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당당탕 서현이의 문화유산 답사기230 용인시박물관 소장 “흥화학교 회계부 및 증서류” 경기도등록문화재 예비심의 통과 용인시박물관에서 구입 수집한 흥화학교 관련 유물이 이번에 경기도등록문화재 등록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 흥화학교는 구한말 민영환이 세운 민족사립학교인데, 왜 용인시에서 이 유물을 수집했는가하면, 민영환 선생 묘가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맵] 민영환선생묘 경기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544-4 http://kko.to/omZUV2kpfe 민영환선생묘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map.kakao.com 이 회계부는 민영환이 자결순국한 이후 1906년 1년동안 수입, 지출 용처에 대해 기록한 것인데, 당시 학교 운영 상황과 물가, 물건의 이름 표기 등에 대해 알 수 있다. 특히 매월 고종으로부터 내탕금 60원을 희사받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국가에서 흥화학교 운영을 지원했음을 .. 2023. 3. 29. [전국학예연구회 성명서]"박물관.미술관 공동 학예사 제도 철회를 엄중히 요구한다" [전국학예연구회 성명서]“인구감소지역에 대한 박물관․미술관 공동 학예사 제도 철회를 엄중히 요구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 전략’을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언론에 공개했다. 오늘 공개한 주요 내용을 보면, ‘지방소멸’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수도권에 편중된 문화시설의 지방 분산, 1명 이상의 학예사를 고용해야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의 경우 인구감소지역은 2개 이상의 박물관․미술관이 학예사를 공동으로 두는 것을 인정하는 등 문화시설 규제 완화, 유휴 공공시설을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시설로 개조하여 문화시설 확충 등 비수도권 거주민에게도 ‘문화슬세권’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수도권 국민의 문화향유 증진을 위한다는.. 2023. 3. 27.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는 변신중2 그저께,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했다는 글을 올렸었는데, 2023.03.22 - [우당당탕 서현이의 문화유산 답사기] -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 변신중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 변신중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를 아는 사람이라면, 가마터 앞에 지저분한(?) 축사와 낡은 주택을 왜 이리 방치(?)하는지 싶었을 텐데, 드디어,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축사와 주택 철거를 완료함!!!😃😃 historylibrary.net 현장을 드론 촬영한 사진이 있어 추가로 몇 장 더 첨부해서 올립니다!✈️✈️✈️✈️ (드론 사진은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김귀한 선생님이 도움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니, 주변이 정리된 것이 더 눈에 잘 보임!😁 이번 철거 공사를 담당한 우리팀 직원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문화.. 2023. 3. 24.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 변신중 용인 서리고려백자요지를 아는 사람이라면, 가마터 앞에 지저분한(?) 축사와 낡은 주택을 왜 이리 방치(?)하는지 싶었을 텐데, 드디어,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축사와 주택 철거를 완료함!!!😃😃 훤~해진 모습이 낯설면서도 시원하다!😆 이 앞에 낡은주택과 축사가 있었던가 싶다 ㅋ 이렇게 축사와 주택이 있었는데 모두 철거!! 이제 발굴조사 할 예정입니다😉 2023. 3. 22. 용인 송병준 호화 별장과 그 영화지映華池 안성으로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오랜만에 영화지映華池에 들렀다. 양지면 추계리에 있는 이곳은 대표적 친일 인물인 송병준 별저가 있었던 곳인데, 99칸 기와집은 사라지고, 대형 교회와 주차장이 들어섰지만 다행히 정원 연못터는 남았다. 친일파 관련 유적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이곳은 일진회 본거지로, 항일의병의 주요 공격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곳이다. 한편으로는 정원 자체도 조선 전통 방식과 일본 방식이 혼재되어 있다고 하니, 이 역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연못 입수구가 남았고, 석축도 잘 남았으며, 팔각정 초석도 그대로다. 가운데 섬에는 금송이 한 그루 심어져 있는데, 송병준 행적과도 연결해 볼 수 있다. 올해는 등록문화재 발굴과 등록에 집중해 볼 생각이다. 2023. 2. 22. 용인 대표 문화재를 활용한 전통문양 디자인 2022년 한국문화정보원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지역전통문양 발굴 및 구축사업 결과물을 이제야 받았는데, 결과는 매우 만족! 사실 선정 단계에서 유물이 빈약했음에도, 현지조사를 나온 평가위원들께서 나의 열정적인(!) 설명과 의지를 높이 평가해 주셔서, 최종 선정해주셨음. 서봉사지, 서리고려백자요지, 처인성 출토 유물과 관련 이미지를 제공해 주었는데, 모든 결과물이 예쁘지만 서봉사지 출토 유물의 문양을 활용한 디자인이 너무 마음에 든다! 서리고려백자요지에서 출토된 제기 뚜껑의 거북이도 너무 귀엽고... * 너무 예뻐서, 자랑하고 싶은 마음에 몇 장 먼저 공개합니다. 이번에 개발된 문양은 조만간 문화포털 사이트에 개방될 예정이며, 공공누리 저작물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용인의 대표 문화재를 활.. 2023. 2. 2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