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76 [마왕퇴와 그 이웃-27] 곽말약의 실언 (?) 마왕퇴 발굴 조사에 위에서 엄호사격을 한 두 인물, 주은래와 곽말약도 문혁과 사인방 서슬에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태였다는 것은 이미 말했다. 그 중 곽말약은 마왕퇴 때문에 한 번 크게 곤혹을 치른 적이 있었는데,그 사연은 이렇다.곽말약이 마왕퇴에서 발견된 1호 묘 미라가 도대체 어떤 신분의 사람인지 묻는 일본기자의 질문에 여담 삼아 했다는 이야기가 하나 떠돌았는데, 그 사연인즉슨, 서한 문제 때 황제와 이름 모를 궁녀 사이에 난 사내 아이가 곧 나중에 한 경제가 되었는데 문제의 아들을 낳은 후 질투하는 황후에게 쫒긴 그 후궁은 장사 땅에 몸을 숨겨 자신이 낳은 아들이 나중에 경제가 된 후에도 자신이 모친임을 알렸지만 경제는 자신의 출생의 비밀이 알려질까 두려워 하여 그녀를 장사땅에 모셔 두고 극진히 .. 2025. 3. 3. 무령왕릉 발견 50주년의 폭탄 선언 "관짝에 바닥이 없다!" 2016년 직설 무령왕릉(메디치미디어)을 내면서 나는 내심 무령왕릉은 향후 10년 간은 새로운 이야기가 나올 수 없다고 봤다. 그만큼 나로서는 회심작이었고, 그만큼 자신 있었다. 그러면서 그 무렵까지 내가 생각하는 내 미답이기도 하면서 학계 전반하는 미답으로 남겨둔 게 두어 가지 있었으니 개중 하나가 그 묘권墓券 중에서도 매지권買地券이라 일컫는 그 문건이었으니, 이 문건은 글자 그대로 무령왕이 죽어서 지하 세계로 들어가면서 그 묘지로 쓸 땅을 돈을 주고 매입했다는 문건이려니와 계약 당사자로 등단하는 지하세계 귀신들이었으니, 이건 실은 내가 못 푼 것이 아니라 이후 과제로 남겨두었거니와, 이를 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청귀율女靑鬼律을 필두로 하는 위진남북조시대 도교 의례서를 뒤져야 하는데, 그에 대한 준비.. 2025. 3. 3. 왜 한 놈도 무령왕을 따지지 않는가? 무령왕릉은 누가 봐도 동시대 중국 벽돌무덤을 가져와 디자인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감독한 기술자도 중국 사람, 더욱 정확히는 남조 양나라 공장이다.나아가 무령왕은 저 묘권墓券에서 스스로 밝혔듯이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 양나라가 보증한 제후왕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다.의문은 이에서 돌발한다.한데 무덤이 왜 저 모양 저 꼬라지란 말인가?저때 중국은 황제만이 아니라 영동대장군쯤 되는 고관대작들로 저 딴 식으로 형편 없는 무덤을 만드는 일이 없다.무덤 주체만 해도 전실前室 후실後室을 두어 후실에다 무덤 주인공을 완치하며 그 앞실에다가는 각종 껴묻거리 잔뜩 넣는다.또 돈과 권력이 더 있음 이실耳室이라 해서 사람 얼굴로 치면 귀때기에 해당하는 부분에 별도 칸을 만들어 잔뜩한 기물을 쑤셔 박는다.한데 무령왕릉은 단.. 2025. 3. 3. [마왕퇴와 그 이웃-26] 마왕퇴 한묘에 대한 의문 마왕퇴 관련 책을 읽다보 니, 중국에서 대형 목곽 묘실제도가 완성된 것은 전국시대와 서한시대 사이인데이 시기에는 아직 관곽 바깥에 별도의 묘실을 쌓는 전통은 없었다고 한다. 제왕과 고위관료 등 무덤을 중심으로 관곽 바깥에 벽돌 등으로 별도의 묘실을 쌓는 전통은 서한 말에서 동한 초에 생겨난 것으로 보는 모양이다. 그렇다면-. 이 사실이 마왕퇴에서는 묘실 없이 관곽만 보이고, 남월왕묘에서는 관곽 외에 별도의 묘실을 쌓은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일까? 두 무덤 모두 서한 초기에 만들어진 것이라 책에서 본 위 이야기가 정확한 것인지 모르겠다. 어쨌건 마왕퇴 한묘가 만들어지던 시대에 이미 고위급 왕공 무덤은 별도의 묘실을 두는 것이 한 흐름이었다면마왕퇴 한묘에서는 그것이 안 보인다는 점은이 무덤이 아무리 화려.. 2025. 3. 3. [마왕퇴와 그 이웃-25] 팽륭상彭隆祥 (25)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마왕퇴 고시연구라는 책은 당시 중국사회의 전통에 따라 집체창작으로 누가 쓴 것인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필자 기억으로는 이 책에는 호남의학원인가 하는 이름만 적혀 있을뿐팽융상이라는 이름은 따로 적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필자가 팽융상이란 이름을 접하게 된 것은 그 후 1980년대에 서구에 투고된 그의 영문 논문을 접하게 되면서부터였다. 나중에 고시연구 중국어 보고서 원문을 입수하여 보면서 알게 된 것이지만 팽융상은 서구의 출판물에 마왕퇴 연구결과를 영문으로 투고했는데 그 내용은 고시연구에 쓴 내용을 간추린 것이었다. 이 논문에는 문물출판사에서 나온 고시연구와는 달리 그의 이름을 저자로 적어 냈다. 이 논문을 보면서 필자는 중국의 고시연구 보고서 자체가 팽융상이 사실상 집필 책임을.. 2025. 3. 3. [능혜평凌惠平 미라] (1) 산동반도로 북상하는 미라 발견 지점은 Bing 지도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거리 이미지를 보세요.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www.bing.com 이 발견 지점에서 유의할 대목은 주로 장강 유역을 중심으로 중국 고대 미라가 나오는데 견주어 이 분은 상당히 북상한 지점을 정좌한다는 사실이다. 산동반도 아래 끝자락이다.바다랑은 비교적 가까운 지점이다. 능혜평凌惠平은 2002년 중국 강소성江蘇省 연운항連雲港에서 드러난 서한 시대 여성 시신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신장위구르를 제외한 곳에서는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 여성 시신과 호북성湖北省 강릉江陵 봉황산鳳凤凰山 한묘漢墓 남성 시신에 이은 세 번째 한나라 시대 습시溼.. 2025. 3. 3. 이전 1 ··· 255 256 257 258 259 260 261 ··· 33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