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살아선 존재감 제로, 죽어 셀렙이 된 투탕카멘의 황금 왕좌 투탕카멘의 황금 왕좌 [The Golden Throne of King Tutankhamun]날개 달린 코브라는 왕좌의 팔을 이루고, 그들은 통합된 이집트를 대표하는 이중 왕관을 쓰고 있다.주제는 더 작은 코브라가 밖을 내다보며 등 지지대를 따라 계속하는데하나는 상이집트 Upper Egypt의 은관을 쓰고 다른 하나는 하이집트 Lower Egypt 의 금관으로 장식한다.계속 이야기하지만 투탕카멘은 살아선 존재감 제로인 파라오라, 죽어 셀렙이 되었으니 이런 드라마틱한 변화가 역사를 뒤지면 더러 있다.그가 아연 유명해진 건 그의 무덤이 기적으로 발견되고 더구나 도굴피해가 없기 때문이었지 딴 이유 없다.도굴 피해가 없으니 각종 보물을 토해냈다.그래서 유명하지 그는 십대에 갑자기 훅 갔다.왕노릇 한 번 제대로 못.. 2024. 5. 3.
국립전주박물관 모악산 금산사 특별전 1천400년 이어온 미륵 신앙의 가르침…모악산 금산사를 만나다 송고시간 2024-05-02 13:55  국립전주박물관, '미륵 신앙 성지' 금산사 조명한 특별전 선보여 석탑 사리장엄구·일제시대 석고로 만든 불상 등 117점 한자리에  이 특별전 개최 소식은 앞 링크 기사를 참조하셨으면 하고 우야둥둥 국립전주박물관(Jeonju National Museum)이 미륵의 마음 모악산 금산사 특별전을 개최하기로 한 모양이라 이걸로 모악산과 금산사 1,400년 이야기 봇따리를 풀고자 한 모양이라그 뜻을 가상히 여기며 언제 짬을 내어 현장을 순시하기로 한다.  일시 : 5월 3일(금) ~ 8월 18일(일) / 10:00 ~ 18:00 장소 : 국립전주박물관 기획전시실 비용 : 무료 자세한 내용은 국립전주박물관 공식 .. 2024. 5. 3.
과학이 복원한 7만5천년 전 네안데르탈인 얼굴 Scientists reveal the face of a Neanderthal who lived 75,000 years ago Katie Hunt By Katie Hunt, CNN Updated 9:02 AM EDT, Thu May 2, 2024 고고학 현장에서 널리 활용하기 시작한 이 얼굴복원 기술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활발히 도입된 곳 중 하나가 대한민국이다. 물론 이 기술은 뿌리가 구미권이지만, 그 잽싼 적용에서 한국은 결코 남들보다 뒤지지 않았다. 얼굴 뼈를 토대로 실제 그 뼈 주인공 얼굴이 이러했을 것이라는 facial reconstruction, 곧 얼굴 복원 기술을 탑재한 고고과학이 이번에는 네안데르탈인 얼굴까지 복원해 내기에 이르렀다 해서 외신이 떠들썩하니 보도하기 시작한다. 개중 C.. 2024. 5. 3.
로마제국은 콘크리트 반죽에서 일어났다 오푸스 카이멘티시움 opus caementicium이라고도 알려진 로마 콘크리트 Roman concrete 는 고대 로마의 공학적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다. 이 놀라운 건축 자재는 로마 제국의 가장 오래 지속되는 구조물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 중 많은 것들이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로마 콘크리트의 장수와 강도 비결은 독특한 구성과 혁신적인 시공 기법에 있다. 로마 콘크리트의 주요 성분 중 하나는 주로 베수비오 산 Mount Vesuvius 주변 지역에서 공급되는 포졸라나 pozzolana 라는 화산재 volcanic ash 였다. 포졸라나는 석회와 물을 섞으면 화학 반응을 일으켜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가 잘 되는 바인더 water-resistant binder 를 만들어냈다. 이 바인더는.. 2024. 5. 2.
칼로 돌변한 크리스탈 2020년에 전해진 스페인발 소식이다. 스페인 거석 무덤 megalithic tomb 에서 5,000년 된 크리스탈 단검이 발견됐다고 말이다. 세비야 근처 고대 무덤에서 의례적인 방식으로 묻힌 몇몇 사람 유해와 함께 바위 수정 rock crystal 으로 만든 멋진 단검이라는 가장 눈에 띄는 유물을 발견했다. 이 유적을 조사한 스페인 연구자들에 따르면 복잡하게 조각된 수정 단검은 기원전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선사 이베리아에서 발견된 암석 결정 재료 문화의 가장 기술적으로 정교하고 미학적으로 인상적인 컬렉션”이다. 유럽의 선사시대 인류는 대부분의 도구를 체르트와 돌날 chert and flint 로 만들었다. ‘암반 크리스탈 rock crystals’ (매크로 크리스탈 석영 macro-cryst.. 2024. 5. 2.
탑평리 칠층석탑 토단(土壇)의 성격 작년 12월에 발표 후, 보완한 논문이 이번 신라사학보 60호(2024.4.)에 게재되었다.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주요 내용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그동안 편년의 폭이 넓게 설정되던 석탑의 양식 특징을 재검토하고 건립시기를 추론해 보았다. 이번 논문은 진짜 고민을 많이 했는데, 특히 석탑이 자리한 토단(土壇)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가 매우 힘들었다. 예전 사진자료들을 찾고 찾으며,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내가 내린 결론은 이 토단은 '자연구릉지이자 제방시설'이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추론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 것이 바로 아래의 사진이다. 보는 바와 같이 현재와 같이 단독 토단이 아니라 길게 구릉이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원래는 이렇게 자연 구릉이었는데, 어느 시점에 구릉이 단절되.. 2024.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