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76

2002년 타전한 '임둔臨屯' 봉니 출토 소식 중국 요서에서 '임둔(臨屯)' 봉니 출토한사군(漢四郡) 위치 재검토 필요(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기원전 108년 한漢나라가 위만조선을 무너뜨리고 그곳에 설치했다는 낙랑.임둔.현도.진번의 이른바 한사군漢四郡 가운데 '臨屯(임둔)'이라는 글자가 적힌 봉니封泥 유물이 중국 요서 지역에서 출토됐다. 이는 한사군이 설치됐던 장소, 즉 위만조선의 통치강역이 평양을 중심으로 한한반도 북부 및 만주 요동지역 일부이며 이 중에서도 임둔군은 한반도 북부에 자리잡았다는 학계 통설을 전면 재검토하게 하고 있다. 중국 지린대吉林大에서 중국 요서지역 청동기시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복기대 단국대박물관 연구원은 최근 발간된 학술지 백산학보 61집에 기고한 논문 '임둔태수장臨屯太守章 봉니를 통해 본 한사군의 위치'에서 문.. 2025. 3. 5.
미라가 된 오스트리아 대공, 결국 세계대전 총구를 당기다 이 장면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 posing as a mummy in Cairo, Egypt, 1894. 이 장면을 어찌 봐야 하는가?나는 미라가 대중문화에 파고드는 한 과정, 그 드라미틱한 순간으로 간주한다. 미라에 대한 관심은 오래되었지만, 19세기 이래 새로운 흐름으로 부상하니 그것이 바로 대중소비문화와 결합을 급속도로 강화한다는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미라 혹은 그에 버금하는 존재를 소재로 삼은 대중문화물이 넘쳐난다.특히 영화가 이 분야를 주도하는데, 끊임없이 미라를 소환한 이 흐름이 앞으로는 또 어떤 방향으로 튈지 모르겠다.그 대중문화가 소환한 미라는 1. 공포 2. 애틋 이 두 가지로 대별하거니와 고대 이집트를 소환하는 미라.. 2025. 3. 5.
개관 20주년을 신고하는 허준박물관 아무리 꼬딱지 만한 행사라도 내 친구 김충배 손에 들어가면 언제나 올림픽이나 월드컵으로 둔갑하니 참말로 요란스럽다.늘 이야기하지마는 광역자치체도 아닌 기초지차체 운영 공립박물관 사정이야 뻔하지 않겠는가?그런 데서도 저리 뭔가를 하나 만들고자 버둥치는 모습을 열정 아닌 무슨 말로 설명하겠는가?왜 그리 요란스레 사느냐 하면 언제나 춘배 대답은 같아서 간단히 추리면 그것이 국록을 먹는 자의 도리라 한다.그래 맞다.공공성 공익성을 빼면 그게 공직자 혹은 준공직자이겠는가?저런 일 하라 월급 받는 건데 저런 일 되도록 잘 포장해서 내놓아야지 않겠는가?허준박물관이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仁이라는 추상명사를 해체한 특별전을 준비한다.저에 초점하되 전시는 구상화해야 하니 저 키워드로 전통시대 의학 종사자들을 조명하자는 .. 2025. 3. 5.
[마왕퇴와 그 이웃-32] 만병통치약 마왕퇴에 대해 쓴 책들을 보면 당시 중국 대중은 조용한가 싶다가도 어느날 갑자기 몰려들어 쑥밭을 만들어 놓고 떠나가는 존재로 나온다. 이 당시가 문화혁명 절정기였던 탓이 가장 크겠다.  마왕퇴 무덤은 가장 안 쪽에 목곽이 놓이고 그 밖에 숯을 채우고다시 그 바깥쪽을 고령토로 다져 밀봉한 다음 위에 흙을 다져 쌓아 올려 만들었다. 이 무덤을 발굴했을 때 목곽 주변에 쌓아 둔 막대한 양의 숯이 나왔는데, 너무 많은 양이 나와 이 숯은 박물관 창고에도 넣지 못하고 마당에 자리를 깔고 그 위에 쌓아 두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숯을 슬금슬금 사람들이 광주리를 들고와 퍼가는 것이 아닌가!왜 그런지 이유를 들어보니 마왕퇴 무덤에서 나온 이 숯이 사람들 병을 낫게 해준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는 것이다. 이 숯을 가지고.. 2025. 3. 5.
[마왕퇴와 그 이웃-31]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마왕퇴는 복잡한 역사적 사실이다. 한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면 전체를 제대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측면이 뒤얽혀 있다. 여산 진면목은 산 밖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인지 모른다. 마왕퇴를 발굴하던 그 시점 자체에 대해서는 문화혁명을 빼 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당시의 상황을 보면 이 사건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성격으로 비화할 확률이 높았다. 그냥 문화유적과 유물은 그렇게만 봐 주면 될 것을 이에 정치적인 색깔을 덧씌워 이 무덤은 반동영주계급의 소산이요, 마왕퇴 미라는 호의호식한 여편네 정도로 폄하되어 원래 같으면 홍위병 습격으로 몽땅 태워질 판이었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마왕퇴 발굴이 그렇게 막장으로 가지 않고 결국 세계를 놀라게 한 성과를 내며 종지부를 찍은 것은어쨌건 그 미친 세상의 와중에도 제대로.. 2025. 3. 5.
세상 이야기가 훨씬 중요했던 미라 스토리 필자가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 대해 작업한지 20년 동안 이에 대한 과학적 조사결과는 지금까지 충분히 학계에 보고했다고 생각한다.이러한 의과학적 부분에 대한 이야기는 필자의 입장에서 사실 더 이상 할 이야기가 없다. 지금까지 출판된 논문들, 그리고 근간 출판되어 나올 단행본이면 모두 커버되리라 생각한다. 다만 미라에 대한 작업을 해오면서 항상 절감했던 것은 미라는 썩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옛 사람의 시신이라는 관점에서만 우리 의학자들은 바라보는데그러한 관점은 사실 미라에 얽힌 많은 스토리 중 극히 일부분만을 설명해 줄 뿐이라는 생각을 했다. 사실 미라에 관해서는 이 고고학적 발견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피장자 개인사, 그리고 그가 살아 생전 활동했던 사회, 지역, 그리고 당시의 세계에 대한 이해가.. 2025.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