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6

밥상은 알알이 농부의 고통, 그 열매라 한시, 계절의 노래(28) 농부를 슬퍼하며[憫農] 2수 중 둘째 [당(唐)] 이신(李紳) / 김영문 選譯評 벼논을 매노라니태양은 중천 땀방울 벼 포기 밑땅에 떨어지네 그 누가 알리요밥상 위 밥이 알알이 모두가고통인 것을 鋤禾日當午, 汗滴禾下土. 誰知盤中餐, 粒粒皆辛苦.(2018.05.11.) 앞에서 소개한 이신의 「농부를 슬퍼하며(憫農)」 첫째 수와 짝을 이루는 시다. 첫째 수는 농부들이 겪는 구조적 모순을 강조하고 있다면, 둘째 수는 우리가 먹는 밥이 모두 농민이 흘린 땀방울임을 상기시키고 있다. 특히 이 시 마지막 두 구절은 거의 격언화 되어 중국인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이신, 백거이, 원진, 장적(張籍) 등은 안사의 난(安史之亂) 이후 당나라 사회가 도탄에 빠지자 이를 문학적으로 드러내.. 2018. 5. 12.
사방이 농토인데 농민은 굵어죽고 한시, 계절의 노래(26) 농부를 슬퍼하며[憫農] 2수 중 첫째 [당(唐)] 이신(李紳) / 김영문 選譯評 봄에 곡식 한 알 심으면 가을에 만 알거두네 사방에 노는 땅없건만 농부는 여전히굶어죽네 春種一粒粟, 秋收萬顆子. 四海無閑田, 農夫猶餓死. (2018.05.09) 불과 20자로 핍박 받는 농촌의 실상을 이보다 더 적절하게 묘사하긴 힘들다. 고아하고 품격 높은 언어가 아니라 평범하고 쉬운 구어(白話)로 썼으나 골기(骨氣)가 있고 풍격이 굳세다. 또 이 시는 측성에 속하는 상성(上聲) 자(子)와 사(死)로 각운을 달았으므로 근체시 절구가 아니라 고풍(古風)에 속한다. 절구보다 훨씬 민요풍에 가깝다. 첫째 구(起句)와 둘째 구(承句)는 대구로 농사의 진리를 읊었다. 봄에 곡식 한 알 심어서 가을에 만 알 .. 2018. 5. 9.
부어라 마셔라 우미인(虞美人) 북송(北宋) 소식(蘇軾) / 홍상훈 옮기고 김태식 약간 손봄 술잔 들고 멀리 하늘 가 달에게 권하노니부디 가득 차서 이지러지지 말기를 술잔 들고 다시 꽃가지에 권하노니 또한 부디 오래도록 피어 어지러이 떨어지는 일 없기를 술잔 들고 달빛 아래 꽃 앞에서 취하노니 세상사 영고성쇠 묻지 마오이 즐거움 아는 이 몇이나 될까?술잔 마주하곤 꽃을 만났는데 들이키지 않는다면 어느 때를 기다릴까 持盃遙勸天邊月, 願月圓無缺.持盃更復勸花枝, 且願花枝長在, 莫離披.持盃月下花前醉, 休問榮枯事.此歡能有幾人知, 對酒逢花不飲, 待何時. 2018. 5. 9.
[동한東漢] 채염蔡琰 <비분시悲憤詩> 먼저 이 시가 과연 채염 작인가 아닌가는 논란이 적지 않거니와, 나는 그의 신세에 가탁한 후대 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다만, 그 후대가 실제 채염 생존시와는 멀지는 않음은 확실하거니와, 무엇보다 이 시가 《후한서後漢書》에 전문이 수록된 까닭이다. 채염은 字가 문희文姬라, 한나라 말기를 대표하는 저명한 문사文士 채옹蔡邕이 아버지다. 16살에 위중도衛仲道라는 남자와 결혼했지만 남편이 죽자 자식없이 본가로 복귀했다. 당시는 당말 절도사 시대를 방불하는 내란의 시대이기도 하면서, 흉노를 비롯한 외적과 국제전이 한창인 시대라, 이런 혼란한 시대 한복판에 말려들어 기구한 삶을 전전한다. 흥평興平 연간에 침노한 흉노군에 포로로 잡혀가 12년간 그곳에 가서 살면서, 두 아들을 낳았다. 조조가 채옹을 존경했음인지, .. 2018. 5. 8.
송화가루를 먹는 학 한시, 계절의 노래(25) 송학(松鶴) [당(唐)] 대숙륜(戴叔倫, 732~789) / 김영문 選譯評 비에 젖은 솔 그늘서늘도 한데 바람에 송화 가루뿌옇게 졌네 외로운 학 맑은 고요사랑하는지 조용히 날아와서안 날아가네. 雨濕松陰凉, 風落松花細. 獨鶴愛淸幽, 飛來不飛去. (2018.05.08) “송화 가루 날리는/ 외딴 봉우리/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 울면”(박목월, 「윤사월」) 시골 앞산 뒷산에서는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송화 가루가 날린다. 바람이 불면 소나무에서 뿌연 꽃가루가 일어 마치 황사처럼 온산을 뒤덮는다. 거기에 비라도 내리면 계곡이나 길 웅덩이에 노란색 가루가 둥둥 뜬다. 소나무는 겨울에도 시들지 않아 절개를 상징하고, 또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장수를 나타낸다. 이 때문에 송화 가루.. 2018. 5. 8.
뽕나무 그늘에서 오이 심는 손주 한시, 계절의 노래(24) 여름 시골 온갖 느낌[夏日田園雜興] 일곱째 [송(宋)] 범성대(范成大) / 김영문 選譯評 낮엔 나가 김을 매고밤에는 베를 짜고 시골에선 아이조차집안 일 맡아 하네 어린 손주 아직은밭 갈거나 길쌈 못해 뽕나무 그늘에서오이 심기 배우네. 晝出耘田夜績麻, 村莊兒女各當家. 童孫未解供耕織, 也傍桑陰學種瓜. (2018.05.07.) 시골에서 자라면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집안일을 도우며 농사를 배운다. 꼴 하고, 김매고, 피 솎고, 나무하고, 보리 베고, 감자 캐고, 고추 따고, 소 먹이고, 모심고, 나락 베고, 지게 지고, 타작하는 등등의 일을 몸에 익히면서 자란다. 쟁기질은 남자로서 마지막에 익혀야 할 일인데, 쟁기의 무게와 소의 힘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므로 대개 10대 후반에.. 2018.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