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29 보령서 만난 동농 김가진 충청수사가 집무하던 건물 이름이 공해관控海館이었다고 한다. 용케 그 편액이 남았는데, 동농東農 김가진金嘉鎭(1846~1922) 글씨다. 조선 말 관료이자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그지만, 글씨에도 일가견이 있던 분이었다.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1705~1777)를 사숙했다는 그의 글씨는 날렵하고 획의 움직임이 빠르다. 글자획의 굵기가 가는 편인데 그렇다고 파리하다거나 야윈 인상은 아니다. 창덕궁 후원 정자 편액 상당수가 그의 작품이라고 하고, 독립문의 한자와 한글 편액을 썼다는 설도 전해질 만큼 동농은 당대 명필로 이름이 높았다(독립문 글씨는 이완용 작품이란 설이 강하기는 하나). 그래서인지 족자나 병풍 같은 작품이 제법 많이 전해진다. 현판이나 석각 글씨는 굵게 쓰기 때문에 그 개성이 덜하기는 하지만, 이 .. 2023. 10. 2. 한가위 보름달, 이태백 달 vs. my 달 今人不見古時月 지금 사람은 옛 시절 달을 못 보았으나 今月曾經照古人 지금 달은 일찍이 옛 사람을 비췄다네 - 이백, 중에서 2023. 9. 3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도기전을 보고 어떻게 보면 엄청 노잼일 수 있는 주제이다. 별로 반짝이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은 그릇을 뭐라고 설명할 것인가. 준비하는 과정이 아주 난해했으리라 여겨진다. 하지만, 한 꺼풀만 들어가고 살짝 뒤집어보면 이렇게 과감한 전시를 펼쳐볼 수도 있는 주제이다. 또 그 안에 담긴 이야기는 얼마나 많은가. 그냥 묻힐 수도 있을 고려의 생활 '썰'이 훌륭한 전기수를 만나 여기서 이렇게 풀렸다. 참 흥미롭게 보았고 또 보고 싶은데 언제 또 갈 수 있을는지. 이런 전시를 구상할 수 있는 학예연구사가 대단하고, 이런 전시를 허락해 주신 분들이 계신 이곳이 퍽 부럽다. 2023. 9. 25. 백운거사 취와도 2023. 9. 24. 청탄聽灘을 만나러 갔다가 우영우를 생각하다 지금은 어지간한 배들이 사라봉 아래 제주항으로 드나듭니다만,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제주에서 육지로 나가는 포구로는 화북과 조천 두 군데가 유명했습니다. 부임하는 목사나 귀양온 유배객도 화북 아니면 조천으로 들어오곤 하였지요. 그 중 제주목과 좀 더 가까운 곳이 바로 화북포구였습니다. 그곳 근처에 근대 제주 제일의 풍류객으로 꼽혔던 서가이자 전각가 청탄 김광추金光秋(1905-1983) 선생이 살았던 집이 있습니다. 지금은 그 아드님 이름을 따 '김석윤 가옥'이라 불리는 곳, 모처럼 나온 김에 한번 들러나보자 싶어 찾아갔습니다. 문이 잠겨있어 들어가진 못했는데, 선생이 조풍각潮風閣이라 이름짓고 아꼈다는 집이 슬슬 시간에 함락당하는 것 같아 좀 아쉽더군요. 집을 둘러싼 돌담을 한 반 바퀴쯤 돌았을까, 높직한 축.. 2023. 9. 19. 바다서 건진 고려 꿀항아리와 이기붕의 씨날코 마도 앞바다에서 건진 고려자기, 도기 중에는 글씨를 쓴 나무쪽(목간木簡)을 목에 건 채 나온 것이 많습니다. 읽어보면 '대장군大將軍 아무개 댁에 보내는 꿀 한 항아리' '중방重房 누구 집에 보내는 조개젓 한 항아리' 같은 문구들입니다. 13세기의 택배 송장이나 꼬리표라고 해야 할 것들입니다. 발굴보고서나 논문에서 이런 목간을 볼 때마다 저는 라는 책이 떠오르곤 합니다. 1959년, 이기붕李起鵬이라는 인물의 집에 드나들었던 이들의 명부(D일보사 소장)를 토대로 당시의 생활문화사와 정치심리학(이라고 하면 너무 거창할지 모르나)을 짚어본 작품이지요. 이기붕은 자유당 정권의 2인자였던 거물 정치가로, 그의 집은 서대문 4.19 혁명기념도서관 자리에 있었습니다. 속칭 '서대문 경무대'였죠. 명부에 따르면 서대문 .. 2023. 9. 17.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8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