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1

상급 양반의 입장에서 계급의 동요를 보는 시각 필자는 그렇게 생각한다. 우리는 18-19세기 조선사회의 계급의 동요, 양반호의 급증을원래부터 양반 지위를 누리던 사람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데 상당히 익숙하며, 이러한 시각에는 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예를 든 모칭이나 모록이라는 용어도 그런데, 필자가 보기엔 앞에서 나온 19세기의 그 많은 유학호나, 아니면 공명첩을 사서 붙인 게 틀림없는 품계들, 이런 데에는 모록이나 모칭이라는 말을 써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쉽게 말해서 원래부터 양반의 시각에서 보자면, 내가 진짜 양반이지 네가 무슨 양반이냐내가 붙인 것이 통훈대부지 곡식 납부하고 단 대부가 무슨 대부냐 그 소린데 반대로 그 유학호나 납속 통훈대부의 입장에서 보자면, 법대로 호구단자 써내서 유학호를 얻었고, 나라에 곡식 바쳐서 나라님.. 2025. 8. 30.
그 많은 통훈대부가 모록이다? 호적이나 족보를 보면, 대개 통훈대부와 같은 품계를 받으면 더이상 유학이라 쓰지 않고 그 품계를 직역에 적는다. 대개 호적이나 족보에 앞서 김단장께서 올리신 것과 같이 등제 출신, 음서의 가능성이 없는데 느닷없이 품계가 나오는 경우에는 필자는 이건 공명첩이 아닐까 의심한다. 그런데 공명첩을 사서 품계를 얻는다면 이게 모록일까? 필자는 모륵이라는 말을 쓸 때는 주의해야 한다고 보는 바,모록은 그야 말로 없는 사실을 위조해 만드는 사기술에 붙여야 할 이름이지정부에서 흉년 때 납속 등의 댓가로 발부한 공명첩-. 이걸로 얻은 품계에 모록이라는 말은 쓸 수 없다고 생각한다. 모록이라는 말은 자격도 없이 자기 맘대로 사칭했다는 뜻이 있는 바, 공명첩의 대가로 얻은 품계의 고신은 이건 가짜가 아니라 진짜이기 때문이다.. 2025. 8. 30.
나치는 왜 우루루 아르헨티나로 몰려갔을까? 나치 협력자들은 왜 툭하면 아르헨티나서 튀어나오는가? 오늘도 우리가 전한 소식 중 하나를 보면 나치가 약탈한 미술품이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됐다가 사라졌는데, 그 소장자가 나치였다고 한다. 집 매물 홍보물에 떡하니 나치 약탈 미술품 집 매물 홍보물에 떡하니 나치 약탈 미술품네덜란드 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아르헨티나 한 주택 매물에서 나치가 약탈한 바로크 시대 그림을 발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림은 실종되었고, 경찰 수사가 시작되었다. 알게멘 다historylibrary.net 비단 이뿐만 아니라 홀로코스트 기획자인 아이히만이 모사드한테 붙잡힌 데다가 아르헨티나다. 도대체 왜 이럴까? 이 점이 궁금해 찾아 보니 아래 아티클이 걸려들어 전문을 번역 소개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르헨티나가.. 2025. 8. 30.
이른바 유학모칭론을 비판한다 (2) 이러한 시각은 필자도 16-17세기라면 타당하다고 본다. 이 시기에는 필자 생각에도 만약 양반이 아닌데 유학을 참칭했다면유림의 공론에 의해 유학에서 퇴출되었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그런데 19세기에는 호적에 유학이라고 올려놔도 퇴출되지 않았다. 한 집 건너 한 집이 유학인 상황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누구도 저 놈은 유학도 아니니 빼버리라는 말을 하지 못했다. 왜일까? 19세기가 되면 이른바 유림의 공론이란 쑥덕거림 이상의 의미는 더이상 없었기 때문이다. 여전히 조선사회의 정점에는 전통적인 명가들이 계속 집권해 있었고 유림의 공론의 여진이 계속 남아 있긴 해지만, 유림의 공론으로 유학이라 호적에 올린 이를 맘대로 쫒아내지 못하는 여건이 이미 되어 있었다는 말이다. 그 때문에 대원군 집정후 전.. 2025. 8. 30.
이른바 유학모칭론을 비판한다 (1) 일반적으로 18-19세기에 급증한 유학幼學은 양반이 아니다. 이것을 양반으로 간주하여 19세기에 양반이 급증했다고 보는 시각은 틀렸다라는 시각이 있다. 19세기가 되면 양반이 급증한다는 주장을 처음 한 사람은 필자가 알기로 일본인학자 사방박四方博이다. 그는 우리나라 대구부 호적을 분석하여19세기까지 한국에서 유학으로 상징되는 양반호구가 급증한다고 주장했던 것으로 알고, 이에 대해서는 아직 여러 의견이 있다고 본다 . 필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여러 설왕설래 중19세기 유학幼學은 양반이 아니며이들을 모두 양반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라는 시각이다. 그래서 이들에 대해 붙인 이름이 이른바 "유학모칭자"이다.그런데 이러한 시각은 타당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써 본다. 우선 "유학모칭자"라는 .. 2025. 8. 30.
집 매물 홍보물에 떡하니 나치 약탈 미술품 네덜란드 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아르헨티나 한 주택 매물에서 나치가 약탈한 바로크 시대 그림을 발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림은 실종되었고, 경찰 수사가 시작되었다. 알게멘 다그블라드(Algemeen Dagblad)는 이 그림이 프라 갈가리오Fra Galgario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주세페 기슬란디Giuseppe Ghislandi 작품이라고 보도했다.기슬란디 작품은 유실 미술품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으며, 현재 네덜란드 정부는 이 그림을 "반환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한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이 그림은 나치의 등장 이전 암스테르담에 거주한 유대인 상인 자크 고우트스티커(Jacques Goudstikker) 소유였다.박해의 위협 속에서 고우트스티커는 네덜란드를 떠났지만, 1940년.. 2025.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