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73 천년 왕국을 피운 꽃무릇 경주박물관 야외 유물 전시장 사이사이 꽃무릇이 곱게 피었다. 가을은 꽃무릇 타고 핀다. 2024. 9. 24. 퀀quern은 갈돌에 갈아야 제맛 뭐 볼짝없다. 갈판에다 갈돌로 곡물을 갈고 있는 장면이다. 브리티시뮤지엄 소장품 중 하나라, 이 석회암 조각상을 보면 하인이 퀀quern으로 보이는 곳에 곡물을 갈아주는 모습을 묘사하거니와 저 퀀이라는 것이 갈판이다. 저런 조각은 이미 고대 이집트 제1왕조(기원전 3100~2890년) 시기에 무덤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하니, 죽어서도 잘먹고 잘살라는 뜻으로 넣어주었을 것이다. 한 번 노예는 계속 노예, 한 번 주인은 죽어서도 계속 주인이니 있는 놈은 참 편안안 세상되겠다. 하인들은 대체로 베이커리, 양조장, 도살과 같은 일상에 종사했으니 저런 조각이 무덤마다 1~100개씩 다양하게 안치된다. 저 유물은 제6왕조, 기원전 2345~2181년에 속한다. 2024. 9. 24. 공산성의 꼽사리들 2014년 9월 23일 공주 공산성 목곽고 발굴 현장이다. 습지에서 백제시대 목곽고 흔적이 나오고 그에서 진흙 잔뜩 머금은 칠갑옷 비늘이 잔뜩 쏟아졌다. 그 칠갑편들에서는 해서체로 아주 잘 쓴 글씨가 또 잔뜩 나왔는데 당 태종 이세민이 사용한 정관貞觀(627~649)이라는 연호가 나왔다. 그 칠갑옷을 백제산으로 볼 것이냐 중국산으로 볼 것이냐 논란이 벌어졌거니와 암튼 저때 발굴단은 공주대박물관, 발굴단장은 지금은 고인이 된 이남석 선생이었다. 그 현장 공개라 해서 당연히 관심이 많을 때 그날 어이한 셈인지 김충배가 찡가들었다. 저때는 LH에 근무할 때인데 무슨 핑계 대로 왔을 것이다. 그 춘배가 가운데 꼽사리로 끼어들어 기념 촬영을 했다. 당시 공주대에 재직 중이었나? 자신이 없는 이훈 선생이 함께 했으.. 2024. 9. 24. 겨울 문턱 거돈사지에 비 연무 지면 겨울로 가는 길을 최촉하는 비가 내리고 그것이 잠시 숨을 고르는 사이 비 연무가 지면 거돈사지는 수술대 올라 마취약 막 먹은 몽롱으로 접어드니 그 순간 우리는 꿈을 꾼다. 스러져간 꿈 이제는 볼 수 없는 사람 볼 수 없는 순간 그 온통한 것들이 범벅이 되어 눈물이 난다. 그렇게 조용히 스러져 가고 싶다. 2024. 9. 24. 꿈 꿈을 꾸었다. 몽롱한 꿈을.... 이것도 할 수 있을 듯했고 저것도 할 수 있을 듯했다. 온세상이 내것 같지는 않았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그런 것만 같았다. 그것을 꿈이라 했다. 꿈이 언제나 비극인 까닭은 항상 꿈이었기 때문이다. (2016년 9월 24일. 사진은 원주 거돈사지다.) 2024. 9. 24. 폭발하는 미라 수요, 공급을 따라 잡을 수가 없었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정복은 유럽인들에게 이집트 문의 역사를 열었다. 당시 미라는 마땅히 받아야 할 존중을 받지 못했고, 실제로 사교 모임 주요 행사로 사용하기 위해 사진에서 보듯이 노점상에서 미라를 구입할 수도 있었다. 당시 엘리트들은 종종 "미라 포장 풀기 파티Mummy Unwrapping Parties"를 열었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끄러운 청중 앞에서 미라 포장을 풀며 환호와 박수를 보내는 것을 주요 주제로 삼았다. 잘 보존된 고대 이집트인 유해는 일상적으로 가루로 갈아 약용으로 소비되었다. 실제로 분쇄 미라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위조 거래를 유도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산업 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이집트 미라는 더 많은 공리주의적 목적으로 악용되었다. 갈색 안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포장.. 2024. 9. 24. 이전 1 ··· 804 805 806 807 808 809 810 ··· 36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