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한국 아파트의 기원 우리나라 도시 특징을 정의하자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가장 두드러진 데가 아파트인 듯하다. 한국처럼 도시 전역을 거대한 아파트가 즐비하게 늘어선 나라는 드물다. 이런 모습을 들어 멋대가리 없는 성냥곽 같은 스카이 라인이라 질타하는 경우도 보지만, 이런 고층아파트가 없었다면 도대체 주택난은 어떻게 그렇게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보면 답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누가 뭐래도 한국 아파트처럼 살기 좋은 환경은 없다. 주거환경에 관한 한 최고라고 본다. 이런 한국아파트는 기원이 어디일까? 미국도 일본도 유럽도 한국 같은 아파트 숲은 보기 어렵다. 한국아파트 기원으로 생각해 볼 만한 나라는 의외로 소련이다. 러시아에 가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구소련은 한국 아파트를 연상할 만한 대규모 고층 주거.. 2023. 1. 28. 문명 연구에의 도전 한국은 좁은 한반도를 벗어난 인류보편의 문명권에 대한 진지한 연구의 역사가 전무하다. 이는 이 자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한국사를 보는 시야를 좁게 만든다. 한국사에 대한 평가를 왜곡되게 한다. 다른 문명에 대한 연구는 인류사에 대한 기여임과 동시에 한국사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인류보편의 문명권에 대한 연구가 우리는 워낙 늦다보니 끼어 들어갈 곳이 없다. 이런 목적으로 다녀 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집트, 남미,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모두 선점한 나라 연구자들이 있어 한국인이 연구에 끼어 들어가기 극히 어렵다(그 문명을 국내에 소개시켜주는 정도의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발굴조사 등에 참여하여 연구 업적을 산생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소위 나와바리라는 것을 실감하는 순간이다. 후발주자인 우리로서는 .. 2023. 1. 24. 마지막 남은 대 연구 주제: Lapita 대항해시대-. 태평양에 진입한 유럽인들은 절해고도나 다름없는 이곳 섬들에서 빠짐없이 사람들이 살고 있는 것을 보고 크게 놀랐다고 한다. 이들은 어떻게 이곳으로 이동해 살게 되었을까? 필자가 생각하는 바, 마지막 남은 대 연구주제 하나로 한국인들이 뛰어 들어갈 만한 데다. Lapita란 광대한 태평양 섬들을 어떻게 인간이 하나씩 정주하며 터전을 일구어 갔는가에 대한 의문에 대한 대답이다. 정년까지 한자리 수인 필자도 뒤늦게 이 주제에 몸담아 보고자 한다. 우리는 돼지, 닭, 개를 가지고 갈 것이다. *** 편집자注 *** 필자가 말하는 저 LAPITA가 지역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그럴지도 모르지만 Lapita culture 라 해서 복합어 개념으로 등장한다. 그 정의를 위키피디아 관련 항목은 이리.. 2023. 1. 23. 카미카제 설날이다. 객지에서 활동하던 모든 사람들도 귀향하는 뜻깊은 시절이다. 설날이 명절이니, 차례니 하는 스트레스 가득한 이야기를 제외하면 가족들이 정기적으로 다시 모일 기회를 주는 것만으로도 설날의 의미는 매우 깊다. 각설하고, 2차대전때 카미카제를 사무라이 정신의 정화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어떻게 생각하면 그 정신이 사무라이 정신이건 뭐건 간에 그들이 죽는 순간에는 부모 형제를 떠올렸을 것이다. 재미 있는 이야기가 있다. 미국은 전사자 송환에 아주 관심이 많은 나라다. 이 때문에 전사자의 유해가 확인이 안되면 끝까지 이를 추적한다. 미국은 이미 1차 세계대전때 대규모 전사자가 나올것을 예상하고 유해 송환을 위한 부대를 창설하였고, 2차대전때는 인식표 없이 사망한 유해를 확인하기 위해 인류학자로 구.. 2023. 1. 22. 점제현 신사비와 관구검 (무구검) 기공비 김단장께서 쓰신 글도 있고하여 조금 더 살펴 본다. 점제현 신사비와 시대가 비교적 가까운 관구검 (무구검) 기공비를 소개한다. 점제현 신사비가 왜 그 양식에 있어 상당히 이탈적인 것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관구검 (무구검) 기공비를 보자. 서기 244년의 비로 필체와 비의 모양이 점제현 신사비와 완연히 다르다. 중국 쪽에서 흔히 보는 규형비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 관구검기공비는 규형비인 듯 | 한국역사연구회 관구검기공비는 규형비(圭形碑)인 듯 하일식(고대사분과, 연세대 사학과 교수) 2014년 5월 4일.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원들, 몇 대학 대학원생들과 함께 들린 심양 요령성박물관에는 관구 www.koreanhistory.org 아래는 동한 시기에서 북위 때까지의 중국 비의 모양이다. .. 2023. 1. 21. 선우씨鮮于氏 이야기 (5): 한국의 경우 앞에서 중국의 선우씨에 대해 장황하게 썼다. 이들의 연원이 매우 깊어 빠르게는 전한 한무제때 기록에 나타나며 매우 이른 시기부터 자신들은 기자의 후손이라는 의식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재미있는 것은 정작 한국의 선우씨 일족은 앞에서 이야기한 여러 가지 중국 쪽의 전승-기록들을 거의 모르고 있었던 것같다. 한국의 선우씨 족보에 따르면 이들 역시 기자후손을 자처했지만 중간에 세계를 잃어버려 고려 문종 때 중서주서中書注書를 지낸 선우정鮮于靖을 1세조로 하는 모양이다. 따라서 기자의 후손이라는 기억만 희미하게 남은 상태에서 고려 전기의 조상만 기억하고 있는 상태가 한국의 선우씨의 상황이었겠다. 이들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일약 조명을 받게 되었는데 다름 아니라 평양에 기자의 국가사전인 숭인전이 세워지면서부터이.. 2023. 1. 21. 이전 1 ··· 286 287 288 289 290 291 292 ··· 3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