던 방식이다. 

이 분이 이 잡지를 낼때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한글판이 없던 때라 

영어에 매우 능통했고 브리태니커를 세일즈를 하여 큰 돈을 벌었다는

이 분 역시 내셔널 지오그래픽 키드였다고도 할수 있을지 모른다.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구분되는 점도 분명히 있다. 

이 잡지들에 깊이 뿌리 박고 있는 민족주의에 대한 경도이다. 

이것은 아마 그 당시의 상황이라면 이 방향이 가장 필요한 방향이라고 생각해서였을 텐데

이 분이 아직 살아 계시다면 과연 이런 민족주의적 경향의 잡지를 지금도 낼 것인가?

아마 국경 정도는 이미 옛날에 초월했을지도 모른다. 

이런 류의 천재적 인물들은 울타리에 가둬지지 않고 

항상 그 울타리 바깥에서 뭔가를 새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런 류의 사람들은 민족주의라는 틀에 가둬 해석해서는 안된다. 

당시에는 민족주의가 울타리 바깥이라 생각해서 튀어 나간것 뿐이지, 

지금은 울타리 속의 울타리 이므로 그 안에 머물리가 없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