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The Pensive Bodhisattvas of Korea pensive Bodhisattva, 7th century, three kingdoms period, national treasure No. 78 pensive Bodhisattva, 7th century, three kingdoms period, national treasure No. 83 Both are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South Korea. #금동미륵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 2024. 3. 28. 세계에서 가장 긴 화석 나무는? Geology 라는 페이스북 지질학 계통 공개 그룹에서 저 나무 화석을 소개하면서 현재까지 발견된 나무 화석으로는 가장 길다 했으니, 길이가 자그마치 70m란다. 그에 관련 자료들을 검출하니, 이 화석이 화석업계에서는 유명한 듯, 태국 북부 도이 소이 말라이 국립공원 Doi Soi Malai National Park에서 발견되어 그곳에 있다 하며 기네스북 Guinness World Records에 가장 긴 나무 화석으로 2022년 7월에 인증되었다고 한다. 공식 길이는 69.7 미터에 지름 1.8 미터. 이런 화석화한 나무를 규화목이라 하거니와, 이건 나무 분류학상 Koompassia malaccensis Maingay ex Benth. tree 라 한다는데, 문제는 우리는 전연 자라지 않는 까닭에 그에.. 2024. 3. 27. [무령왕릉의 비밀 결산] 왜 머리는 남쪽에, 부부 위치는 반대? 이를 4회에 걸쳐 분석했으니, 이는 그 어느 누구도 풀지 못했으니 그 이유는 간단해서 누구나 이상하다는 말만 하고, 그 이유를 제대로 물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무덤에 부인을 합장할 때 남자는 서쪽(오른편)으로 가고, 부인은 흔히 부좌祔左라 해서 왼쪽, 곧 동쪽으로 가야 하는데 왜 무령왕릉은 정반대인가? 나아가 죽은 사람은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 주재하는 북쪽을 향해 머리를 두어야 하는데, 왜 무령왕릉의 경우 부부가 모조리 남쪽을 향해 머리를 두었는가 하는 비밀은 동아시아 세계의 독특한 죽음관을 분석함으로써 명쾌히 풀었다고 본다. 바로 이에서 우리는 현재는 빈소殯所라는 말로 편린을 남긴 빈殯의 중요성을 갈파하고, 이를 키워드로 삼아 그 비밀을 마침내 풀어헤친 것이다. 아래는 연재 목록이다. 각 아티클은 클.. 2024. 3. 27. [무령왕릉이 봉착한 최대 난제 둘] (4) 미완성으로 끝난 죽음 그렇다면 왜 무령왕릉은 개봉 당시 부부 위치가 바뀌었고, 머리는 북쪽이 아닌 남쪽으로 두었는가? 이 의문은 실은 역발상으로 간단히 풀리는데, 그것이 죽음의 경우는 반대지만, 살아있는 모습이라는 사실이다. 간단히 말해 무령왕과 그의 왕비 모두 살아있는 모습으로 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찌하여 저 부부는 살아있는 모습으로 형상화했는가? 그 해답은 빈殯에 있다. 더 간단히 말해 빈소 그대로의 모습인 까닭이다. 앞서 나는 동아시아 전통 장송 관념에 의하면, 모든 사람은 군주건 나발이건 두 번의 죽음을 맞이하며 이 두 번의 죽음을 거쳐야 비로소 죽음이 완성한다는 말을 했다. 예서 관건이 빈殯이다. 이 빈이란 더 간단히 말하면 생물학적 죽음과 상징으로서의 죽음이 걸치는 기간을 말한다. 완전한 죽음은 저 두.. 2024. 3. 27. 연녹색, 초봄의 특권 이 색깔은 년중 오직 이 무렵만 누리는 특권이다. 나는 다른 어는 색보다 이 빛깔을 혹닉한다. 뽕 이파리 잔뜩 머금은 누에를 채운 뱃살이 이런 색이다. 봄은 고로 파충류다. 2024. 3. 27. 아이스맨 외치의 도끼를 만든 구리 출처는? 알프스 아이스맨 외치는 유럽이 신석기에서 청동기시대로 이행하는 시대를 살다 불행하게 간 사나이라 그가 든 기물 중에는 청동도끼가 있다. 그의 미라와 관련 기물 일체를 수장 전시 중인 남티롤박물관이 파두아 Padua 대학이랑 이 도끼 재료 구리 출처가 어디인지를 구명하고자 했다는데 그 결과는 이렇댄다. 외치의 청동도끼는 물론이고 다른 남티롤 South Tyrol 지역 출토 신석기시대 말기 청동도끼들, 예컨대 Lana, Welschnofen, Kollmann-Barbian, Kastelruth 그리고 Pigloner Kopf 출토품들을 원료 분석한 결과 구리는 500km 떨어진 투스카니 Tuscany 지방에서 수입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외치가 살다간 알프스 지역에서 구리 채광은 기원전 2천800년 전에야 시.. 2024. 3. 27. 이전 1 ··· 1195 1196 1197 1198 1199 1200 1201 ··· 3661 다음 반응형