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1) 정몽주가 죽다 살아난 봉래선 2006년 8월 28일은 월요일이었다. 이날 오전을 기해 나는 미리 준비한 관련 기사를 와장창 쏟아냈으니, 요새 언론계가 선호하는 표현을 빌리건대 이른바 [단독기사]들이었다.말 나온 김에 같은 단독기사라는데, [단독]이라 하면 밋밋하고, [특종]이나 [스쿱 scoop]이라 하면 좀 있어 보이는데, 내가 언제나 말하듯이 그 표현이 무엇이건 특종이라는 거 실상 암것도 아닌 언론계 지들 마스터베이션에 지나지 않으며, 일반은 그딴 데 아무런 관심도 없다.그 보도가 사실이냐 아니냐, 믿을 만 한가 아닌가? 그 파급력은 어떤가? 하는 이런 점들이 중요하지, 그런 기사를 누가 언제 가장 먼저 썼느냐가 무에 중요하겠는가? 나아가 단독 혹은 특종은 정의가 간단해서 다른 언론 혹은 기자가 쓰지 않은데 내가 쓴 기사를 말한.. 2024. 4. 4.
조몬시대 두개골이 뚫린 흔적이? 차순철 선생을 통해 접한 소식이다. 약 100년 전에 일본국 오카야마현岡山県 구라시키시倉敷市 조개무지[패총貝塚]에서 출토되어 동경대종합연구박물관東京大総合研究博物館에서 소장한 약 6천년 전 조몬시대縄文時代 전기 인간 두개골에 뾰족한 도구로 찔린 듯한 흔적이 있다는 사실이 이 자료를 정리하던 학생이 발견했다. 이를 계기로 다른 조몬시대 인골도 살폈더니 비슷한 양상이 확인됐다고. 다만 이것이 생전 폭력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사후에 모종의 의식 일환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발견 내용은 4일 일본인류학회지에 게재된다고. 동경대 대학원 수사과정修士課程 2년 생인 평야력야平野力也 씨는 이 대학 박물관 소장 품을 정리하던 2022년 12월에 이 두개골을 살피하다가 그 전두부前頭部에 타원형 구멍이 있음을 보았거니.. 2024. 4. 4.
또 한 척의 중국 난파 도자무역선, 남오1호南澳一号[남해2호南海二號] 발견 직후엔 남해2호南海二號라 부르다가 2009년 9월 25일을 기해 중국에서 남오1호 南澳一号 혹은 난아오 원 Nan'ao One으로 개칭한 이 난파선은 25.5 m 길이, 7.0 m 폭 규모인 옛 도자 중심 중국 무역선 merchant ship으로, 중국 명나라 시대 광동성廣東省 산두시汕头市 남오현南澳县 동남쪽 오서乌屿와 관서官屿 사이 속칭 “삼점금三点金”이라 하는 반조초半潮礁 해역, 곧 남오도南澳岛 운오진云澳镇 약 2해리 지점에 침몰해 해저 27미터 지점에 묻혔다. 2007년 5월 25일, 다이빙해서 물고기를 잡는 어부한테서 우연히 발견된 이 침몰선은 2009년 9월 수중 발굴 프로젝트가 공식 시작되어 2012년 9월까지 3차에 걸친 인양 작업이 완료되어 총 3만 점에 가까운 유물을 출수出水했다. .. 2024. 4. 4.
대학과 정치 필자도 이런 저런 일을 하다 보니 나라 밖의 대학, 그리고 연구자들과 교류가 좀 있는 편인데, 필자 기억으로는 선진국 후진국을 막론하고 연구를 하다가 정치판으로 들어갔다는 이야기는 정말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같은 동양권인 일본의 경우도 필자가 속속들이 알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필자가 아는 한 대학에서 제대로 연구를 하던 사람이 중의원선거니 참의원선거니 나간다고 하는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는 듯하다. 물론 필자가 과문해서일 수도 있겠고, 필자가 아는 사람들 폭이 좁은 탓도 있겠다.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 대학과 정치판의 교류, 특히 연구자들과 정치판의 동기화가 너무 심하다고 보는데 국제적으로 따져 봐도 아마 유례가 없을 수준일 것이라 생각한다. 아마도 대학의 연구자들이 정치판 진출이 잦은 .. 2024. 4. 4.
소호 김응원(1855-1921)의 묵란 墨痕香沁影欹斜 먹 흔적에 향기 스미고 그림자 비껴있는데 紙上參差盡着花 종이 위에 길고 짧은 선 다 꽃을 피웠고나 흥선대원군의 청지기였다는 이야기가 전할 정도로 한미한 출신이었던 김응원, 그러나 그는 발군의 서화 실력으로 20세기 초 한국 예술계에 군림한 인물이다. 특히 그는 난초에 뛰어났다. 출신 때문에 그의 그림도 흥선대원군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들도 있지만, 실제 그가 남긴 작품을 보면 '석파란'과 다른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려 무진 애쓴 흔적이 보인다(그 노력이 성공적이었는지는 둘째치고). 이 묵란도 그런 김응원의 노력과 성취를 보여주는 한 사례이다. 난초 잎에 리듬을 주어 길게 뽑아내는 모습은 아직 석파 태공의 태를 못벗었고 확실히 그보단 약간 미숙해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가시덤불 속에서 .. 2024. 4. 4.
벚꽃 절정 경주 느닷없이 기온이 뚝 떨어진 데다 하루 종일 비바람이 친 여파인지 사쿠라 만발한 경주 김유신길은 사람으로 미어터져야 하나 한산하다. 한산하면 한산한 대로 복닥하면 복닥한 대로 각기 다른 맛이 상춘엔 있는 법이다. 변덕하는 봄날씨에 장단을 맞추지 못한 사쿠라가 주말을 고비로 마침내 부풀어 오르다 터져버린 고름처럼 폭발했다. 꽃은 굳은살이 없다. 작년에 보았다 해서 올해는 시들어디는 무딘 살이 아니다. 겪을수록 더욱 새롭고 만날수록 더욱 들뜨고 볼수록 더욱 물림이 없는 이 그걸 꽃이라 부른다. 사랑은 쉬 식어버리나 그 사랑 더욱 새롭게 하는 이 春花라 이름한다. 2024.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