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69

경신(敬信) ☞김경신(金敬信) 2018. 3. 24.
원성대왕(元聖大王)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大王)을 높여 이르는 말.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애장왕 : 2년(801) 봄 2월에 왕이 시조묘에 배알했다. 태종대왕과 문무대왕 두 사당을 따로 세우고 시조대왕(始祖大王)과 왕의 고조부 명덕대왕(明德大王), 증조부 원성대왕, 할아버지 혜충대왕, 아버지 소성대왕으로 5묘(五廟)를 삼았다. 병부령 언승을 어룡성(御龍省) 사신(私臣)으로 삼았다가, 얼마 안 있어 상대등으로 삼았다.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희강왕 : 희강왕(僖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제륭(悌隆)이다. 원성대왕 손자 이찬 헌정(憲貞) 아들이고 어머니는 포도부인(包道夫人)이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민애왕 : 민애왕(閔哀王)이 왕위에 올랐다.. 2018. 3. 24.
김경신(金敬信)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 성과 이름이다. 경신(敬信)이라고도 하며 경즉(敬則)이라는 표기도 있다.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 아들이며 어머니는 인○(仁○)이니, 지오부인(知烏夫人)이라고도 한다. 비는 신술(神述) 각간 딸인 숙정부인(淑貞夫人)이다. 능은 곡사(鵠寺)에 있으니, 이 절은 나중에 숭복사(崇福寺)로 이름이 바뀌었다. 舊唐書 권 제199上 列傳 제149上 東夷 新羅國 : 貞元 원년(785. 新羅 元聖王 1)에 량상(良相)에게 검교태위(檢校太尉) 도독계림주자사(都督雞林州刺史) 녕해군사(寧海軍使) 신라왕(新羅王)을 제수(除授)했다. 이어 호부낭중(戶部郎中) 蓋塤에게 符節과 册命을 주어 보냈다. 그해에 良相이 卒하니, 上相 敬信을 세워 王으로 삼고 그 官爵을 승습케 했다. 敬信은 곧 [前王과].. 2018. 3. 24.
김경신(金敬愼) 신라 제38대 원성왕 이름이다. 경신(敬信)이라고도 하며, 경즉(敬則)이라는 표기도 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德大王)에 추봉됐다. 어머니는 인=(仁□)인데 지오부인(知烏夫人)이라고도 하는데 시호는 소문왕후(昭文王后)이니, 창근(昌近) 이간의 딸이다. 비는 숙정부인(淑貞夫人)이니 신술(神述) 각간 딸이다. 을축년에 즉위해 14년을 다스렸다. 능은 鵠寺에 있는데 지금의 숭복사(崇福寺)이니, 치원(致遠)이 지은 비가 있다. ☞김경신(金敬信) ☞원성왕(元聖王) 2018. 3. 24.
헌정(憲貞) ☞김헌정(金憲貞) 2018. 3. 24.
장화왕비(章和王妃)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42대 흥덕왕(興德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휘(景暉)인데 헌덕(憲德)의 모제(母弟)이다. 비는 창화부인(昌花夫人)이니 시호는 정목왕후(定穆王后)로서, 소성(昭聖)의 딸이다. 병오년에 즉위해 10년을 다스렸다. 능은 안강(安康) 북쪽 비화양(比火壤)에 있다. 비 창화(昌花)와 합장했다. ☞장화부인(章和夫人) ☞장화왕비(章和王妃) ☞정목왕후(定穆王后) 2018. 3. 24.
장화(章和) ☞장화부인(章和夫人) ☞장화왕비(章和王妃) ☞정목왕후(定穆王后) ☞장화왕비(章和王妃) 2018. 3. 24.
장화부인章和夫人 신라 42대 흥덕왕의 비다. 김씨이며 소성왕 딸이다. 흥덕왕 즉위년 12월에 사망해 정목왕후로 추증됐다. 창화(昌花)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흥덕왕 : 흥덕왕興德王이 왕위에 올랐다...겨울 12월에 왕비 장화부인章和夫人이 죽자, 정목왕후定穆王后로 추봉하였다. 왕이 [왕비] 생각을 잊지 못해 슬픔에 싸여 즐거워하지 않았으므로 여러 신하가 글을 올려 다시 왕비를 맞아들일 것을 청하니, 왕이 말하였다. “외짝 새도 제짝을 잃은 슬픔을 가지거늘, 하물며 훌륭한 배필을 잃었는데 어떻게 차마 무정하게도 금방 다시 장가를 든다는 말인가?” 그리고는 끝내 따르지 않았다. 또한 시녀들까지 가까이 하지 않았으며, 좌우 심부름꾼은 오직 환관뿐이었다. 11년(836) ...여름 6월에 살별[星]이 .. 2018. 3. 24.
창화부인(昌花夫人) 신라 제42대 흥덕왕의 비다. 시호는 정목왕후(定穆王后)이며 소성왕(昭聖王) 딸이다. 장화부인(章和夫人)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42대 흥덕왕(興德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휘(景暉)인데 헌덕(憲德)의 모제(母弟)이다. 비는 창화부인(昌花夫人)이니 시호는 정목왕후(定穆王后)로서, 소성(昭聖)의 딸이다. 병오년에 즉위해 10년을 다스렸다. 능은 안강(安康) 북쪽 비화양(比火壤)에 있다. 비 창화(昌花)와 합장했다. ☞장화부인(章和夫人) ☞정목왕후(定穆王后) ☞장화왕비(章和王妃) 2018. 3. 24.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재위 702∼737)이며 태어난 해는 모른다. 본래 이름은 륭기(隆基)였지만 당 현종(玄宗)과 같아 흥광(興光)으로 개명했다. 신문왕(神文王)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일길찬(一吉湌) 김흠운(金欽運)의 딸인 신목왕후(神穆王后) 김씨(金氏). 재위 3년(704)에 소판(蘇判) 김원태(金元泰) 딸 성정왕후(成貞王后) 김씨를 비로 맞았지만 15년(716) 출궁케 하고 19년(720)에 이찬(伊飡) 순원(順元)의 딸을 납비하니 이가 소덕왕후(炤德王后)다. 이 사이에서 효성왕 김승경(金承慶)과 경덕왕 김헌영(金憲英)을 두었다. 제37대 선덕왕(宣德王) 어머니인 사소부인(四炤夫人)도 그의 소생이다. 동복형 효소왕(孝昭王, 692~702)이 후사 없지 죽자 왕위를 이었다. 어린나이에 즉위하는 바람에 즉.. 2018. 3. 24.
신목(神穆) 신라 제31대 신문왕의 비다. 김흠운(金欽運·혹은 金欽雲)의 딸이다. 본명은 아닐 것이며, 왕비가 되면서 얻은 존호일 것이다. 훗날에는 시호가 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효소왕 :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리홍(理洪)이고 신문왕의 태자이다. 어머니의 성은 김씨로 신목왕후(神穆王后)인데, 일길찬 김흠운(金欽運)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1대 신문왕(神文王)은 김씨다. 이름은 정명(政明)이고 자(字)는 일소(日炤)이다. 아버지는 문호왕(文虎王)이고 어머니는 자눌왕후(慈訥王后)이다. 비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니 김운공(金運公)의 딸이다. 신사년에 즉위해 11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2대 효소왕(孝昭王)은 이름이 리공(理恭)인데 홍(洪)이라고도 .. 2018. 3. 24.
이공(理恭) ☞리공(理恭) ☞김리공(金理恭) ☞효소왕(孝昭王) 2018. 3. 24.
리공(理恭) ☞김리공(金理恭) ☞효소왕(孝昭王) 2018. 3. 24.
김리공(金理恭) 신라 제32대 효소왕 이름이다. 리홍(理洪)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효소왕 :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리홍(理洪)이고 신문왕의 태자이다. 어머니의 성은 김씨로 신목왕후(神穆王后)인데,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32대 효소왕(孝昭王)은 이름이 리공(理恭)인데 홍(洪)이라고도 한다. 김씨다. 아버지는 신문왕(神文王)이고 어머니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다. 임진년에 즉위해 10년을 다스렸다. 능은 망덕사(望德寺) 동쪽에 있다. 삼국유사 제2 기이 2 만파식적 : 왕이 감은사에서 묵고 17일에 지림사(祗林寺) 서쪽 시냇가에 이르러 수레를 멈추고 점심을 먹었다. 태자(太子) 리공(理恭. 효소대왕孝昭大王)이 대궐을 지키고 있다가 이 소식을 .. 2018. 3. 24.
김리홍(金理洪) 신라 제32대 효소왕 이름이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11년(691) 봄 3월1일에 왕자 리홍(理洪)을 태자로 봉하였다. 13일에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 사화주(沙火州)에서 흰 참새[白雀]를 바쳤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효소왕 :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리홍(理洪)이고 신문왕의 태자이다. 어머니의 성은 김씨로 신목왕후(神穆王后)인데, 일길찬 김흠운(金欽運)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2대 효소왕(孝昭王)은 이름이 리공(理恭)인데 홍(洪)이라고도 한다. 김씨다. 아버지는 신문왕(神文王)이고 어머니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다. 임진년에 즉위해 10년을 다스렸다. 능은 망덕사(望德寺) 동쪽에 있다. 舊唐書 권 제199上 列傳 제149上 東夷 .. 2018. 3. 24.
이홍(理洪) ☞리홍(理洪) ☞김리홍(理洪) ☞효소왕(孝昭王) 2018. 3. 24.
리홍(理洪) ☞김리홍(金理洪) ☞효소왕(孝昭王) 2018. 3. 24.
선원(仙元) 신라 신문왕 때 중시를 역임한 관료.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10년(690) 봄 2월에 중시 원사(元師)가 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났으므로 아찬 선원(仙元)을 중시로 삼았다. 2018. 3. 24.
원사(元師) 신라 중대 관료. 계보가 보이지 않으나, 화랑세기에 의하면 김흠순 아들이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8년(688) 봄 정월에 중시 대장(大莊)이 죽으므로 이찬 원사(元師)를 중시로 삼았다. 10년(690) 봄 2월에 중시 원사가 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났으므로 아찬 선원(仙元)을 중시로 삼았다. 2018. 3. 24.
태조대왕(太祖大王) (신라) 김씨로는 맨 처음 신라 왕위에 오른 미추니사금을 말한다. 중대 이래 종묘에 모실 때 얻은 묘호(廟號)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7년(687)…여름 4월에 음성서(音聲署)의 장관을 고쳐 경(卿)이라 하였다. 대신을 조묘(祖廟)에 보내 제사를 올리고 아뢰었다. “왕 아무개는 머리 숙여 재배(再拜)하고 삼가 태조대왕(太祖大王), 진지대왕(眞智大王), 문흥대왕(文興大王), 태종대왕(太宗大王), 문무대왕(文武大王) 영전에 아룁니다. 저는 재주와 덕이 없이 숭고한 유업을 계승하여 지킴에 자나 깨나 걱정하고 애쓰느라 편안하게 지낼 겨를이 없었습니다. 종묘의 돌보심과 하늘과 땅이 내리는 복에 힘입어 사방이 안정되고 백성들이 화목하며, 외국에서 오는 손님들은 보물을 실어다 바치고, 형벌이 밝고 송사.. 2018. 3. 24.
관장(官長) 신문왕 7년(687) 사벌주총관에 임명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7년(687)…3월에 일선주(一善州)를 폐지하고 다시 사벌주(沙伐州)를 두어 파진찬 관장(官長)을 총관으로 삼았다. 2018.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