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지식의 구조 (Structure of Knowledge)라는 개념 이런 개념이 원래 인문학에 있는지 어떤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학문과 지식, 인문적 통찰과 관련된 모든 유물과 유산들은 이러한 사회 전체에 설계된 지식의 구조 아래에서 생산되어 나온 것이라는 점은 필자가 보기에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의 금속활자, 왕조실록, 조선 후기의 문집 목판, 과거제, 팔만대장경 등은 한국 고유의 지식의 구조 아래에서 지식을 생산하고 보급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일체의 유물들이다.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이 자랑하는 에마키, 중세소설, 군담소설, 에도시대의 목판 출판, 우키요에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일체의 지식관련 산물들은 일본 사회의 지식의 생산, 보급, 소비하는 구조 아래에서 전체를 조망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따지고 보면 에마키 하나를 놓고 그 .. 2024. 5. 2.
전혀 다른 책, 더 다른 지식 구조 근대 이전 한국과 일본의 서적 문화를 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한국은 남아 있는 서지들이 주로 목판, 활자 등으로 인출된 것 위주이며 일본은 대부분이 필사본이라는 데 있다. 가마쿠라 시대 정사로 존중받는 아즈마카가미 같은 경우도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전에는 인출된 적이 없으며 모두 필사본이다. 따라서 일본위키에 각종 서적의 서지를 보면 대부분 무슨 무슨 필사본 하여 서로 다른 필사본들의 내력이 적혀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Made in Japan 서적들이 본격적으로 인출되어 나오기 시작한 것은 에도시대 이후부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은 우리와 달리 군담소설 등 문학작품이 자국어로 쓰인 것이 많고 이를 그림으로 직접 그려 화려하게 수식한 에마키가 많이 남아 있는데 이런 책들의 필사 그림을 .. 2024. 5. 2.
이탈리아 코마키오 난파선, 적재 와인 한 잔 빨다 아차? 기원전 1세기 로마 난파선으로 1980년 이탈리아 북부 코마키오 Comacchio 에서 배수로를 정비하던 중 발견된 친구다. 길이 21m, 폭 5.62m 이상으로 와인과 올리브를 담은 암포라들 amphorae, 납덩이 lead ingots, 회양목 통나무 boxwood logs 를 운반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덧붙여 봉헌물, 접시, 유리제품, 샌들, 군사장비 등도 발견됐다. 군사 장비는 상선이 종종 일반 군인들한테 보호받았음을 확인해 준다고. 이른바 화물선이었다. 아마도 폭풍우를 만나 강 어귀에서 침몰했다고 생각한다. 침몰선과 관련 유물은 현재 저 도시 델타 안티코 박물관 Museo Delta Antico in Comacchio에서 소장 전시 중이다. 2024. 5. 2.
도난, 책이 유통하는 중대한 경로, 그렇다고 문화재 가치를 감쇄하지 않는다 거짓 내력으로 문화재 신청, 주지스님 징역형 송고시간 2024-05-01 16:21  문화재청 뻘짓 중 하나로 저것도 있으니, 언뜻 보면 저 처벌을 가능케 했다는 근거가 그럴 듯하지만 내실 따져 보면 뻘짓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내친 김에 책 내력을 조작해 문화재 지정을 받으려 한 불교 승려가 유죄 판결을 받았다 하는데, 그 내력이 여의하지 아니하고 그것이 설혹 도난에 의한 것이라도, 그 책이 지닌 문화재 가치가 어찌 손상이 있으리오?아무짝에도 관계가 없다.   함에도 왜 저런 내력 운위하는 문화재 지정 절차가 생겨났는가? 내가 이를 문화재청 뻘짓이라 하는 이유인데, 물론 저 정신은 도난과 같은 불법 취득을 막자 하는 것일 테니, 그 정신을 존중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지만, 책은 대표적인 동산이라, .. 2024. 5. 2.
바다에서 건져올린 토니스-헤라클레이온 Thonis-Heracleion 토니스-헤라클리온 Thonis-Heracleion 비석은 헤라클레이온 Heracleion 또는 토니스 Thonis 라고도 알려진 고대 이집트 도시 토니스-헤라클레이온을 조명하는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다.이 비석은 이집트 나일강 하구 부근에 위치한 이 도시의 침몰 유적에서 발견됐다.높이 1.99m 이 검은색 화강섬록암 granodiorite 비석은 가라앉은 도시 토니스-헤라클레이온에서 2000년 IEASM에 의해 발견되었다. 기원전 380년에 공포된 제30왕조 첫 번째 파라오인 넥타네보 1세 Nectanebo I세(재위 기원전 378-362)의 칙령을 새겼다.  비석 자체는 기념이나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큰 석판이다.도시와 역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형문자와 이미지가 새겨져 .. 2024. 5. 2.
나무 속껍질을 무두질해서 만든 마야 문명 접이식 책 이 드레스덴 코덱스 Dresden Codex 는 11세기나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야 Maya 책이다. 저 코덱스 codex 에 대한 마뜩한 번역어가 아직은 정착하지 않은 듯한데, 현대의 책에서 선행하는 형태로 인쇄 상태가 아닌 저와 같은 나무껍질 혹은 파피루스 같은 것으로 이룩한 프로토 책 형태를 말하는 듯하다.  애초엔 가장 오래된 마야 책으로 알려졌다가 2018년 9월, 다른 문헌 멕시코 마야 코덱스 Maya Codex of Mexico(이전에는 Grolier Codex 라 했다)가 대략 이보다 1세기 정도 앞선 것으로 드러나 그 자리는 양보했다.    이 코덱스는 독일 드레스덴에서 재발견되어 현재 이름을 얻었으며 지금은 같은 드레스덴 작센 주립 도서관 Saxon State Library 박물.. 2024.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