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729

아즈텍이 쓴 흑요석제 의식용 칼 어느 고고학 사이트가 저 유물들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Aztec ceremonial knives (made of Black Obsidian stone)아즈텍문명 의식용 칼..검은 흑요석으로 제작관련 자료를 더 검토해야겠지만 일단 저리 소개하므로 맛뵈기로 선만 보고 자세한 보기는 다음 기회로 넘긴다. 2024. 5. 1.
머리 잘린 아시리아 수호신 라마수 앗시리아가 숭배한 저 신을 라마수 Lamassu 라 표기하나 라맛수 정도가 원음에 가깝지 않을까 한다.이 조각은 1992년 이라크 발굴팀이 처음 확인했지만 1995년 그 머리가 도난당했다가 회수돼 지금은 바그다드 이라크 국립박물관에 보관됐다.사진은 그걸 재발굴하는 순간을 포착한 것이다.라마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시리아 보호신이다.사람 머리, 사자, 황소 또는 관련 동물의 몸, 날개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아시리아 왕들은 보호신 형태로 그 신상을 저리 만들어 그들의 영역에 배치했다.이 라마수는 앞서 자세히 정리한 바 있다.후세인 시절 머리가 잘린 2천700년전 앗시리아 수호신 라마수 신상 재발굴 후세인 시절 머리가 잘린 2천700년전 앗시리아 수호신 라마수 신상 재발굴2,700-Year.. 2024. 5. 1.
조선 고종 24년에 발굴한 이른바 알렉산더 석관 Alexander Sarcophagus 200 cm × 170 cm × 320 cm (79 in × 67 in × 130 in) Weight 15 tons 저 석관 규격은 이렇다. 저런 석관을 사코퍼거스 sarcophagus 라 하는데 서양 박물관에서 발길에 채는 유물이다. (사코퍼거스 개념에 대해서는) 저 사코퍼거스는 튀르키예 이스탄불 고고학박물관 Istanbul Archeology Museum 이 마스코트 격으로 자랑하는 것으로 나로선 20년 전 토지박물관 해외답사 때 쫄랑쫄랑 따라가 만난 적 있고 이후 가족여행 패키지로 따라가서 다시 한 번 봤는지 안 봤는지도 기억에 없다! 흔히 알렉산더 석관이라 하지만 실상 알렉산더 대왕은 무덤이 아직까지 알려지지 아니해서 찾을 길이 없다. 함에도 저 친구가 "Alexander Sarcophagus"라.. 2024. 5. 1.
인류사 가장 늙은 애니메이션 주인공은 염소? Museum of Ancient Iran 소장품 중 하나로 대략 5천200살 정도 연세 드신 질그릇 사발 pottery bowl 이라 하는데 Shahr-e Sukhteh 라는 데 출토품이랜다. 저에 표현한 그림들이 아마도 인류사 가장 오래된 애니메이션 animation이 아닐까 한다는데 이르기를 야생 염소 한 마리가 뛰어오르는 모습을 5장 보여주는데, (뒤집기처럼) 저걸 시퀀스로 놓으면 첨부 사진 아래와 야생 염소가 뛰어올라 나무에서 잎을 갉아먹는 장면들이 된다고. 아래에 그것을 실제 애니메이션화한 동영상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Shahr-e_Sukhteh#/media/File:Vase_animation.gif 내친 김에 Shahr-e Sukhteh 라는 데를 찾아.. 2024. 5. 1.
7년 가뭄을 이야기하는 기근 기념비 Famine Stela 이른바 기근 기념비 Famine Stela 는 이집트 아스완 Aswan 근처의 세헬 섬 Sehel Island 에서 발견된 이집트 상형문자 hieroglyphs 에 새긴 고대 비문이다. 이것은 제3왕조(기원전 2686~기원전 2613) 파라오 Djoser 통치 기간 동안 7년간의 가뭄과 기근을 다시 이야기한다. 비문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 Ptolemy V 가 기원전 205-180년경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때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비문 상단은 Djoser가 이집트 신들에게 공물을 하는 모습을 묘사하면서 가뭄이 그의 백성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이 이야기는 사실의 반영일까 아니면 다른 곡절이 있을까? 본래 창세기 41 Genesis 41 의 7년 기근에 대한 성경 이야기와 연결되지만, 추가.. 2024. 4. 30.
종이 도화지 대용으로서의 자작나무 껍질 이 자작나무는 묘해서 저 껍질은 얼마전 외국 사례를 보니 기름을 추출하는 원료이기도 하거니와동아시아에서는 그 나무는 그것이 주산지인 고산지대에서는 각종 공예용품을 제작하는 원료가 되거니와 그것을 구하기 힘들었을 삼국시대 구성원 중 신라와 백제의 경우는 그것을 어찌 구했는지는 여전히 좀 미궁에 빠지기는 하지만 아무튼 현재까지 확인한 활용 경로를 보면 첫째 관식의 경우 보강재 혹은 충격 완충재 같은 것으로 썼고 두번째로 천마총 출토 이른바 천마도 장니가 명확히 보이거니와 종이 혹은 도화지 대용으로 써서 거기다가 그림을 그렸으니 그 밑천이 바로 저 껍데기에 있다. 저런 식으로 자작나무는 껍질이 좍좍 벗겨진다.다만 저에는 기름 성분이 유난히 많아, 그것이 기름을 짜내는 원료로 활용되는 구실이 되거니와 기름이 많.. 2024.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