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5 엘긴 마블 반환 거부하는 영국 문화제국주의 브리티시 뮤지엄 British Museum이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에서 뽑아다 놓은 소위 엘긴 마블 Elgin Marbles 전시실에 근자에 비치하기 시작한 소형 팜플렛이다. 근자 이곳을 찾은 어느 지인을 통해 받았다. 내가 이곳에 들른 때가 2015년 8월이라 기억하거니와 그땐 저런 팜플렛이 없었으니, 이후 어느 시기에 비치하기 시작한 듯하다. 이 엘긴 마블을 브리티시 뮤지엄은 근자 러시아인지 어딘지에 대여한 적이 있으니, 그때 역시 그리스 정부가 왜 우리 문화재를 너희가 우리 허락도 없이 함부로 대여하냐 해서 강력 반발했다. 이 무렵에 이 팜플렛을 비치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한다. 이 엘긴 마블은 명백히 약탈품이며, 그런 까닭에 이는 그리스에 반환되어야 한다. 실제 그리스도 정부 차원에서도 줄기차게 반환.. 2019. 2. 21. 삼척 죽서루서 생각하는 이사부 쟁탈전 삼척 죽서루는 2년 전 겨울에야 처음으로 찾았다. 어찌 된 셈인지 삼척과는 지질이도 연이 닿지 아니했다. 하도 사진으로만, 것도 건물만 덜렁 봤기에, 더구나 삼척이라기에 해안 정자이겠지 하는 막연한 생각만 있었다. 물론 죽서루라면 맨먼처 떠오르는 글이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이다. 본격 탐사에 앞서 그 전면 주차장에 선 안내판을 보니 자연미 운운하는 구절이 있어, 이 빌어먹을 자연미는 또 나오네 욕을 한 되빡 퍼붓고는 돌아보는데.. "이건 자연미 맞네" 하고 누군가 맞장구 친다. 현장도 확인 아니 하고, 미리 욕부터 퍼부은 내가 무안할 정도로 이건 자연암반을 깎아 초석으로 썼으니 자연미를 맘껏 살린 것 부인할 수 없다. 도착이 늦어 죽서루에는 괜실히 내가 미안했다. 이 좋은 곳을 이제야 보다니 하는 그런 한.. 2019. 2. 17. 이런 농촌은 어디에도 없다 난 농촌을 이렇게 바라보는 시각...느무느무 싫다.나한테 농촌은 고통이었다. "봄바람에 몸을 맡긴 풀잎과 괭이자루를 들고 땅을 파는 농부들의 몸짓을 보라. 자연의 질서와 순리와 순환을 따르는 농부들이 창조해내는 새로운 생명의 질서와 연대와 조화를 이룬 논과 밭을 보라. 모두 한몸이다. 구분이 없다. 경계가 없다. 작품이다." 어느 시인의 근작 산문집에서.. Taeshik KimJanuary 29, 2014 at 10:50 AM 2019. 1. 29. 배철현 교수 표절의혹 취재 뒷담화 대략 2주쯤 전이다. 한동안 연락을 하지 않던 서울대 모교수가 휴대폰에 찍힌다. 받자마자 대뜸, "그거 어찌되가?" 묻는 게 아닌가? 짚히는 게 있었으나, 첫째, 질문 의도가 파악되지 않았고, 둘째, 그 질문이 그의 파멸을 바라는 쪽인지 지키려는 쪽인지도 파악되 않아 "무슨 말이요?" 라고 되물었다. 그랬더니 아니나 다를까, "배철현 말야. 배철현 표절 문제 어찌 되어가냐" 하는 게 아닌가? 이와 관련한 몇 마디 더 주고받은 인상은 나한테 전화한 이 사람은 그냥 궁금했거나, 연합뉴스가 속시원히 질러버려서 이 문제를 하루 빨리 끝장내 줬음 하는 눈치였다. 전화를 끊고는 생각했다. 아, 배철현 문제가 이미 서울대 내부에선 공론화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직감했다. 다시 그보다 앞선 어느날 내가 잘 아는 어떤 사람.. 2019. 1. 13.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 아래는 대한남성과학회 간행 기관지인 《 건강한 성 행복한 삶》 2017년 15권 1호(간행일 2017-07-21) '성칼럼 :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라는 제목으로 실린 기고문으로 아래서 원문 PDF를 제공한다. 내가 이곳에 전재하는 원고는 이 학회 제출본이라, 혹 최종 간행본의 그것과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http://www.andrology.or.kr/pdf/2017_01/01.pdf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김태식 국토문화재연구원 연구위원·역사전문 언론인 “어머니와 아들이 간음한 흉노보단 낫다” “아내를 얻을 때 같은 성씨를 취하지 않음은 구별을 두터이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노(魯)나라 공작이 오(吳)에 장가들고, 진(晉)나라 후작이 성.. 2019. 1. 7. 수렁에서 건져야 할 가야유산과 가야문화특별법의 역할 아래는 2018년 2월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개최한 가야 문화권 조사 관련 법안 제정에 대한 공청회 발표문이다. 이 공청회 소식은 이 날짜 연합뉴스 보도 을 참조하라. 관련 도판은 피로도를 경감하고자, 지금 보완했음을 밝힌다. 발표 원본에는 어떠한 도판도 없다. 수렁에서 건져야 할 가야유산과 가야문화특별법의 역할 김태식 연합뉴스 기자 1. 사적 지정을 앞둔 전북의 가야유산 지난 1월 22일, 문화재청은 보존정책과를 통해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사적 지정 예고’라는 제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에 의하면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酉谷里)와 아영면 두락리(斗洛里) 일원에 소재하는 삼국시대 고분군은 “지리산의 한줄기인 연비산(鳶飛山)에서 서쪽으로 내려오는 완만한 언덕의 능선을 따라 성내.. 2019. 1. 3. 이전 1 ··· 386 387 388 389 390 391 392 ··· 4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