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61

어쩌겠는가? 웃을수밖에 한시, 계절의 노래(230) 술을 마주하고 다섯 수(對酒五首) 중 둘째 [唐] 백거이(白居易) / 김영문 選譯評 달팽이 뿔 위에서무슨 일 다투나 부싯돌 불꽃 속에이 몸이 붙어 있네 부유하든 가난하든즐겁게 살아야지 입 열고 웃지 않으면그 사람이 바보일세 蝸牛角上爭何事, 石火光中寄此身. 隨富隨貧且歡樂, 不開口笑是癡人. 온 땅이 얼어붙은 연말이다. 이제 2018년도 이틀 밖에 남지 않았다. 세월이 쏜살 같다는 말을 실감한다. 나는 내년이면 우리 나이로 60에 접어든다. 참으로 믿기지 않는 나이다. 어린 시절 환갑잔치를 하는 어른들을 보면 모두 머리는 성성하고 손자 손녀가 줄줄이 딸린 상노인이었다. 당시에는 내게도 60이란 나이가 박두할 줄 상상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서른 무렵부터 세월이 흘러가는 소리가 귓전.. 2018. 12. 29.
촛불 아래서 내뱉는 장탄식 한시, 계절의 노래(229) 밤중에 앉아서(夜坐) [唐] 백거이(白居易) / 김영문 選譯評 뜰 앞에 온종일밤 되도록 서 있다가 등불 아래 때때로날 밝도록 앉아 있다 이 마음 말 안 하니어느 누가 알아줄까 또 다시 한 두 번씩장탄식 내뱉는다 庭前盡日立到夜, 燈下有時坐徹明. 此情不語何人會, 時復長吁一兩聲. 유학자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일까? 『대학』의 표현을 빌리자면 “몸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고,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것(修身齊家治國平天下)”이다. 이들은 고대로부터 각종 의례(儀禮)를 관장하는 직책을 맡아 이른바 여러 행사 사회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다. 이는 필연적으로 관직 중심주의로 귀착되었고 마침내 자신의 학식과 지혜를 최고통치자에게 제공하는 ‘왕사(王師)’가 되기 위해 일생을 .. 2018. 12. 29.
시절 아님에도 서둘러 찾아간 꽃 소식 한시, 계절의 노래(228) 동짓날 혼자 길상사에서 놀다[冬至日獨遊吉祥寺] [宋] 소식 / 김영문 選譯評 우물 바닥 약한 양기돌아 왔는지 아닌지 부슬부슬 찬 비가마른 풀뿌리 적시네 어느 누가 다시 또소 선생 행색처럼 꽃 시절 아닌데도혼자 오려 하겠는가 井底微陽回未回, 蕭蕭寒雨濕枯荄. 何人更似蘇夫子, 不是花時肯獨來. 동지를 ‘작은설’이라고 한다. 밤이 가장 길어 다시 양기를 처음 회복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복양절(復陽節)’이란 명칭도 그래서 생겼다. 아직 입춘까지는 소한(小寒)과 대한(大寒)이라는 혹한기를 거쳐야 하므로 봄을 이야기하기는 이른 시기다. 그런데도 소동파는 동짓날 혼자서 길상사로 놀러갔다. 꽃이 있을 리 만무하지만 일선양맥(一線陽脈)의 의미를 서둘러 확대했다. ‘우물 바닥 약한 양기’가 바로.. 2018. 12. 24.
복어회에 소주 한잔으로 보내는 세모 한시, 계절의 노래(227) 무제 두 수(無題二首) 중 첫째(1932년 작) [現代中國] 루쉰(魯迅) / 김영문 選譯評 고향 땅 캄캄하게검은 구름에 갇혀 있고 긴 밤 아득하게새봄을 막고 있다 세모에 이 쓸쓸함어떻게 견디랴 한 잔 술 잡고서복어를 먹는다 故鄕黯黯鎖玄雲, 遙夜迢迢隔上春. 歲暮何堪再惆悵, 且持卮酒食河豚. 중국 현대 대표 작가인 루쉰도 구체(舊體) 한시를 썼단 말인가? 그렇다. 60수가 넘는 루쉰의 한시가 남아 있다. 그의 마지막 한시가 1935년 문경지우 쉬서우창(許壽裳)에게 써준 「을해년 늦가을 우연히 쓰다(亥年殘秋偶作)」이므로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까지도 구체 한시를 창작했음을 알 수 있다. 루쉰은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와 같은 연배다. 만해는 1879.. 2018. 12. 23.
술별과 주성酒星, 술샘과 주천酒泉 술을 소재로 한 이태백 연작시 ‘月下獨酌(월하독작)’ 중 두 번째는 다음과 같이 시작하니, 天若不愛酒(천약불애주) 酒星不在天(주성부재천)地若不愛酒(지약불애주)地應無酒泉(지응무주천) 이니 이를 흔히 옮기기를, 하늘이 술을 즐기지 않으면하늘에 주성이 있을 리 없고땅이 술을 즐기지 않는다면땅에 어찌 주천이 있겠는가 라고 하거니와, 언제나 나에게 고민은 이런 옮김이 썩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주성(酒聖)과 주천(酒泉)을 일종의 고유명사처럼 간주한 것이라 이리 옮긴 것이니, 주성과 주천은 실재하는 고유명사다. 하지만 저런 옮김은 ‘술’과 ‘酒’가 운율에서 절대로 대응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고 나는 본다. 그래서 나는 저보다는 다음과 같이 옮겨야 더 좋다고 본다. .. 2018. 12. 17.
만목 시들었는데 오직 소나무만 한시, 계절의 노래(226) 소나무[松] [宋] 여본중(呂本中) / 김영문 選譯評 바람과 서리 탓에만목 시들어 추운 계절 오로지노송 외롭네 진시황은 맑고 높은지조 모르고 어거지로 그대를대부 삼았네 一依風霜萬木枯, 歲寒惟見老松孤. 秦皇不識淸高操, 強欲煩君作大夫.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 겨울은 소나무의 계절이다.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른데 왜 겨울을 소나무의 계절이라 하는가? 온갖 나무가 다 시들어도 소나무만은 늘 푸른 빛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논어』에도 나온다. “계절이 추워진 연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사실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也.)” 역사의 혼란기 때마다 목숨까지 바쳐 지조를 이룬 사람과 사리사욕을 위해 변절을 일삼은 자가 서로 다른 삶을 살았다. 역사와 사회의 .. 2018.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