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지금 보는 일본의 이미지는 메이지 이후 창조됐다 일본문화의 많은 특징은 그 씨앗이 개항 이전 에도시대에도 있기는 했지만 많은 부분이 메이지 이후 새로이 창조되고 정리되고 윤색된 것이다. 조선과 비교하여 에도시대 일본이 상업적으로 융성하고 지적인 면에서 대 역전극을 이뤄낸 것은 분명하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 차이를 어마어마한 것으로 만든 것은 메이지 이후, 조선이 식민지화하면서부터이다. 이 시기에 일본은 전통적인 아시아와는 다른, "유럽사와 매우 비슷한 역사를 경과한" 것으로 포장되었는데, 이 포장지를 우리 인문학자들이 벗겨야 할 때이다. 이런 작업을 할 만한 실력이 안된다면 극일이라는 둥 반일이라는 둥 이야기도 꺼내지 말라. P.S.) 일본이 이랬다던가 저랬다던가 이야기 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딱 잡아서 그 사실이 맞다는것은 어떻게 아는가?.. 2023. 2. 8. 일본학회 참석 유감 일본애서 열리는 학회를 오래간만에 참석하게 되었다. 코로나 이후 제대로 된 해외 학회 참석은 처음인데 오래간 만에 나오니 기분이 새롭다. 각설하고. 이제 한국학계도 80년대식 극일주의에서 벗어날 때가 되었다. 정상적인 국가간 학문교류로도 밀리지 않고 교류가 가능한데 굳이 과거 식민지와 제국주의 국가 사이의 감정 찌꺼기를 학문에 끌고 올 필요 없다는 생각이다. 특히 한국과 일본사에 관련해서는 필요한 것은 논리이지 정치논리에 입각한 구호가 아닌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반일이라는 구호 하나만 제대로 걸면 무논리도, 수준미달도 모두 용서되는 시대는 우리가 알아서 접는 것이 옳다. 그렇게 무리하지 않고도 한국 수준이 이미 충분히 높아졌다고 본다. 2023. 2. 8. 낙랑 유물 재고 얼마 전에 김단장께서 북한 평양에 새 박물관이 섰는데 여기에 낙랑유물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아마도 낙랑 구역 어딘가에서 발견된 유물인가 본데, 금제무늬막이 장식이라고 해놨다. 그런데.... 여기 다른 것은 모르겠지만 오른쪽 하단의 장식물을 보라. 바로 이것. 이것이 뭐 같은가? 이게 뭔고 하면... 산해경에 나오는 "기"라는 동물이다. 발이 뒷발밖에 없다던가 그렇다. 쉽게 말해 낙랑구역에서 나온 저 금제장식품 중 일부는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을 형상화 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저 금제장식품은 모두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을 형상화 한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저 장식품은 오늘은 사라져 버리고 없는 산해경에 나오는 동물의 그림을 장식물로 형상화한 것이니, 현존하는 유일한 산해경 관련 유.. 2023. 2. 5. 일본사에서 한국인이 주목해야 할 문제 필자는 일본사가 한국사보다 어마어마하게 잘 났기 때문에 근대화에 저쪽은 성공하고 이쪽은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수천년에 걸친 양국 교류사에서 한국이 문화적으로 항상 전수자의 입장에 있었던 것도 옳고, 또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주고 받았던 역사도 맞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18-19세기. 에도시대의 일본에 대해서는 우리가 왜 근대화에 실패했는가를 놓고 한국사에 대해 고민하는 것처럼. 저쪽은 왜 성공했는가에 대해서도 끈기 있게 달라붙어 연구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18-19세기. 에도시대 후반부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 중 하나는, 흔히 말하는 학문적 동향. 특히 난학과의 관련인데. 이 문제에 있어 몇년도에 일본인들이 무슨 측량법을 받아 들였다던가, 근대적 인체해부를 완성했다던가 하는.. 2023. 2. 4. 연구실 신간 논문 2023년 새로 나온 연구실 신간 논문입니다. 이미 나온 것도 있고 인쇄 중인 것도 있고 그렇습니다. 李陽洙·金智恩·洪宗河·申東勳, 考古学からみた韓半島における馬飼育様相の変遷. 動物考古學 (日本). In press. Kim JE, Lee HJ, Hong JH, Kenig A, Zaitsera E, Slepchenko S, Kim S, Shin DH. Cross-Analysis of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Data from the Remains of Joseon Dynasty Mummies and Other Agrarian People of 16th to 18th Century Eurasian Continen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 2023. 2. 4. 소행성 멸종설은 우주과학자의 횡재 앞에서 뭔가 쓸모있게 보여서 연구비를 끌어오기 위한 연구자들의 눈물겨운 노력에 대해 썼는데, 노벨상 수상 연구라고 해서 별다를 것 없다. 올해 수상자였던 연구의 경우, 왜 이 연구가 노벨상을 받았는가,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에서 그의 연구는 단순한 것이 아니라 COVID-19의 발생과 해결에 관해 중요한 단서가 숨어 있는 것을 높게 평가한 것 같다는 이야기를 방송인지 유튜브인지 어딘가에서 들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웃었다. 그냥 궁금해서 한 게 맞다. 재미있어서 한 거고. 네안데르탈 연구가 오늘날 우리에게 무슨 금전적 이득이 된다는 말인가? 적어도 그 연구자는 재미있어서 한거고 거기에 COVID-19연구에 도움을 주자 이런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봐도 된다. 비슷한 것으로 공룡 소행성 멸종설이 있다. 아마.. 2023. 2. 3. 이전 1 ··· 284 285 286 287 288 289 290 ··· 3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