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점제현신사비에 대한 의문 점제현 신사비에 대한 간단한 의문을 써본다. ▨▨▨年四月戊午秥蟬長▨▨」 ▨建丞屬國會▨▨▨▨▨」 ▨神祠刻石辭曰」 ▨平山君德配代嵩承天▨▨」 ▨佑秥蟬興甘風雨惠閏土田」 ▨▨壽考五穀豊成盜賊不起」 ▨▨蟄臧出入吉利咸受神光」 위 점제현 신사비 비문에서, 秥蟬長 이 낙랑군 점제현이라는데 착안하여 이 비를 군현시대의 비로 점찍은것으로 안다. 그런데-. 建丞屬國 이 부분을 보자. 이 문장은 建丞 屬國 으로 끊어야 하고, 建丞의 경우에는 建짜 앞에 한글자가 더 있어야 할것이다. □建丞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왜냐? 평양 인근 채협총에서 발견된 목판 묵서에는, 縑三匹 故吏朝鮮丞田肱謹遣吏再拜奉 祭라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朝鮮丞 앞에는 현 이름이 오지 않나? 따라서 □建丞은 승앞에는 □建 라는 현 이름이 와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2023. 1. 20.
선우씨鮮于氏 이야기 (4): 낙랑태수 선우사鮮于嗣 앞에서 중국 선우씨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한국에도 선우씨는 있다. 이 두 선우씨 사이에는 "기자가 조선으로 갔다"는 기록 외에는 접점이 없을까? 만약 있다면 두 선우씨 사이의 접점으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무엇일까? 필자가 알기로 한국과 중국에서 나오는 선우씨에 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중국 삼국시대 기록이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보면. 桓靈之末 韓濊彊盛 郡縣不能制 民多流入韓國. 建安中 公孫康分屯有縣以南荒地 爲帶方郡. 遣公孫模·張敞等 收集遺民 興兵伐韓濊. 舊民稍出. 是後倭韓遂屬帶方. 景初中 明帝密遣帶方太守劉昕·樂浪太守鮮于嗣 越海定二郡 諸韓國臣智 加賜邑君印綬 其次與邑長. 其俗好衣幘 下戶詣郡朝謁 皆假衣幘 自服印綬衣幘 千有餘人. 部從事吳林 以樂浪本統韓國 分割辰韓八國 以與樂浪. 吏譯轉有異同. 臣.. 2023. 1. 20.
인더스 문명 라키가리 유적 보고서 탈고 (그리고 관련 근황) 우리 연구실이 2010년대 계속 작업한 인더스 문명 라키가리Rakhigarhi 유적 보고서를 마침내 탈고 했습니다. 물론 우리 연구실은 고고학 전공이 아니므로 발굴 보고서라고 하면 조금 어폐가 있고 정확히 말하면 이 유적에서 나온 생물학-인류학적 연구 보고서입니다. 인도 고고학자 2명과 함께 보고서를 편집했습니다. 지난 1년간 꼬박 작업했어요. 현재 출판 작업 진행 중인데, 최종 출판은 올해 상반기 중 영국의 한 고고학 관련 출판사에서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 보고서가 출간되면 후속작업으로 인도 박물관에서 라키가리 발굴 사진전을 개최하게 될 것 같은데, 아마 이 사진전을 위한 도록 편집을 바로 시작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라키가리 유적에 대한 우리 작업은 완전히 끝나게 되는데, 향후 인.. 2023. 1. 19.
선우씨鮮于氏 이야기 (3): 《원화성찬元和姓纂》 앞에서 동한東漢 시기 선우씨가 기자의 후손을 자처했다는 기록을 소개하였다. 이번에는 시대가 약간 내려와서 당대唐代 기록이다. 서기 812년 임보林宝는 황제 명을 받아 만성보萬姓譜를 편찬하였는데 그것이 《원화성찬元和姓纂》이다. 元和姓纂 - 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 zh.wikipedia.org 그 중에 선우씨에 대한 기록이 있다. 元和姓纂 (四庫全書本)/卷05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zh.wikisource.org 鮮于 箕子封於朝鮮支子仲食采於于子孫因合鮮于為氏 漁陽 後漢有京兆尹鮮于裒魏志有太尉從事鮮于〈案劉虞從事有鮮于輔後事漢為度遼將軍此脱名當即輔也〉後拜度遼將軍北齊有鮮于榮〈案齊書鮮于世榮此避唐諱闕世字〉領軍將軍封夷陽王判右僕射後周懐州刺史鮮于緒生明唐蒲州刺史定㐮公生匡濟匡紹匡濟左騎將軍匡紹閬同何利四州刺史生建業建宗 閬中 京兆尹劔.. 2023. 1. 19.
선우씨鮮于氏 이야기 (2) 여기까지만 놓고 본다면, 선우씨란 원래 중국의 토성으로 전한대부터 계속 내려온, 기자와는 무관한 성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중국 후한대에는 선우황鮮于璜 이라는 이가 있다. 서기 125년에 죽은 후한의 관료다. 이 사람의 무덤 빗돌이 중국 하북성, 그 중에서도 하필이면 옛 중산국 자리에서 발견된 바 있다. 그 내용을 보면, 讳璜,字伯谦,其先祖出于殷箕子之苗裔,汉胶东相之醇曜 라 하여 그 선조는 은나라 기자에서 나왔다고 떡 적혀 있는 것이다. 书法聚焦 | 每日经典欣赏——《鲜于璜碑》_悲夫 《鲜于璜碑》书风方整朴厚,笔法方圆结合,在存世汉碑中,与晚于它的《张迁碑》同属方笔一派而有别具特色。 【14】无振柜,亦古晏臧之次矣,当遂功祚,穷爵永年,意乎不造,早世 【17】 www.sohu.com 아래는 그 묘비명의 전문이다... 2023. 1. 18.
선우씨鮮于氏 이야기 (1) 우리나라에는 선우씨가 있다. 기자의 후손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 주장이 받아들여져 기자를 모신 평양 숭인전의 전감으로 대대 봉사하게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선우씨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중국에도 있다. 그런데 중국 쪽에서는 자국의 선우씨는 모두 조선에서 왔다고 설명하고 있다. 周武王灭商纣以后,放出箕子,并向他请教如何才能得到商民的拥护。箕子认为应当施行仁政,用安抚的手段来争取民心。周武王听了很高兴,要封箕子为官,但是箕子不愿做周王朝的臣子,就出走到辽东,建立了朝鲜国,史称“箕子朝鲜”。在朝鲜史籍《朝鲜史略》中记载:“周武王克商,箕子率中国人五千入朝鲜”。在朝鲜史籍《海东绎史》中引《三才图会》也记载:“箕子率五千人入朝鲜”。在朝鲜文献《朝鲜鲜于氏奇氏谱谍》中亦记载:“武王克殷,箕子耻臣周,走之朝鲜,殷民从之者五千人。” 据历史记载,箕子朝.. 2023.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