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5 도성7문 都城七門 《만기요람》 군정편軍政編 2 〈병조각장사례兵曹各掌事例 무비사武備司〉에 자물쇠[鎖鑰] 궁성·도성 각 문은 자물쇠가 만일 파손된 것이 있으면 용호영龍虎營에서 수리하여 주며, 물자[物力]는 호조에서 지출한다. 도성 7문의 자물쇠는 문마다 2개씩을 만들어 두고, 파손되면 곧 바꿔 쓰도록 한다.[鎖鑰○宮城,都城各門鎖鑰。若有破傷則自龍虎營修改以給。而物力。戶曹支下。都城七門鎖鑰。每門各二。有傷替用。] 라고 하였고, 《육전조례》 권7 병전 갱생색梗栍色 총례(總例)에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봐도 도성 7문都城七門이 구체적으로 어떤 문인지 알려주는 자료가 없다. 2021. 3. 31. [明] 구영仇英의《적벽도赤壁圖》 명나라 구영(仇英, 약1494~1552)의《赤壁圖》. 얼마전 실제 적벽이 초라하기 그지없다는 것을 알았다. 2021. 3. 31. 장모랑 마누라한테 매 맞고도 버틴 사위, 삼청동三淸洞 연굴사演窟寺 성현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권1에는 “삼청동(三淸洞)은 소격서(昭格署) 동쪽에 있다. 계림제(雞林第) 북쪽의 어지러이 서 있는 소나무 사이에서 맑은 샘물이 쏟아져 나온다. 물줄기를 따라 올라가면 산은 높고 나무들은 조밀한데, 깊숙한 바위 골짜기를 몇 리를 못 가서 바위가 끊어지고 낭떠러지가 된다. 물이 벼랑 사이로 쏟아져 흰 무지개를 드리운 듯한데, 흩어지는 물방울은 구슬과 같다. 그 밑은 물이 괴어 깊은 웅덩이를 이루고, 그 언저리는 평평하고 넓어서 수십 명이 앉을 만한데, 장송(長松)이 엉기어 그늘을 이룬다. 그 위쪽의 바위를 에워싸고 있는 것은 모두 진달래와 단풍잎이니 봄가을에는 붉은 그림자가 비쳐 진신(縉紳)들이 많이 와서 논다. 그 위로 몇 걸음을 옮기면 연굴(演窟)이 있다. [三淸洞在昭格署.. 2021. 3. 28. [淸] 왕원기王原祁(1642~1715) 《도원춘주도桃源春晝圖》 청나라 王原祁(1642~1715)의 《桃源春晝圖》 복사꽃 흐드러진 봄날에 취하고 싶다. 2021. 3. 24. 경복궁 뒤편 백악에 숨어든 중님들 조선시대에 백악白岳은 금산禁山으로 벌목, 채석 등을 할 수 없도록 법제화해 있었다. 마찬가지로 사찰도 들어설 수 없었다. 하지만 조선 초기에는 사찰이 운영되었으니, 《세조실록》 7년 5월 1일 경자 기사에 따르면, 5부五部에서 도성 안팎의 신구新舊 사사寺社를 기록하여 올리니, 명하여 백악산白岳山의 북초암北草庵·연굴암衍窟庵·동초암東草庵을 헐고, 백악산 바위 굴에 사는 중 해심海心을 쫓아냈다. 고 했다. 이로써 세조 때까지만 해도 백악에는 북초암, 동초암, 연굴암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에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때 확실하게 사찰은 없앤 듯하다. 2021. 3. 9. 장성 행주기씨 대종가의 의친왕 이강 글씨 의친왕 이강이 우리집에 써준 글씨와 함께 전하는 것이다. 김두현에게 전해지지 못하였다. 의열단의 김두현인 듯하다. 집안 기산도 의사께서 임정에서 활동할 때 함께 받으신 듯하다. 2021. 3. 7.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