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374

2005 식목일 낙산사 산불(2) 대참사의 마스코트, 하지만 그 동종은 멀쩡했다 이 사진 기억하는가? 당시 화재의 참상을 증언하는 마스코트와도 같은 장면이다. 저 사진이 우리 공장 강원본부 작품임은 알았지만 그 촬영자가 요새 김태식한테 잘못 꼬드김 당하고는 강릉 남대천에서 흰꼬리수리 찍느랴 여념이 없는 백전노장 유형재라는 사실은 이번에야 알았다. 우리 공장 DB에 내장한 저 사진을 보내주면서 "이것이 승님 사진이요?" 하니 그렇다고 퉁명스레 답한다. 뭘 그런 걸 새삼스레 묻느냐? 것도 모르냐는 핀잔 같다. 저 동종이 낙산사 범종루 주인공인 그 동종이다. 낙산사가 불타내리는 TV 생중계 화면에서도 저 장면이 자주 등장했다. 불타내리는 남대문이랑 마찬가지로 그 직전 문화재업계 최대 화재 참사로 꼽히는 낙산사 산불은 영원히 저 사진과 함께 기억될 것이다. 저걸 보면서 많은 이가 안타까워했.. 2022. 3. 6.
2005 식목일 낙산사 산불(1) "낙산사 덮치는 거 아냐?" 한국은 국경일을 비롯한 공휴일이 너무 많다는 경제계 오랜 공습에 2006년 식목일이 기어이 희생되었다. 2006년 공휴일이 폐지되고 말았으니, 2005년 4월 5일이 나로서는 마지막 공휴 식목일이었다. 당시 달력을 보니 아래와 같이 화요일이다. 요즘이야 주 52시간을 넘길 수 없다 해서 기자사회 역시 엄청나게 변화했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솔까 주말이건 공휴일이건 의미가 없었으니, 내가 확실히 기억하는 한 가지는 그날 나는 수송동 공장 4층 편집국으로 출근해 일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요샌 이런 풍경이 거의 사라졌지만, 당시만 해도 보통 언론사 편집국은 상시로 TV 채널을 이곳저곳에 것도 졸라 큰 볼륨으로 틀어놓던 시절이라, 요새 같으면 소음 공해로 질식사하고 말 일이지만 그때는 그것이 상사常事였고, .. 2022. 3. 5.
한국 문화재 ODA 사업의 시작(1)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올림픽이랑 마찬가지로 4년마다 국가를 도는 아시안게임은 2010년에 제16회 대회를 맞았다. 이때 개최지는 중국 광동성 廣東省 광저우廣州. 홍콩과 인접한 중국 남방 해변도시로, 역사 이래 이곳은 중국대륙이 외부 세계와 교통하는 대표 창구였다. 2010년 11월 12일에 개막해 11월 27일까지 열린 이 대회는 중국으로서는 1990년 베이징에 이어 두 번째 행사였다. 올림픽 종목 28개에다가 비올림픽 종목 14개를 합친 42개 종목에 걸친 메달레이스가 펼쳐졌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 회원 45개에서 총 9천704명이 참가한 매머드급 규모였다. 선수단 격려도 있고, 외교전도 펼쳐지는 곳이므로 이른바 정계 거물도 이런 자리에는 모습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당시 한국에서는 오야붕 격으로 이재오 씨가 참석했다. 이명박.. 2022. 2. 9.
아버지 박헌영 전집을 준비 중이던 20년 전의 원경 스님 공산주의 운동가 '박헌영 아들' 원경스님 입적(종합) 양정우 / 2021-12-06 18:41:16 조계종 최고 법계 대종사·원로회의 부의장 지내…2004년 '박헌영 전집' 발간 공산주의 운동가 ′박헌영 아들′ 원경스님 입적(종합)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공산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박헌영(1900∼1956)의 아들인 원경스님이 6일 입적했다. 세수 81세, 법랍 62년.조계종에 따르면 원경스님은 이날 오전 10시께 자신이 주지 k-odyssey.com 내가 한때나마 조선공산당에 관심을 표명하며 나름대로 관련 기사를 열심히 쓰던 때가 있었으니, 사회부에서 문화부로 전근한 98년 이래 2000년대 초반까지였다. 당시 나는 문화재와 더불어 학술을 전담했으니, 이 과정에서 학술 담당기자들이 접촉하는 .. 2021. 12. 6.
문광부, 한자병용이 씌운 덤터기 문화부로 전근하고 3개월 남짓 지난 1999년 2월 9일, 당시로는 아마 약칭으로 문광부라 했을 문화관광부가 어문정책 불을 싸지른 발표를 들고 나왔으니 이른바 한자병용이라 이 문제가 워낙 폭발성 있는 까닭에 최현배 세례를 듬뿍 받은 연세대 국어학 계열 한글순수운동주의자들과 서울대와 이희승에 뿌리를 두는 혼용 계열이 박터지게 싸웠으니 지금은 국립국어원이라 일컫는 국립국어연구원이 그 진원지였고 그 수장은 서울대 교수 심재기였다. 지금 보면 아무렇지 않게 보일 수도 있지만, 물론 한글단체들은 반발한다, 이 사안이 기름을 부었으니 언론사도 갈려서 조선 동아가 당연 찬성 쪽이었고 한겨레야 노동신문과 마찬가지로 한글전용론이었으니 이 사태는 날이 가면서 계속 불이 붙었다. 당시 문화부 인력현황은 앞서 말한대로 처참한.. 2021. 10. 13.
"문화재를 맡아주었으면 싶다"는 문화부장의 연락 "미안하지만 태식 씨가 문광부까지 맡아줘야겠어." 딱 2년에 걸친 사회부를 마치고 문화부에 배당된지 석달쯤 지난 1999년 2월, 당시 박찬교 문화부장이 나를 불러서는 이리 말하는 게 아닌가? 당시 나는 기자생활 7년차라, 이미 신참을 벗어난 시점이었으니, 이런 요청이 곤혹스럽기만 했다. 당시 문화부는 언론계에서는 이른바 간지부라 해서 체육부와 더불어 이른바 곁다리로 취급받던 시절이라, 간지부란 당시 신문발행을 기준으로 체육문화면이 신문 본판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별지로 제작되던 시절이라 해서 그리 일컬었으니, 뭐 무시경멸이 들어있었다. 그에 견주어 이른바 정경사라 해서 정치 경제 사회부가 언론계 주축으로 취급받았으니, 이런 사정이 지금이라 해서 근간에서 달라진 건 없다고 나는 본다. 문화의 시대는 허울에.. 2021.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