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21 [조 수수 재배 이야기] 가을 문턱, 새색퀴들과 벌이는 사투 조에 붙어먹던 새색퀴들이 수수에가서 영글지 않은 수수를 찧어놓았다. 사진 속 수수 이삭머리에 갈색은 수수가 익는 게 아니고 새가 찧어, 녹말 즙을 짜내 색이 붉게 변한 자국이다. 수수에 참새떼가 들어오면 벌레랑 나방을 잡아먹는 아주 작은 선행을 하긴 하는데, 그것 외엔 죄다 악행이다.참새는 여문 수수 알갱이는 알이 단단하고 커서 그런지 덜 먹는다. 대신 덜 여문 알갱이를 찧어 안에 녹말즙을 짜 먹는 걸 잘한다.공격당한 자리엔 곰팡이가 쉽게 피는데, 이게 멀쩡한 이삭까지 옮겨가고, 이 덕에 수수밭은 참새에 곰팡이 병에 대환장쑈를 한다. 알곡이 여물면 그때부터 산비둘기 색퀴들 쑈가 시작된다.평화의 새? 웃기시네.비둘기 우는 소리가 좀 을씨년스러운데, 옛날 할머니들은 비둘기 소리를..."기집 죽고 자식죽고 .. 2024. 8. 18. 빌라 루스티카 Villa rustica, 로마의 농가 주택 겸 농가 빌라 빌라 루스티카 Villa rustica란 흔히 농가farmhouse 또는 시골 빌라 countryside villa에 대응하는 말로써, 고대 로마 돈 있는 사람들이 시골과 농업 지역에다 지은 빌라를 겸한 농가 주택을 말한다. 빌라 루스티카라고 하면 대부분 로마 빌라 일종이라 보면 될 듯하다. 저 형용사 rustica는 현재도 영어 단어 러스틱rustic으로 그대로 남아 있다. 어떤 경우에는 라티푼디움latifundium이라고도 하는 대규모 농업 단지 중심이기도 했다. 루스티카라는 형용사는 훨씬 더 희귀한 교외 리조트 빌라 또는 순전히 여가와 럭셔리를 위해 지은 오티움 빌라otium villa와 구별하기 위해서 쓰는 경향이 강하며 보통은 나폴리 만 일대에 있는 것들을 의미했다. 따라서 빌라 루스티카는 지주.. 2024. 8. 18. 로마 이전 발칸반도의 주인 다르다니아Dardania #다르다니아 왕국 The Kingdom of Dardania(라틴어 레그눔 다르다니에Regnum Dardaniae)은 고전 고대classical antiquity에 다르다니아 지역 중부 #발칸반도 정치체polity다. 다르다니아 정치의 핵심을 형성한 팔레오-발칸 부족Paleo-Balkan tribe[古발칸 부족]인 #다르다니Dardani 이름을 따서 지었다. 다르다니아는 오늘날의 코소보Kosovo를 중심으로 하지만 북마케도니아North Macedonia(북서부 지역), 세르비아Serbia(노비 파자르Novi Pazar), 알바니아Albania(쿠키스Kukës, 트로포자Tropoja, 하스Has) 일부도 포함했다. 다르다니아 동부 지역은 트라코-일리안Thraco-Illyrian[트라키아-일라리아어語].. 2024. 8. 18. 글은 타겟과 목적이 명확해야 한다 첫째 독자가 누구인가를 확실히 해야 한다. 물론 이 타겟층은 불특정 다수가 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이 글에 관심있을 만한 사람이면 누구나 말이다. 기타 특정한 사람들, 예컨대 특정한 연령층이나 직업군을 생각할 수 있다. 후자가 그 글로써 이른바 대박을 치기는 어럽다. 왜? 독자층이 지극히 한정하기 때문이다. 다만 스테디셀러가 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전자 보다는 높다. 불특정 다수를 겨냥하는 전자는 터지면 그에서 비롯하는 명성과 돈을 아울러 거머쥘 수도 있다. 물론 쪽빡 찰 위험성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지극히 상대적인 비교일 뿐 절대로 그럴 수는 없다. 다음으로 글은 목적이 명확해야 한다. 이것이 글 형식을 결정하는데 논문이냐 논술이냐 수필이냐 정보 전달이냐 등등이 분명해야 한다. 계도를 위한 자기.. 2024. 8. 18. 40대 같은 60대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08/15/JO75RMO4FRARPHUPUKMRQQ6HLI/ 도전, ‘수퍼센티네리언’ 시대도전, 수퍼센티네리언 시대 WEEKLY BIZ Cover Story 이론적 최대 수명 115~150세, 인공장기, 인공혈액으로 수명 120세까지www.chosun.com최근에는 이런 기사가 많다. 40대 같은 60대, 60대 같은 80대, 그리고 70대 같은 100세. 물론 노령 세대를 사회에서 조기에 이탈시키지 않고 죽을 때까지 건강한 삶과 노동을 격려한다는 점에서 이는 긍정적 측면이 분명히 있다. 그런데 이와 함께 우리가 잊지 말 것은, 우리가 시도하는 여러 가지 "반노화"적인 처방과 또 마음가짐에도 불구하고노화는 여전히 신이 주신.. 2024. 8. 18. "시스템" 규명에 들어가야 할 일제시대 연구 필자가 누차 여기에 쓴 것 같지만, 일제시대 연구 논문 중에 일단 욕부터 하고 보자는 의도가 너무 눈에 띄는데 반해정작 내용은 별것 없는 논문이 상당히 많다. 욕이야 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도 사실 학술논문에서 욕부터 나와서 될 일인가 하는 점은 있겠다),내용이 없어서야 되겠는가? 일제시대 연구에서 중요한 점은당시 식민통치가 얼마나 잔학했는가를 밝히는 부분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식민통치의 시스템을 정확히 밝히는 데 있다 하겠다. 일본의 통치는 1차대전 이후에는 이미 시스템에 의해 돌아가는 방식으로, 즉자적이고 임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설사 수탈이라 하더라도 법령에 의해 진행되는 상황이었다는 말이다. 따라서 1차대전 이후의 일본의 식민통치를 규명하는 데는 일본과 조선을 묶는 시스템의 정확한 이해와 규.. 2024. 8. 18. 이전 1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 33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