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잠17 사육곤충 두 가지: 누에와 꿀벌 동물고고학에는 포유류나 조류만 다루는 것은 아니고, 곤충도 다룬다. 대표적인 것이 누에와 꿀벌이다. 누에는 비단을 짜기 때문에 꿀벌보다는 훨씬 역사적 의미가 크다고 받아들여지지만어려운 시절 단맛을 맛보게 해주었던 꿀벌 역시 그 공헌이 만만치 않다. 누에는 그 기원이 잘 알려진 것처럼 중국이고 (화북지역이다)꿀벌은 기원지가 동아시아가 아니다. 정확히는 서아시아 지역이며 여기서 동쪽으로 흘러들어왔다. 대체로 한나라 때 서역이 열리면서 양봉이 흘러들어왔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고고학적 유물로 그 존재가 자주 확인되는 누에와 달리꿀벌은 기원을 추적하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초의 기록은 한국기록이 아니라 일본에 남아 있다. 백제의 부여풍이 일본으로 건너가 양봉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니대략 7세기 중반.. 2025. 8. 25. 여기서 처음 본 누에번데기 사진 좀 전 김단장께서 앙소문화에서 나온누에번데기 본뜬 모형 사진을 올리신 바, 이에 관해서는 필자가 올해 일본의 "동물고고학"지에동아시아 누에생산과 확산에 대한 논문을 청주박물관 이양수 관장님과 함께 펴낸 바 있다. 資料紹介 李 陽洙・洪 宗河・高 アラ・申 東勳 「考古学および遺伝学が究明する東アジアのカイコ飼育の起源と歴史的な拡散過程」이 논문 내용은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지만, 비단생산은 중국에서 시작해서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는 것인데, 최신의 DNA 정보까지 담아 나름 최신 지견을 간추리려 했다. 이 논문의 가장 앞에 부분에는 중국 양잠의 기원을 설명하였는데김단장님 글에서 예를 든 앙소문화의 그 번데기 모형 이야기가 나온다. 이 앙소문화 번데기는 나름 유명하여 중국 양잠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는데문제는.. 2025. 8. 4. [마왕퇴와 그 이웃-35] 청동기시대의 비단옷 청동기시대 비단옷이라고 하면 대개 반응이 그 시대에 무슨 비단옷이라는 반응이 나오겠다. 그런데-. 중국은 양잠해서 비단을 신석기시대에 했다.용산문화기에는 이미 비단 생산이 완전히 정착했다고 하니까. 농경이 본격화한 청동기시대에 양잠에 비단이라고 해도 별로 대단할 것이 없다는 이야기다. 솔까 우리가 신석기시대에 예컨대 비단옷을 걸쳤다한 들, 혹 늦잡아 청동기시대 걸쳤다한들 그게 왜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가? 그리고-. 양잠에 비단이라고 하면 요즘 보는 초고급 실크만 연상을 해서 그런데, 누에실로 짠 직물도 천차만별이다. 물론 우리나 일본의 경우는 농경 도입이 늦어 중국의 신석기시대에 볼 수 있는 변화가 청동기시대에나 뚜렷이 나타난다는 시각이 학계에 있다는 점-. 잘 안다. 다만 이런 부분은 한 번 생각해.. 2025. 3. 8. [마왕퇴와 그 이웃-34] 누에 사육의 동진 중국은 동물 사육의 측면에서 최초로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한 나라라는 타이틀을 한때 상당히 탐내서, 소, 말, 닭 등 각 종 가금 가축에 대한 유전정보 취합이 있을 때마다 중국기원설을 눈에 불을 켜고 찾았다. 이 중에 현재 중국 내에서 최초로 사육되기 시작한 가축으로는 대략 돼지 정도가 거의 확실하며, 소와 말은 외래종이 분명하며 닭도 남방에서 북상했을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다. 야생닭이 중국 본토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 떄문에 중국에서도 동물 사육은 개-- 돼지--기타 동물 순으로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많은데, 이 순서는 우리나 일본도 시간차를 두고 거의 비슷하게 전개되었다 할 수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동물 사육 측면에서 중국기원을 인정받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비단-양잠의 누에다. 알다시피 누에나방.. 2025. 3. 8. [마왕퇴와 그 이웃-19] 우리 청동기시대의 비단 옷 마왕퇴 소사단의의 기술사적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 뿐 아니라 우리와 일본의 비단 옷 역사에 대해서도 조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들 알다시피 중국은 전통시대에 양잠과 비단 옷 짜는 기술을 비밀에 붙였다고 한다. 대륙에 통일왕조가 등장한 이후에는 줄곧 그런 경향이 있었던 모양으로 [대당서역기]에는 그 장면이 이리 적혀있다. "호탄 사람들은 뽕과 누에를 원했으나 구할 수가 없었다. 호탄왕은 중국에 혼인을 청했고 신부에게 뽕과 누에를 가져와 옷을 스스로 만들어 입으라고 했다. 그 말을 들은 신부는 남몰래 뽕과 누에 종자를 구하여 자신의 왕관에 숨겨 호탄에 가져왔다."비단이 가지고 있는 고급 직물로서의 선입견, 그리고 중국이 주변에 전파를 원하지 않았다는 위와 같은 기록 덕인지 한반도의 경우 양잠과 비단의 .. 2025. 3. 2. 누에는 어디에서 왔는가 (1) 본 연구진이 최근 발표한 누에 사육의 기원과 확산에 대해 쉽게 풀어 이 블로그에 공개한다. 사람들이 사육하는 동물은 닭, 돼지, 말, 소만 있는 것이 아니다. 곤충도 있다. 곤충 중에 누에나방과 꿀벌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사육동물이며 그 중에서도 누에나방은 인간의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좋다. 이 누에사육(양잠)과 비단 직조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설이 존재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양잠에 이용하는 누에나방의 야생종이 동아시아 전역에 분포하기 때문이다. 산에 들에 사는 나방 중에는 멧누에나방이라는 녀석이 있는데 이 멧누에나방을 사육한 것이 지금의 누에나방이다. 이 멧누에 나방은 중국 전역, 한반도,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다른 나라에도 있다. 따라서 비단의 원산국 지위를 누리는 중국의 자리를 .. 2024. 7.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