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417

한반도에서 비행기 타고 날아 요서로 갔다는 낙랑 대방 위서魏書 권4상卷四上 세조기世祖紀 제4상第四上 세조 태무 황제世祖太武皇帝 4년(432) 秋七月己未, 車駕至濡水。庚申, 遣安東將軍·宜城公奚斤發幽州民及密雲丁零萬餘人, 運攻具, 出南道, 俱會和龍。帝至遼西, 文通遣其侍御史崔聘奉獻牛酒。己巳, 車駕至和龍, 臨其城。文通石城太守李崇·建德太守王融十餘郡來降, 發其民三萬人穿圍塹以守之。是月, 築東宮。八月甲戌, 文通使數萬人出城挑戰, 昌黎公元丘與河間公元齊擊破之, 死者萬餘人。文通尚書高紹率萬餘家保羌胡固。己卯, 車駕討紹, 辛巳, 斬之。詔平東將軍賀多羅攻文通帶方太守慕容玄於猴固, 撫軍大將軍·永昌王健攻建德, 驃騎大將軍·樂平王丕攻冀陽, 皆拔之, 虜獲生口, 班賜將士各有差。九月乙卯, 車駕西還。徙營丘·成周·遼東·樂浪·帶方·玄菟六郡民三萬家于幽州, 開倉以賑之。 (북위 도읍인 평성을 떠나) 가을 7월 己.. 2024. 2. 14.
김빠진《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2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김영사, 2002)는 이 책 서두에 붙인 '감사의 말'에 썼듯이 2001년 11월, 이종욱 선생이 진행한 서강대 사학과 대학원 수업 시간에 발표한 200자 원고지 600매가 바탕이 되었다. 당시는 내가 무슨 정신이었는지, 작정하고 600매를 완성해 이종욱 선생 앞에서 발표한 것이다. 그 직전 아마 1999년인가 이 선생은 김영사를 통해 화랑세기 해설을 겸한 연구 대중서를 출간했으니, 이때 발표에서는 그에서 드러난 문제점도 사정없이 지적했다고 기억한다. 그때 발표 원고는 아마 망실했을 것이다. 이 발표문을 나는 당시 내가 몸담은 연합뉴스를 통해 2002년 1월 14일부터 2월 23일까지 무려 41회에 걸친 연재를 시작해 풀어제꼈다. 이 발표와 더불어 나는 이 화랑세기에 드러난 .. 2024. 2. 14.
합천군 야로현冶爐縣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0권 경상도慶尙道 합천군陜川郡【건치연혁】을 보면 이곳은 본래 신라 대량주大良州라 했다가 경덕왕 때 강양군江陽郡이라 고쳤다고 한다. 그러다가 고려 현종이 대량원군大良院君에서 왕이 되고 황비 효숙왕후孝肅王后가 태어난 곳이라 해서 지합주사知陜州事로 승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조선 태종 때에 합천이라는 하고는 군으로 만들었다고 하니 이것이 지금에 이른다. 그【속현】으로는 우선 야로현冶爐縣이 군 북쪽 30리에 있다 했으니 신라 때는 적화현赤火縣이라 했다가 경덕왕이 야로현으로 고쳤다고 한다. 야로冶爐나 적화赤火 모두 결국은 표기로 보건대 쇠물을 부어 철기를 만드는 일을 말하거니와, 이곳이 실로 오래도록 포스코나 광양제철 같은 공장이 있었음에 틀림없다. 나아가 고적 조에 의하면 좌이부곡坐伊部曲ㆍ말.. 2024. 2. 14.
제주에서 운양 김윤식을 생각하다 1. 터에도 인연이라는 것이 있는 모양입니다. 제주 시내-여기서는 옛날 제주의 중심이랄 수 있는 구제주-를 어슬렁거리다가 만난 곳, '제주시 소통협력센터'란 이름이 붙은 여기가 조선 말 한문학 대가이자 온건개화파 거두 운양 김윤식(1835-1922)이 유배와 살던 곳이더군요. 동도서기東道西器 곧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기술을 소통, 협력시켜보자는 주장을 펼친 운양이 살던 곳에 소통협력센터가 들어서다니 인연도 이런 인연이 있을까요(억지스럽다고 하면 그것도 할 말은 없습니다만). 2. 김윤식은 을미사변 당시 외무아문대신으로 명성황후 폐위에 일조했다는 죄를 입어 1898년부터 1901년까지, 제주에 약 3년간 유배와 있었습니다. 여기 올 때 인천에서 화륜선을 타고 왔다니 그것부터 근대 느낌 물씬 나는데, 그가 .. 2024. 2. 13.
AI로 증폭한 안중근 인터넷에 떠돌아 다니는 사진들이 고화질일 리는 없다. 해상도 구리기 짝이 없어 50kb도 안 되는 것들이다. AI 증폭 기술로 이들을 얹어봤다. 왜곡도 적은 듯해 그대로 인쇄용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듯 하다. 이전에 나는 사진은 고화질로 찍어야 한다 하면서 고화질은 줄일 순 있지만 저화질은 늘릴 순 없다 했지만 그 말은 철회한다. 2024. 2. 13.
안서도 둔전을 현화사에 시주했다는 기사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을 읽어가다 보면 그 11년, 1020년 8월에 왕이 안서도安西道 둔전 1,240결을 현화사玄化寺에 시주하니 양성兩省에서 두 세 차례나 논박했지만 왕이 받아들이지 않았다[八月. 以安西道屯田一千二百四十結施納于玄化寺. 兩省再三論駁, 不納.] 고 하거니와 이 말이 무슨 뜻일까? 난 이것이 무슨 뜻일가 몹시도 궁금하다. 혹 이에 관한 선행 연구가 있기는 할 법한데 찾아보지는 않았다. 안서도라면 고려사 지리地理3에 보이는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를 말할 것이어니와 그 수도는 해주海州라, 이는 지금도 도시 이름으로 남았거으니, 이에 의하면 이곳은 태조 왕건이 군郡 남쪽에 큰 바다가 있어 해주海州라는 이름을 내리고 성종 2년(983)에 12목牧을 설치할 때는 해주에도 그 하나가 설.. 2024.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