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자체학예사8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이 지자체만의 업무인가 국가유산기본법 : 제정 2023. 5. 16. / 시행 2024. 5. 17. 하도 많이 써서 이젠 제정 날짜와 시행 날짜도 외울 지경이다. 작년 5월 국가유산기본법이 제정된 후, “문화재”가 아니라 “국가유산”으로 통칭하고, 분류체계를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으로 재정립하는 변화가 생겼다. 국가유산기본법의 입법 취지와 방향의 큰 틀에 대해 문제를 삼고 싶은 생각은 없다. 법 시행은 24년 5월이지만, 작년부터 문화재청에서는 국가유산 체제 전환에 따라 지자체에 문화재 명칭이 들어간 조직 명칭 변경이나 조례 개정, 안내판 정비 등을 국가유산기본법 시행 전까지 “문화재” 용어를 지우는 작업을 완료해달라고 재촉(?)하고 있다. 그러나 제대로된 가이드라인과 상위법령 개정이 선행되어야만 지자체에서도 혼란.. 2024. 1. 31. 학예사도 승진할 수 있냐는 물음에 대한 대답 [2022. 7. 15.] 오늘 처음 들은 얘기인데, 작년에 있었던 일인가 보다. 국장, 과장, 팀장, 그리고 팀원들이 점심을 먹던 자리에서 이런 얘기가 나왔다고 한다. 국장 : “학예사는 승진 못하지? 승진 하나?” 팀장 : “거의 못하죠. 못한다고 봐야죠. 연구관으로 승진하는데, 자리가 없다고 봐야죠.” 듣고 있던 후배가 기분이 좋지 않았다고. 왜 그자리에 내가 없었는지 기억나지 않지만, (내가 있었으면 조목조목 얘기했겠지만😡) 그치만 그건 중요하지 않고, 그런 얘기를 당사자를 앞에 두고 서슴없이 했다는 만행과 무지가 더 놀라울 따름이다. 내가 일하는 곳은 이런 곳이다. 오늘 또 한 번 확인했음. 덧붙여서, 그러면서 일을 많이 늘려야 승진할 수 있을거라는 얘기도 했다는데, 지금도 일이 많아 죽겠는데 .. 2023. 7. 15. 지자체 학예연구직을 위해 고민한 적이 있는가? 학예연구사, 학예사, 큐레이터... 이 차이에 대해서는 박물관(미술관) 담당과 문화재 행정 담당이라는 업무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기초지자체에서는 박물관에서 근무하다가 문화재 행정 업무를 맡기도 한다.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 ‘학예연구사’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 아마 ‘박물관’ 또는 ‘미술관’일 거다. 근데 지자체 학예연구사가 직업인 나는 박물관에서 근무한 적이 없다. 내가 주로 하는 업무는 문화재 발 historylibrary.net 어쨋든, 기초지자체에서 학예업무가 전문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완벽하게는 아니다.) 인식하긴하지만, 박물관 업무와 문화재 행정 업무의 차이가 무엇인지는 알려고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학예연구사 1명을 뽑아 놓고, 본청에서 문화재 행정업무를 맡다가, 인사발.. 2022. 8. 29. [전국학예연구회]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 필요성 전국학예연구회에서는 공립박물관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의무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개정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지난 목요일(2022.01.13.) 김의겸, 김예지 국회의원실을 방문하여 법 개정의 필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의 자료를 전달하고 왔습니다. □ 2021년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기준 전국 박물관 : 총 900개 ◦운영 주체별로 살펴보면 국립박물관이 51개, 공립박물관 386개이며, 사립박물관 358개, 대학박물관 105개로 나타남 - 공립박물관 1개관 당 평균 학예인력 2.87명(2020년 총람 기준 2.7명) - 2020년 총람 기준, 학예인력(공무원, 계약직 포함) 미배치 공립박물관 106개관 2021... 2022. 1. 15. 지자체에 학예연구사가 필요한 이유 2012. 1. 1일자로 증평군 공무원이 되었다. 그 전에는 교육청 박물관 학예사였는데, 어쩌다 시험 잘 봐서 증평군 소속이 되었다. 오자마자 산성 발굴조사비가 세워져 있었고, 그 예산에 따라 국가지정문화재 승격이 증평군 목표가 되어 있었다. 그렇게 운좋게 승격이 되니, 전 문화체육과장님이 나를 보고 격려해주시며 '이등병이 간첩 잡았네~ 잡았어.!' 라고 칭찬을 해 주셨다. (정년하셨지만, 난 그 분이 좋다.) 시간이 지나, 이젠 얘기해도 좋을 것 같다. 실은 그때 합격 소식 듣고 나서 임용되기 전 2개월 전부터 공부했었다. 홈페이지에 떠 있는 증평군 예산 현황도 파악하고, 이성산이 뭔지 추성산성이 국가지정이 가능한지 공부했던 기억이 있다. 전에 했던 발굴조사보고서 분석하면서.. 그래서 임용된 다음 날부.. 2021. 7. 29. [학예연구사, 학예사, 연구사] 2 [학예연구사, 학예사, 연구사] 2 1. 자주 듣는 얘기 중의 다른 하나는 “학예연구사도 승진을 해요?”라는 말이다. 우리도 승진하면 “연구관”을 할 수 있다는 얘기를 해줬다. 그렇지만 지자체에서는 기회가 정말 흔치 않다는 덧말도 붙여줬다. 이와 더불어 자주 듣는 얘기는 “학예연구사는 몇급이에요?”라는 말도 있다. 행정직 위주의 직급체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연구사가 신기한 모양이다. 6급 상당이고 연구관은 지자체에서는 과장 보직을 받는 5급 대우라고 얘기해준다. 근데 이런 얘기를 듣는 상대방은 뭐 그런 이상한 직렬이 다 있냐는 표정이 대부분이며, 어쨌든 본인들보다 높은 대우에 실망하는 눈치다. 연구직 공무원 직급체계에 대한 궁금증(why 6급 상당?) 연구직 공무원 직급체계에 대한 궁금증(why 6급 .. 2021. 7.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