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현成俔7

용재慵齋 성현成俔(1439~1504)이 목도한 조선 초기의 북방 강제 사민徙民 길에서 입거인을 만나다〔路逢入居人〕 성현成俔(1439 ~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4권 시詩 못 보았는가 영호남은 사람 넘쳐나 / 君不見湖嶺人稠車接轂 천만 채 집 즐비하게 들어선 모습을 / 比櫛魚鱗千萬屋 또 못 보았는가 오랑캐 접한 국경엔 / 又不見龍荒朔野狄爲隣 초목만 우거지고 사람 하나 없던 모습을 / 灌莽滿目空無人 동남쪽은 꽉 차고 서북쪽은 텅텅 비어 / 東南富實西北虛 사람 모아 변방 채우는 일 늦출 수 없었네 / 募民徙塞不可徐 소 몰고 말 타고 어린아이 둘러업고 / 驅牛乘馬聯襁褓 고을에선 밥 대며 길 떠나게 재촉했지 / 州縣傳餐催上道 간장 찢어질 듯 소리 죽여 흐느끼니 / 呑聲暗泣肝腸裂 이웃 사람 듣고서는 같이 오열했지 / 隣里聞之共嗚咽 천리길 고생하며 황벽한 들에 와서 / 間關千里到窮郊 .. 2023. 1. 7.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광개토왕비 황성교를 바라보다〔望皇城郊〕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권 긴 강가에 너른 평야 아득하게 펼쳐지고 / 平郊渺渺長江湄 산이 돌고 물 굽이져 경치가 뛰어난데 / 山回水複多淸奇 어느 시대 영웅이 여기 와서 할거하여 / 何代英雄來割據 지금까지 황성의 기내畿內라고 불리는가 / 至今猶謂皇城畿 흑룡강 왕기 마치 철과 같이 견고하니 / 黑龍王氣堅如鐵 속저의 큰 사업이 마침내 쇠퇴했고 / 屬猪大業冬業衰 하찮은 강좌로는 대적할 수가 없고 / 區區江左抗不敵 중원이 복속되어 오랑캐 땅 되었구나 / 中原左衽皆胡夷 왕업 근거지에 도읍을 정한지라 / 興王之地大都邑 높은 성첩 큰 궁궐이 험한 산에 기댔으니 / 崇墉傑殿憑險巇 백만 공경과 장수 집안에서 / 公侯將種百萬家 부귀영화 누리면서 좋은 시절 .. 2022. 12. 25.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평안도 얼음 낚시 동어〔凍魚〕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2권 시詩 북풍 불어와 맑은 강 얼어붙자 / 北風吹作淸江氷 사내들 몰려나와 얼음 쿵쿵 치네 / 萬夫鼓杵聲登登 얼음판에 구멍 뚫고 그물 쳐놓으니 / 氷開小竇施罛罾 다투듯이 뛰어올라 금빛 비늘 파닥파닥 / 金鱗躍出爭飛騰 요리사 칼을 들고 기름진 배 가르자 / 膳夫鑾刀割腹腴 눈처럼 하얀 회가 접시에 가득하네 / 紛紛白雪滿盤盂 취한 눈 어른거려 우물에 빠졌다가 / 眼花飜井醉不省 한 조각 입에 넣자 정신이 깨는구나 / 一片入口精神蘇 병혈의 가어라도 자리를 피하리니 / 丙穴嘉魚應避席 고이 담아 임금님 수라상에 바치리라 / 穿顋貯簏供天廚 [주-D001] 凍 : 대본에는 ‘東’으로 되어 있는데, 규장각본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주-D002] 취한 …….. 2022. 12. 25.
성현成俔(1439~1504)이 중국에서 조우한 말레시아 만랄가국인滿剌加國人 만랄가국인〔滿剌加國人〕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4권 시詩 거친 머리털 칙칙하고 이마 반쯤 새기고 / 鬆髮森森半雕額 추악한 얼굴 온통 칠흑처럼 새카맣네 / 麤容一一渾漆黑 두 뺨 불룩해 언덕보다 높고 / 兩顋磊磈高於丘 깊은 샘마냥 우묵한 눈 귀역 같네 / 深井眼花如鬼蜮 왜가리 괙괙하듯 말은 알아채지 못하고 / 鴃舌啁啾語不辨 절반은 남만인 절반은 서역인 같네 / 半帶南蠻半西域 국경 너머 아득한 수만 리 밖에서 / 絶塞茫茫數萬里 바다에 뜬지 삼년만에 상국 조회하네 / 泛海三年朝上國 오령 이남 모두 들어와 조회하니 / 五嶺以南盡來庭 한 치 하늘 한 자 땅도 다 관할이네 / 寸天尺地入圖籍 흉노 기세 본디 침략 좋아하기에 / 匈奴氣焰本腥羶 천자가 근심하는 바는 오직 북방뿐 / 天子所憂惟北.. 2022. 12. 25.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경주 영묘사靈妙寺 영묘사〔靈妙寺〕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5권 시詩 고찰 폐허 된지 세월 얼마인고 / 古刹荒蒼閱幾春 그때 흔적 티끌 되고 말았네 / 當時遺跡已成塵 황금 큰 조각 비로자나요 / 黃金大像毗盧佛 백옥 귀태 여왕 몸이네 / 白玉嬌姿女主身 탑 그림자 마당 백 척 질러 가르고 / 塔影半庭橫百尺 종소리 골짝 나가 많은 사람 일깨우네 / 鍾聲出谷警千人 이끼 낀 절터 사방으로 지저귀는 새 / 苔墟四面多啼鳥 말 멈추고 석양에 한번 탄식하네 / 駐馬斜陽一愴神 [주-D001] 영묘사(靈妙寺) : 경주부(慶州府)에 있던 절인데, 신라 시대 선덕여왕(善德女王)이 창건했다고 한다. [주-D002]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비로자나는 광명변조(光明遍照)의 뜻으로, 즉 부처〔佛〕의 진신(眞身)을 나타내는 .. 2022. 12. 25.
비단 우산 펼친 듯한 해당화 by 성현成俔(1439~1504) 해당화 [매괴玫瑰〕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권 시詩 한 그루 매괴나무 있어 / 一朶玫瑰樹 사람들 하는 말이 해당화라고 / 人傳是海棠 이슬 내려 꽃가루 가벼이 씻고 / 露華輕洗粉 바람 불어 향기 살살 풍기네 / 風骨細通香 처음엔 붉은 비단 오렸나 했더니 / 始訝紅羅剪 끝내는 비단 우산 펼친 듯하네 / 終成錦繖張 어여뻐라 더없는 자태 뽐내며 / 憐渠矜絶艶 글 읽는 책상 가까이 피어 있네 / 開近讀書床 [주-D001] 매괴(玫瑰) : 해당화海棠花의 별칭이다. ⓒ 한국고전번역원 | 임정기 (역) | 2008 *** 번역 문투는 내가 손을 좀 댔다. 2022. 1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