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420

[독설고고학] 훼기毁器, 왜를 포기한 참상(1) 모르겠다!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재연구원)이 펴낸 한국고고학 사전 시리즈 중 하나인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을 보면 훼기毁器라는 항목을 설정하고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훼기는 제사 또는 장사를 지낼 때, 그릇이나 공구·무기 등을 용기나 도구 등을 깨뜨리거나 구부리는 등 의도적으로 훼손시켜 충전토나 봉토, 주구 등에 매납하거나 뿌리는 습속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행해진 습속의 하나이다. 무덤에서의 훼기습속은 선사시대부터 행해졌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고,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부석시설에 파편의 토기편이 확인되어 청동기시대 이후부터 무덤을 만들거나 또는 매장 후에 제사를 지내면서 물품을 파쇄하는 행위가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삼국시대 무덤의 봉토와 주구에서 이.. 2024. 1. 21.
도굴을 부른 후장厚葬(1) 박장薄葬과는 상대적이다 인류문화사를 보면 박장薄葬과 후장厚葬을 둘러싼 오랜 논쟁이 있었다. 같은 유가 윤리로 무장한 사회라 해도 이를 둘러싼 생각은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면 달라지기도 했으니, 조선시대는 대표적인 박장 지향 사회였다. 내가 볼 땐 뭐 묻을 것도 없어서 그랬겠다 싶기는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이것이 시대와 공간을 달리하면 또 달랐으니, 묵자시대에 그가 이끄는 교단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던 중국 전국시대를 보면, 묵자 교단은 박장을 내세우면서 후장을 선호하는 유가를 맹렬히 공격하고 있음을 본다. 그렇다면 박장이란 무엇이고 후장이란 무엇인가? 죽은 사람을 땅에다 묻을 적에 각종 껴묻거리를 덕지덕지 넣어 쑤셔박는 시스템을 두터울 후厚에다가 장사지낼 장葬자를 써서 후장이라 하며, 그에 견주어 최소한의 그릇 몇 개 정도만 넣.. 2024. 1. 21.
도교 공부를 위한 참고 문헌 실로 방대하나, 도교 기초 확립을 위한 참고문헌으로 내가 생각하는 것들은 아래가 있다. 아래 소개하는 것들은 내가 도교 공부할 때 많은 도움을 받은 것들이다. 시중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교 개론서로 아래가 있다. 갈조광葛兆光, 심규호 옮김 《도교와 중국문화》, 동문선, 1993. 구보 노리타다 저, 최준식 옮김 《도교사》, 분도사, 2000. 酒井忠夫 外 지음, 최준식 옮김: 《道敎란 무엇인가》, 민족사, 1990. 詹石窓 著, 김영수·안동준 공역: 《도교와 여성》, 창해, 2005. 마노 다카야 저, 이만옥 역 《도교의 신들》, 들녘, 2001 장스촹 저, 안동준·언샤오리 역, 《도교문화 15강》, 알마, 2012년 앙리 마스페로, 신하령·김태완 옮김 《도교》(원서명 Le Taoisme et.. 2024. 1. 21.
형식이 내용을 구속한다, 부장품의 경우 이른바 닌토쿠천황仁徳天皇이 묻힌 곳이라 하는 오사카 다이센능고분大仙陵古墳이다. 간단히 다이센고분大仙古墳이라고도 한다. 이 무덤을 일컬어 피라미드를 능가하는 전 세계를 통털어 옛날 무덤 왕릉 중에서는 최대 규모라 선전하곤 하는데 어느 정도인가 하면 2018년 4월에 궁내청宮内庁 3차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봉분과 해자 합치고 바깥 경계 구역까지 포함한 최대 길이 840m에, 너비 최대 654m 봉분만은 길이 486~525.1m 봉분 아래쪽 기준 면적 103,410~121,380㎡ 뒤쪽 원형 봉분만 지름 249~286.33m, 높이 35.8~39.8m 앞쪽 네모난 모양 전방부前方部가 너비 307~347m에 길이 237~257m, 높이 33.9~37.9m 에 달한다고 하니 그 규모가 엄청남을 보겠다. 흔히 황남.. 2024. 1. 20.
[대물大物 이야기] 거근巨根의 창시자 노애嫪毐 (3) 김치양의 대선배 이제나저네나 죽기만 기다린 아버지 소양왕이 재위 56년 만에 죽자 그 아들로 다음 보위를 이을 재목으로 점지된 태자 안국군이 즉위했지만, 너무 오래 기다리다 기쁨에 계워 그랬는지, 그는 재위 불과 1년 만에 죽고마니, 이를 효문왕孝文王이라 한다. 다음 보위는 당연히 자초 몫이었다. 안국군 아들로 볼품 없다 해서 조나라에 인질로 던져졌지만, 장사꾼 여불위가 장래를 보고 대투자를 감행한 안국군 아들 그 자초子楚 말이다. 죽은 뒤 그를 높여 장양왕莊襄王이라 하니, 그가 바로 시황제 아버지다. 자초는 왕이 되고 나서 자신을 후계자로 지목해준 화양왕후를 화양태후로 높이는 한편, 그를 진짜로 낳아준 엄마 하희夏姬는 하태후라 해서 높였다. 다음으로 자초는 기원전 249년, 즉위와 더불어 자신을 이 자리에까지 오게 한.. 2024. 1. 19.
AI가 구현한 추몽 포르쉐는 龍이 아닌 dragon "(왕께서) 세상의 자리(왕위)를 즐기지 않으시니 (하늘이) 黃龍을 보내어 내려와서 왕을 맞이하였다. 왕께서는 홀본忽本 동쪽 언덕에서 용 머리를 발로 딛고 하늘로 올라가셨다[不樂世位, 因遣黃龍來下迎王, 王於忽本東[岡], 履龍首昇天]." - 중에서 *** Editor's Note *** 요새 강군이 AI 그림에 재미를 붙인 듯해서 저 명령어를 넣어 AI에 관련 그림을 주문해 보라 했더니 저리 나온댄다. 우리가 원하는 모습과는 좀 거리가 멀어 기대를 충족한다 하기는 힘들지만 이에서 우리는 의외의 면을 본다. 저 AI한테 입력된 용은 龍이 아니라 dragon이다. 이는 내가 항용 지적하듯이 龍과 dragon은 전연 별개임을 다시금 확인한다. 아주 간단히 정리하면 동아시아 龍은 이른바 선신善神 계열이고, 가뭄에.. 2024.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