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11

광개토왕비와 신공 49년조: 일관성의 딜레마 앞에서 일본서기 신공 49년조와 광개토왕비는 사실 거의 비슷한 구조의 글이라는 점을 이야기했다. 하나는 근초고왕 시대에 있었다는 남정을 일본의 시각에서 본 것으로, 근초고왕 시대에 백제가 전남 지역까지 정치적으로 통합했다는 근거로우리측에서 이 기록을 이용했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우리측에서 이 기사를 이런식으로 믿는다 해도,정작 왜의 시각-. 즉 백제가 남정 이후 왜를 주인으로 섬기기로 했다는 부분은 우리가 또 믿지 않는다. 같은 기사에서 어떤 것은 믿고 어떤 것은 믿지 않은 셈이다. 이번에는 광개토왕비를 보자. 광개토왕비의 내용, 특히 이 시대 광개토왕의 남정기사 일체,백제에게서 항복을 받았다던가, 신라의 요청으로 고구려군이 가야까지 종횡무진 활약하며 정벌하고, 인심좋게 신라 수병에게 .. 2024. 8. 16.
문화재 짜가를 양산케 하는 국가 공립박물관이라 일컫는 전국 박물관을 돌아보면 레플리카가 그리 많다. 익히 지적했듯이 갖은 악조건에서도 공립박물관 중에서는 성공작이라 평가받는 전곡선사박물관 같은 경우는 아예 진짜 유물이 없다. 그 유명한 전곡 선사 유적을 전시 홍보하기 위한 전문박물관이라 하지만, 또 그 유적을 대표하는 유물이 이른바 아슐리안 돌도끼라 하지만, 실제로 적지 않은 그런 돌도끼가 이곳에서 출토했다 하지만, 이 박물관이 소장한 아슐리안 도끼는 단 한 점도 없다는 사실이 믿기는가? 그 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에는 그래도 이곳이 전곡선사유적 대표 박물관이라 해서 돌도끼 5점을 전시해 놓았지만 개중에 진품은 꼴랑 1점밖에 없고, 나머지 4점은 그 흉내를 내서 현대 고고학하는 친구들이 돌 깨뜨려서 만든 짜가다. 그 진품 1점도 주인은 .. 2024. 8. 16.
박물관학도는 왜 국가주의와 싸워야 하는가? 박물관학도를 자처하는 이 중에 왜 이 국가주의 폐해를 지적하는 이가 단 하나도 없는가? 나는 한국박물관학계를 보면서 언제나 이 의문을 지울 길이 없다. 그만큼 이 문제는 심각성을 넘어 한국박물관계는 물론이고 문화재업계 전반을 질식케 하는 독버섯이요 암적인 존재임에도 이 거대한 병증은 치료는 고사하고 그 병증 자체를 지적하는 사람이 없다. 국가가 비록 이른바 출토문화재에 국한하기는 하지만, 나아가 근자 변화하는 움직임이 있기는 하지만 그 소유권을 독점하면서, 그 소유권 독점을 넘어 그에서 비롯하는 보관시스템은 특히나 박물관계에서는 공립박물관 존립을 근간에서 흔드는 문제로, 온통 그 흔한 토기 석기조차 진품이 기증품 아니면 온통 짜가로 넘쳐나게 만들며 나아가 한때는 박물관 세우라 권장하던 국가가 언젠가부터는.. 2024. 8. 16.
신라를 정벌했다는 일본서기 신공황후 49년 조의 경우 이제 광개토왕 비문 시각으로 맨 밑에 첨부하는 일본서기 기록을 보자.어떠한가? 알다시피 일본서기는 우리 삼국사기보다 성립연한도 더 빠르다. 아래 기록이 과연 호태왕비문의 광개토왕 남정기사와 어느 정도로 차이가 있는 것일까? 아, 물론 광개토왕의 남정기사건, 신공황후 49년조이건 간에 양쪽 모두 삼국사기에는 없다. 호태왕비에서 고구려인의 시각은, 신공 49년조에서 왜인의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 글을 읽어보면 매우 비슷하구나, 하는 점을 느낄 것이다. 이 신공 49년조의 기록은 사실일까? 아니면 어떤 사실을 뻥튀겨 쓴 이야기일까? 호태왕비와 신공황후 49년조는, 둘 다 한국 기록에는 없지만 자국의 승리를 크게 특필해 놓았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런데 우리는 하나는 그대로 믿고, 다른 하나는 거짓이고 왜.. 2024. 8. 16.
동성왕과 함께 온 왜병 500인 잘 알다시피 동성왕은 곤지의 아들로 원래 왕위를 이을 수 있는 차례가 아니었는데 개로왕 대에 한성백제의 멸망으로 인해 생각지도 않게 그에게도 왕위에 오를 기회가 왔다. 왜에 있던 동성왕이 귀국할 때 그를 호위하기 위해 따라 들어온 왜병이 있었는데 그 숫자가 일본서기에 의하면, 500명이었다. 눌지왕 때 "신라에 주둔"했다는 고구려병 100명은 애초에 속국 지배용으로 보기에는 숫자가 너무 적었던 셈이다. 눌지왕이 신라영토 내의 고구려병 100명을 죽이게 한 첫째 이유는 그렇게 해도 될 만큼 그들의 숫자가 미미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우리는 호태왕과 충주 고구려비의 내용, 신라가 고구려에 보낸 인질, 그리고 신라땅에 주둔했다는 고구려군만 보고 신라가 이때 고구려의 속국이었다고 생각하지만, 이때 신라가 인질을 .. 2024. 8. 15.
피에타Pietà, 겁없는 24살 미켈란젤로가 단 2년 만에 속성으로 만든 대리석 조각 피에타Pietà, 겁없는 24살 미켈란젤로가 단 2년 만에 속성으로 만든 대리석 조각이다.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Michelangelo Buonarotti, 풀네임을 말하니깐 무척이나 생소한데 그래 그냥 미켈란젤로다. 이 양반 조각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거론하는 피에타Pietà다. 현재 바티칸시국 성 베드로 대성전이 전시하는 르네상스시대 조각 예술이다. 이 정식 이름이 피테타의 마돈나 Madonna della Pietà 라던가? 이 조각 제작시기가 1498–1499년. 미켈란젤로 생몰년이 1475~1564년. 착수시기 23살, 완성 시점 24살. 착수에서 완성까지 걸린 기간은 단 2년. 한창 겁대가리 없던 시절에 겁없이 만든 것이 저 피에타다. 카라라 대리석 Carrara Marble 하나를 깎아서.. 2024.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