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68

서운(庶云) ☞김서운(金庶云) 2018. 3. 26.
김서운(金庶云) 김유신 아버지인 김서현(金舒玄)의 이칭이다. 김소연(金逍衍)이라고도 했다는 흔적이 보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신라 제30대 법민왕(法敏王)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 661) 3월에 왕이 조서를 내렸다. “가야국(伽耶國) 시조(始祖)의 9대손 구형왕(仇衡王)이 이 나라에 항복할 때 데리고 온 아들 세종(世宗)의 아들인 솔우공(率友公)의 아들 서운(庶云) 잡간(匝干)의 딸 문명황후(文明皇后)께서 나를 낳으셨으니, 시조 수로왕은 어린 나에게 15대조가 된다. 그 나라는 이미 없어졌지만 그를 장사지낸 사당은 지금도 남아 있으니 종묘(宗廟)에 합해서 계속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리라.” ☞김서현(金舒玄) ☞김소연(金逍衍) 2018. 3. 26.
갱세(賡世) ☞김갱세(金賡世) 2018. 3. 26.
김갱세(金賡世) 금관가야 시조 김수로 17세 손으로 신라 문무왕 시대에 그 제사를 받들었다. 당시 관위는 급간이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신라 제30대 법민왕(法敏王)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 661) 3월에 왕이 조서를 내렸다. “가야국(伽耶國) 시조(始祖)의 9대손 구형왕(仇衡王)이 이 나라에 항복할 때 데리고 온 아들 세종(世宗)의 아들인 솔우공(率友公)의 아들 서운(庶云) 잡간(匝干)의 딸 문명황후(文明皇后)께서 나를 낳으셨으니, 시조 수로왕은 어린 나에게 15대조가 된다. 그 나라는 이미 없어졌지만 그를 장사지낸 사당은 지금도 남아 있으니 종묘(宗廟)에 합해서 계속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리라.” 이에 그 옛 터에 사자(使者)를 보내서 사당에 가까운 상전(上田) 30경(頃.. 2018. 3. 26.
솔우(率友) 금관가야 마지막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할 때 따라 귀순한 그의 아들로, 김유신의 조부. 삼국유사가 인용한 가락국기에 보이지만, 다른 문헌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인물이 무력(武力)이라 차이를 보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신라 제30대 법민왕(法敏王)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661) 3월에 왕이 조서를 내렸다. “가야국(伽耶國) 시조(始祖) 9대손 구형왕(仇衡王)이 이 나라에 항복할 때 데리고 온 아들 세종(世宗)의 아들인 솔우공(率友公)의 아들 서운(庶云) 잡간(匝干)의 딸 문명황후(文明皇后)께서 나를 낳으셨으니, 시조 수로왕은 어린 나에게 15대조가 된다. 그 나라는 이미 없어졌지만 그를 장사지낸 사당은 지금도 남아 있으니 종묘(宗廟)에 합해서 계속하여 제사를 지내.. 2018. 3. 26.
모정(慕貞) 금관가야에 상륙한 허황옥을 시종한 신보(申輔)이라는 사람의 부인.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건무(建武) 24년 무신(戊申·48년) 7월 27일에 구간(九干) 등이 조회할 때 말씀드렸다. “대왕께서 강림(降臨)하신 후로 좋은 배필을 구하지 못하셨으니 신들 집에 있는 처녀 중에서 가장 예쁜 사람을 골라서 궁중에 들여보내어 대왕의 짝이 되게 하겠습니다.” …유천간 등이 돌아가서 왕후의 말을 전달하니 왕은 옳게 여겨 유사(有司)를 데리고 행차해서, 대궐 아래에서 서남쪽으로 60보쯤 되는 산기슭에 장막을 쳐서 임시 궁전을 만들어 놓고 기다렸다. 왕후는 산 밖 별포(別浦) 나루터에 배를 대고 육지에 올라 높은 언덕에서 쉬고, 입은 비단바지를 벗어 산신령(山神靈)에게 폐백으로 바쳤다... 2018. 3. 26.
모량(慕良) 금관가야에 상륙한 허황옥을 시종한 조광(趙匡)이라는 사람의 부인.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건무(建武) 24년 무신(戊申·48년) 7월 27일에 구간(九干) 등이 조회할 때 말씀드렸다. “대왕께서 강림(降臨)하신 후로 좋은 배필을 구하지 못하셨으니 신들 집에 있는 처녀 중에서 가장 예쁜 사람을 골라서 궁중에 들여보내어 대왕의 짝이 되게 하겠습니다.” …유천간 등이 돌아가서 왕후의 말을 전달하니 왕은 옳게 여겨 유사(有司)를 데리고 행차해서, 대궐 아래에서 서남쪽으로 60보쯤 되는 산기슭에 장막을 쳐서 임시 궁전을 만들어 놓고 기다렸다. 왕후는 산 밖 별포(別浦) 나루터에 배를 대고 육지에 올라 높은 언덕에서 쉬고, 입은 비단바지를 벗어 산신령(山神靈)에게 폐백으로 바쳤다... 2018. 3. 26.
유공(留功) ☞류공(留功) 2018. 3. 26.
유덕(留德) ☞류덕(留德) 2018. 3. 26.
신귀(臣貴)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신귀(神鬼)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신도(神道)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신천(神天)이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오능(五能)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오천(五天)이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류덕(留德)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류덕(留德)이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류공(留功)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류수(留水)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오상(五常)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오도(五刀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했.. 2018. 3. 26.
피장(彼藏)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피도(彼刀)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여해(汝諧)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여도(汝刀)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아궁(我躬) 김수로를 추대해 금관가야 왕으로 옹립한 9간 중 아도(我刀)가 바꾼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어느 날 (수로)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구간(九干)은 여러 관리의 어른인데, 그 지위와 명칭이 모두 소인(小人)이나 농부들의 칭호이니 이것은 벼슬 높은 사람의 명칭이 못된다. 만일 외국 사람들이 듣는다면 반드시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이리하여 아도(我刀)를 고쳐서 아궁(我躬)이라 하고, 여도(汝刀)를 고쳐 여해(汝諧), 피도(彼刀)를 피장(彼藏), 오도(五刀)를 오상(五常)이라 하고, 류수(留水)와 류천(留天)의 이름은 윗 글자는 그대로 두고 아래 글자만 고쳐서 류공(留功)ㆍ류덕(留德)이라 하고 신천(神天)을 고쳐서 신도(神道), 오천(五天)을 고쳐서 오능(五能)이라 .. 2018. 3. 26.
김헌창(金憲昌) 신라 헌덕왕 사후 왕위 계승 김경신과의 왕위계승전쟁에서 패배하고는 명주로 물러난 김주원의 아들로, 헌덕왕 때 무진주 도독을 시중이 되었다가 다시 청주도독으로 나갔다. 이어 웅천주도독으로 옮긴 이듬해(822)에 아버지가 왕이 되지 못한 한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한때 위세를 떨치다가 결국 진압되고 그 자신은 죽임을 당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애장왕 : 8년(807) 봄 정월에 이찬 김헌창(金憲昌)을 시중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헌덕왕 : 5년(813) 봄 정월에 이찬 헌창(憲昌)을 무진주 도독으로 삼았다. 6년(814)...가을 8월에 서울에 바람이 불고 안개가 끼어 밤과 같았다. 무진주 도독 헌창이 [중앙에] 들어와 시중이 되었다. 8년(816) 봄 정월에 시.. 2018. 3. 26.
김주원(金周元) 무열왕 김춘추 6세손으로, 신라 혜공왕 13년(777)에 시중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는 위치에 섰다가 선덕왕이 후사 없지 죽자, 왕위계승권자로 사실상 지명되었지만, 상대등 김경신(金敬信)에게 선수를 빼앗겨, 명주로 물러났다. 그의 아들 김헌창이 아버지가 왕이 되지 못한 한을 품고 웅천주를 근거지로 난을 일으키기도 했다. 삼국사기 권제9(신라본기 제9) 혜공왕 : 13년(777)...겨울 10월에 이찬 주원(周元)을 시중으로 삼았다.삼국사기 권 제44 (열전 제4) 김양 열전 : 김양(金陽)은 자가 위흔(魏昕)이고, 태종대왕 9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찬 주원(周元), 할아버지는 소판 종기(宗基), 아버지는 파진찬 정여(貞茹)이니 세력있는 집안으로써 모두 장수와 재상이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2018. 3. 26.
2001년의 무령왕릉 발굴 30주년 특집 무령왕릉 발견․발굴이 30년을 맞은 2001년, 나는 ‘’을 마련하고, 동년 6월 18일 ‘한성을 등진 어린 왕자’를 시발로 동년 7월 21일 ‘무령왕릉과 박정희’에 이르기까지 총 15회에 걸쳐 관련 기사를 내가 몸담은 연합뉴스를 통해 송고했다. 무령왕릉 발굴 저간의 이야기로는 그 발굴 책임자였던 김원룡의 몇 마디 사죄성 언급과 조사단 일원인 조유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에 의한 간단한 정리가 있기는 했다. 하지만 나는 이것으로써 무령왕릉을 맡길 수는 없었다. 그에 벼르고 벼르다 이 특집을 생각했던 것이니, 이 특집이 공간된 이래, 이곳저곳 출처도 없이, 무령왕릉 발굴비화라고 해서 이들 기사가 마구잡이로 떠돌아다니기 시작하고, 이제는 급기야 그것을 정리한 뿌리조차 잃어버리기에 이르렀다. 내가 풍찬노숙 시절에 .. 2018.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