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70

납이 내는 녹색 유약의 비밀 녹색 찬란한 로마 암포라앞서 저 고대 로마 녹색 찬연한 도기를 소개하면서저 양태를 묘사하는 말 중에 lead-glazed 라는 말이 보이거니와 납을 어찌해야 저런 발색이 가능하지 도자사 전문가 설명을 요청했으니 장남원 선생 다음과 같은 친절한 해설이 있다.연유鉛釉 도기라 한다. 도기에 유약을 입힐 때 융제로 납을 사용하는 것을 연유 도기라고 하는데이때 정색제로 산화동을 소량 첨가하면 저런 초록색이 되는 것으로 안다. 보통 녹유도기 라고 하는 것이다.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도 녹유도기가 만들어 지지만, 저것은 표면의 유약 접착력이 참 좋아 보인다. 잘 아는 당삼채 초록색 유약 성분도 비슷하다. 다만 하남성 등지에서 만들어지는 당삼채는 백토로 기물을 만들어 1,000도 이상으로 초벌하고 그 위에 연유를 여러 가.. 2024. 11. 19.
환상을 선물한 러시아 건축가 이 그림 보면 미래주의가 아니라 환상주의 건축가로 봐얄 성 싶다.실제 그 특징으로 환상이 많이 거론되기도 하는 모양이다.건축과 미래 예술 영역에서 저런 구도로 유명한 러시아 예술가 아서 스키잘리-바이스 Arthur Skizhali-Weiss 라는 사람 이야기다.그는 ‘건축 판타지Architectural Fantasies’ 시리즈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그의 놀라운 묘사는 SF, 초현실주의, 혁신적인 건축 디자인 요소를 혼합하여 전통 건축의 경계를 초월하는 도시와 구조물의 시각적 표현을 만들어낸다.스키잘리-바이스의 작업은 우뚝 솟은 고층 빌딩, 광대한 대도시, 환상적인 풍경이 중심이 되는 상상된 세계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둔다.작가의 독특한 스타일은 복잡한 선과 대담하고 대조적인 색상을 결합하며, 종종 전통.. 2024. 11. 18.
각종 귀금속은 덕지덕지 바른 이집트 장신구 인간의 수식 욕구가 어디까지인 줄 모르겠다.귀금속이라 할 만한 것들은 모조리 저리 발랐으니 저 배치에서 예술감각이 태동하지ㅈ않겠는가?어찌 꿰느냐가 관건이었으리라.고대 이집트 19왕조 후반기 유물로 간주한다고.금, 하드 스톤 hard stone, 에나멜라피스 라줄리 lapis lazuli, 갈색 재스퍼jasper, 녹색 재스퍼, 빨간색 재스퍼, 청록색 터키석turquoise으로 만든 파라오 헤드 미니어처head miniatures라는데 이게 뭔가?연꽃 모티프가 산재한다.빨간색, 흰색, 파란색, 녹색, 청록색 에나멜로 더욱 풍부해진 디자인은 과립화granulation와 꼬인 금선 twisted gold wire 디테일로 완성했다는데...어디 출토품이나 박물관 소장품이 아니라 소더비 출품작이다. 2024. 11. 18.
문화재가 언제까지 개발과 담을 쌓을 것인가? "돌이켜 보건대 우리 문화재 현장은 ‘개발’이라는 말 자체를 금기로 삼았다. 이 개발이라는 개념에 ‘관광’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관광’이라는 말은 아예 그 법에서 종적조차 찾을 길이 없고, ‘개발’이라는 말 역시 비록 8번이나 출현하지만, 문화재 현장을 개발한다는 개념으로는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기타 7번 ‘개발’은 ‘연구개발’ 등의 맥락으로 사용되었다. 그런 개념 혹은 맥락으로 사용된 ‘개발’은 제4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무) 제3항에서 딱 한 번 보이지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시행하는 경우 문화재나 문화재의 보호물·보호구역 및 역사문화환경이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딕강조는 필자)고 해서, 개발을 문화재 (보호)와 아.. 2024. 11. 18.
파르테논, 저 아시바는 언제까지? 파르테논, 저 아시바는 언제까지?우리 기준에서 보면 참 답답하다.내 생전 또 다시 언제 볼 기회가 생길지 모르겠지만 십년전에도 저랬던 풍경 십년 지난다 해서 달라질 것 같지도 않다.첨탑 불탄 노트르담도 한달 뒤면 복원 완공을 본다는데 저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파르테논은 언제까지 철삿줄 칭칭 감은 저 상태로 봐야는지 모르겠다.비단 저곳만이 아니라, 또 꼭 그리스 사정만 그렇지는 않아서 우리가 아는 유명한 역사유적은 거의가 다 저 모양이라 오죽하면 내가 21세기 모든 신전은 아시바사寺라 하겠는가?복원한다 수십년을 쏟아붓는데 그렇담 저걸 건설하는 데도 그리 걸렸을까?하긴 바르셀로나 가우디 성당은 가우디 간지 언제인데 여전히 쌓아 올리는 중이니 서양 쪽 사정이야 내가 좀 어둡다 치고 한반도 사정은 보통 20일 안.. 2024. 11. 18.
팔리지 않는 그리스, 완결성이 없다 한 달 남짓 그리스를 돌고서 나는 지금 로마행 비행기를 잡으러 간다.그렇다고 아주 안 돌아올 것은 아니니 swan song은 아니요 감상을 적으려 한다.한달살기 이런 프로젝트로 그리스나 아테네는 나는 아니라 본다.국토 분포 양상 때문인데 다도해 내륙해양 국가 특성을 동시에 지닌 이 나라는 움직이는 노선이 곤란하기 짝이 없다.아테네는 유럽 대도시 중에선 무료함이 가장 극심하다.사흘째가 되면 벌써 탈출을 꿈꾸는데 이런 데서 한달을 박을 수는 없다.그렇다고 테살로니키니 하는 내륙 지방이나 크레타 같은 대섬에서 한 달을 보낼 수도 없다.분명 그 점에서 아테네는 파리 런던 로마랑은 다르다.교통 사정이 좋은 것도 아니어서 내륙은 렌트카로 끊임없이 움직여야 하고 에게해는 끊임없이 크루즈를 갈아타야 한다.바다? 것도 .. 2024.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